뉴스
"전학"(으)로 총 1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세계 인구 100명중 17명은 우울증. 광유전학이 치료길 열 것"동아사이언스 l2019.09.25
- 수 있게 한다”고 말했다. 이번 총회에서 전문가들은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후보로 광유전학 분야 과학자가 선정될 것이라는 예측을 내놨다. 하일란 후 중국 저장대 교수. 네이처 제공 ... ...
- 스마트폰앱 버튼 누르니 뇌에 칩 심은 쥐가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2019.08.08
- 시공간적 해상도를 가져 최근 뇌 연구 및 뇌 질병 치료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광유전학은 신경약물학과 관련된 뇌 연구에 쓰이는 장치 크기가 광섬유의 경우 125~200μm(마이크로미터, 1 μm는 백만 분의 1m), 금속 약물주입관은 250~500μm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편이다. 뇌조직을 손상시키거나 정교한 ... ...
- 뇌 신경공학에도 '무어의 법칙'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9.05.22
- 특히 탐침을 내부에 이식하는 침습적 전기생리학 분야에 집중돼 있다. 그 외에 광유전학과 광학 영상 분야를 다룬다. 모든 뇌공학을 다루지는 않지만, 주요 분야는 다 포함하고 있다. 윤 교수는 “이들 분야만 해도 폭발적인 성장이 목전에 있다”며 “마치 반도체의 무어의 법칙처럼 이 분야 기술로 ... ...
- [2019 ICAN] 장소는 기억의 거점, 길을 기억하는 세포가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9.05.22
- 해마에 길에 대한 정보가 어떻게 저장되는지 빛을 이용한 뇌세포 개별 자극 기술(광유전학)과 전기생리학 측정 실험으로 확인했다. 연구팀은 GC와 MC라는 두 종류의 해마 속 신경세포를 관찰했는데, 이 가운데 GC 세포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길게 연결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정 길이 뇌에서 장소 ... ...
- [2019 ICAN]“지금은 기술이 뇌 연구의 과학적 발전 이끄는 시대” 동아사이언스 l2019.05.21
- 일으키고, 다시 그 결과를 측정해 실시간으로 뇌 3차원 구조 안에서 보여주는 ‘광유전학fMRI’ 기술을 2011년 개발한 게 대표적이다. 치매와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질환과 뇌전증을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 중이며, 이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스타트업(초기창업기업) ‘엘비스(LVIS)’를 2015년 6월 ... ...
- 공포치료·시공간 정보처리 과정 밝힌 신경공학, 뇌 연구 혁신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2019.05.20
- 자극을 더하면 효과가 훨씬 좋 빛을 이용해 신경세포의 움직임을 세밀하게 조절하는 광유전학 기술을 적용했다. 연구진은 "이 회로를 조절하는 약물이나 기술을 개발하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를 치료하는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 "과학포기자 만들지 않아요" 함께 읽고 춤추고 실험하는 과학교사들 2019.05.15
- 또 다른 연극 무대를 짰다. 미세플라스틱 연극을 공연한 김예진 양(무지개초 6학년)은 “전학을 와서 수줍음이 많았는데, 연극을 통해서 자신감이 많이 생겼다”며 “미세플라스틱을 줄이고, 에너지를 절약하는 데에도 관심이 늘었다”고 말했다. 하 교사가 처음 부임한 진주 선학초에서 그의 ... ...
- ‘적이냐 먹이냐’ 순간적 판단, 뇌 속 ‘스트레스 세포’가 담당동아사이언스 l2019.04.18
- 놀라운 발견”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세포에 빛을 가해 활성을 조절하는 ‘광유전학’ 기술을 통해 실제 자극 없이도 인위적으로 쥐가 특정 환경을 좋아하게 조절하는 실험도 성공했다. 연구팀은 우울증이나 불안, 외상후스트레스장애 등 질병 치료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후속 연구를 ... ...
- 머릿속 공포기억, 시각자극으로 지운다동아사이언스 l2019.02.14
- 광(光)유전학 기법으로 강화하자 공포반응 감소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 광유전학은 빛을 쏘여 세포 활동을 조절하는 기술이다. 반대로 신경회로를 억제하자 공포반응이 줄어드는 효과가 사라졌다. 신희섭 단장은 “이전까지 경험상으로만 알고 있었던 심리치료법의 효과를 동물실험으로 ... ...
- 빛으로 뇌 유전자 조절한다동아사이언스 l2019.01.18
- 기술이 개발됐다. 현재에도 머리에 광섬유를 연결해 빛으로 유전자를 조절하는 ‘광유전학’ 기술이 있지만, 뇌에 광섬유를 심는 수술이 필요했다. 이번 연구로 보다 간편히 실험동물의 유전자 활성을 조절하는 실험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정현진 KAIST 생명과학과 연구원과 허원도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