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교
뉴스
"
전학
"(으)로 총 133건 검색되었습니다.
비만의 역설…뚱뚱하면 먹는 즐거움 덜 느낀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7
뉴로텐신을 직접적으로 투여하면 여러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팀은 광유
전학
기술을 적용해 뉴로텐신 수치를 회복시켰다. 연구팀은 뉴로텐신 수치를 조절하는 방법이 인간의 비만 치료에도 통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비만인 사람은 스트레스를 받을 때 음식을 먹거나 ... ...
"누가 불렀나?"…달릴 때 남의 말 안 들리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3.26
인위적으로 비활성화하는 약물주입 실험과 뇌 신경세포의 활성도를 조절하는 광유
전학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후두정피질이라는 뇌 영역이 시각 정보 처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영역이 비활성화되면 청각 정보가 우선적으로 처리된다는 점이 발견됐다. 시청각 정보 처리를 유연하게 ... ...
"빛으로 뉴런 조작해 정신질환 치료…뇌 전극 삽입 뉴럴링크와는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5.03.19
정보 전달의 왜곡이 실제로 어떤 신경세포 회로에서 일어나는지를 밝히고 이를 광유
전학
기술로 치료할 가능성을 찾는 것이다. 그는 “곧 새로운 연구 성과도 발표할 예정이니 기대해달라”고 말했다. 이날 아산의학상 시상식에 참여한 다이서로스 교수에게는 기초의학부문 수상자에게 ... ...
머릿속 '별세포' 칼슘 신호 조절해 뇌졸중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5.02.13
허원도 KAIST 교수는 “옵토스팀원 기술의 성공적인 적용은 우리 연구팀이 개발한 광유
전학
기술을 통한 정밀 뇌기능 조절의 가능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향후 뇌 전체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버전의 옵토스팀원 개발과 함께 알츠하이머병을 비롯한 다양한 ... ...
18회 아산의학상에 칼 다이서로스·안명주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분석했다. 다이서로스 교수는 한국 의과학자들을 스탠퍼드대 연구실로 초청해 광유
전학
기술을 전수하기도 했다. 여러 연구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등 후학 양성에 힘쓰며 국내 의과학 발전에도 기여했다. 일례로 김성연 서울대 화학부 교수는 스탠퍼드대 신경과학 박사과정 ... ...
1월 과학기술인상에 최형진…비만치료제 식욕억제 기전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01
시상하부 신경핵에 많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후 빛으로 세포 활동을 파악·조절하는 광유
전학
을 활용해 쥐의 GLP-1 수용체 신경을 인위적으로 활성화하면 식사를 즉각 중단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반대로 억제하면 식사가 이어졌다. 연구결과는 GLP-1 식욕억제제의 뇌작용 기전을 ... ...
난치병 고치는 새 치료 전략…빛으로 신경·면역 조절
동아사이언스
l
2024.12.27
광생체조절은 특정 파장의 빛을 이용해 신경계와 면역계를 조절하는 기술, 광유
전학
은 빛으로 신경세포의 활성화를 조절해 면역 반응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방법이다. 새로운 플랫폼에서는 광나노소재·소자가 핵심이다. 연구팀은 생체적합성이 우수하고 빨간빛으로 작동하는 소재, 초음파에 ... ...
[동물do감] 젖은 개가 몸 흔들어 털 말리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11.08
C-LTMR은 피부를 통해 얻은 정보를 척수를 거쳐 뇌의 '부완핵'에 전달한다. 연구팀은 광유
전학
을 이용해 실험 쥐의 척추신경세포 활동과 부완핵 활동을 차단했더니 각각 약 50%씩 몸을 흔드는 동작을 기존에 비해 덜 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가 많은 동물이 겪는 가려움증을 해결하는 ... ...
[현실이 된 영화 속 과학] ③PTSD 치료 가능할까…'이터널 선샤인(2005)'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과도한 기억 형성과 공포 반응이 증가하는 것이 관찰된 것이다. 청색광을 사용한 광유
전학
기술을 통해 이 단백질의 활성화나 비활성화를 조절하자 뇌의 특정 부위에서 일어나는 신경 활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었다. 허 교수는 "단백질의 기능을 정밀하게 조절해 과도한 공포 기억 형성을 ... ...
순간 의사 결정 돕는 새로운 뇌 회로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연결하는 회로가 중요하다는 것을 밝혔다. 광섬유 이미징, 초소형 뇌심부 광이미징, 광유
전학
등의 다양한 최신 신경 연구 기법들을 활용해 전대상피질과 시상핵 회로를 조절하면 행동 선택의 편향 정도 및 방향이 바뀔 수 있음을 알아낸 것이다. 또 신경 세포의 전사체 분석을 통해 억제성 신경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