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전학"(으)로 총 1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단백질·mRNA 필요할 때만 꺼내 쓰는 '릴리저'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5.07.23
- 공개됐다. 빛으로 생체 분자를 덩어리로 뭉치게 하거나 다시 풀어지도록 조절하는 광유전학 분자 응축물 기술은 세포 내 특정 단백질이나 mRNA 등의 농도를 높여 세포 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세포 내에 여러 단백질과 RNA가 다양하게 섞여 있기 때문에 원하는 분자만 골라서 조절하기 어렵다는 점이 ... ...
- 뇌 속 혈류 조절의 열쇠, 억제성 신경세포에서 찾아동아사이언스 l2025.07.21
- 존재하는 성상세포는 별 모양의 가지를 가진 세포다. 이를 위해 광유전학, 화학유전학, 약리학적 접근, 전기생리학적 기록, 칼슘 이미징, 내인성 광학 이미징, 초고자장 fMRI 등 다양한 첨단 기법을 종합적으로 활용했다. 그 결과 SST를 자극하면 산화질소가 빠르게 분비돼 혈관 확장이 유도되고 ... ...
- 뇌, 포도당 선택적으로 인식…식욕조절 새 패러다임 제시할까동아사이언스 l2025.07.09
- 미주신경이란 감각, 운동, 자율신경 조절까지 담당하는 신경이다. 연구팀은 광유전학적 억제 실험에서도 공복 상태의 생쥐에서 CRF 뉴런을 억제하면 동물은 더 이상 포도당을 선호하지 않고 이 회로가 영양소 선택 시 '포도당 특이적 선호'를 유도하는 데 필수라는 사실도 밝혀냈다. 이번 ... ...
- 유연 마이크로 OLED, 뇌에 삽입해 뉴런 자극한다동아사이언스 l2025.07.06
- 1m) 파장에서 제곱밀리미터 당 1밀리와트(mW/㎟) 이상의 광출력 밀도를 기록했다. 광유전학 및 생체조직 자극 응용 분야에서는 높은 수준의 광출력으로 평가된다. 소자의 수명은 10년 이상으로 계산됐다. 연구 제1저자인 이소민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연구원은 "고유연·고해상도의 마이크로 OLED를 얇은 ... ...
- '뇌과학자로 2주 살기'…IBS 고등학생 뇌과학 캠프 참가자 모집동아사이언스 l2025.06.18
- 받는다. 이번 캠프 세부 프로그램은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 동물 행동 분석, 광유전학을 활용한 세포 메커니즘 조절, 공감 능력 발현 시 나타나는 뇌 속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마우스 모델, 반응성 별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치매치료제 개발 등이다. 캠프 마지막 날에는 2주간 배운 내용을 ... ...
- 폭음 억제 신경세포 찾았다…알코올 의존증 치료 기대동아사이언스 l2025.06.11
- 기술은 형광 단백질 방출을 통해 활성화된 신경세포를 정확히 찾아내는 기술이다. 광유전학은 빛을 이용해 타깃 신경세포를 스위치처럼 켜고 끄면서 동물의 행동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이다. 단일세포 전사체학 기술은 개별 세포 수준에서 RNA 발현을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5 ... ...
- 표정·말투만 봐도 알아…복잡한 감정 어떻게 생기나 동아사이언스 l2025.05.19
-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면 B에서 공포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도 확인했다. 광유전학 기술은 세포에 빛을 조사해 신경세포 발화 등을 제어하는 기술이다. mPFC에서 편도체로의 신호 출력을 막으면 이미지, 소음, 불쾌한 경험 사이에 연결성이 생기지 않아 불쾌한 경험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 ...
- 심리적 고통만으로 '공포 기억' 형성하는 뇌회로 첫 규명동아사이언스 l2025.05.15
- 했다. 쥐의 행동 실험 모델과 뇌의 신경세포 활성을 정밀하게 조절하는 화학유전학, 광유전학 기법을 활용한 결과 PBN에서 시각적 위협만으로 공포 기억이 형성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연구팀은 부정적 정서와 고통 처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후측 대뇌섬엽(pIC)이 PBN과 직접 연결되어 있음을 ... ...
- 손상된 뇌 치료길 열리나…신경세포 복구 원리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25.04.08
- 점을 관측했다. 연구팀은 “빛을 이용해 세포의 활동을 조절하는 기술인 광유전학 기술을 이용하면 새로운 세포를 켜거나 끄면서 운동 제어에 중요한 뇌 네트워크를 조절할 수 있다”며 “헌팅턴병과 같은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길을 열 것”이라고 말했다. doi.org/10.1016/j.celrep.2 ... ...
- 좌우 뇌 역할 달랐다…타인 고통 공감, 우뇌가 좌우동아사이언스 l2025.03.31
- 생쥐를 이용해 간접 공포 반응과 직접 공포 반응을 유도하는 실험을 설계했다. 광유전학 및 칼슘 이미징 기법을 활용해 LC-ACC 회로가 공포 반응 상황에 따라 어떻게 활성화되는지를 비교·분석했다. 간접 공포를 유도한 관찰 공포 실험에서는 생쥐에게 전기 자극을 가하고 다른 생쥐가 그 모습을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