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교
뉴스
"
전학
"(으)로 총 12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스트레스를 받으면 열나는 이유
2020.05.05
무력하게 지켜볼 수밖에 없는 게 너무 괴로웠던 것이다. 오카 교수는 부모에게 아이의
전학
을 권유했고 학교를 옮긴 뒤에는 등교 발열 증세가 사라졌다. 심인성 발열은 사람뿐 아니라 스트레스를 받은 포유류와 조류에서도 관찰된다. 진화적으로 보존된 현상으로, ‘투쟁 도피 반응’의 하나로 ... ...
'뇌 신경암호' 생성원리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3
환경과 사물을 인지할 때 발생하는 신경신호를 촉각신경계에서 측정하는 방식이다. 광유
전학
기법은 빛을 이용해 특정 신경세포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방법이다. 이 기법들을 도입해 쥐들을 관찰한 결과, 억제성 신경세포 2종이 신경암호가 생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르알부민 ... ...
'껌만 씹어도 배부른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속 관문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팀은 신경세포를 빛으로 자극해 활성화시키는 광유
전학
기술을 이용해 이 신경세포를 자극하면 식욕이 크게 감소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반대로 이 세포의 활성을 억제하자 병적인 과식이나 과음 현상이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소화기의 물리적 자극을 ... ...
빛만 쪼여도 공간 기억 능력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1
조절하는 ‘옵토스팀원’ 기술을 개발했다. 빛을 이용해 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는 ‘광유
전학
’ 기술이다. 쥐 머리에 청색 빛을 쬐어주면 광수용체 단백질 여러 개가 결합하며 세포의 칼슘 통로를 열고 세포 내로 칼슘이 유입된다. 이 기술을 이용하려면 머리 속에 광섬유를 집어넣어 빛을 뇌 ... ...
빛으로 금화조에게 노래 기억 심는다
과학동아
l
2019.10.31
데 성공했다. 토드 로버츠 미국 사우스웨스턴 텍사스대 신경과학과 교수팀은 광유
전학
기술로 노래를 한 번도 배운 적 없는 어린 금화조에게 기억을 주입해 노래를 부르게 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참새목 중 하나인 금화조는 지저귀는 소리가 트럼펫 소리와 유사해서 ‘작은 트럼펫 ... ...
Wnt·자가면역질환·광유
전학
·HGP 등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누가 받나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광유
전학
기술을 개발한 업적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할 만한 업적으로 꼽았다. 광유
전학
기술은 유전자가 발현됐는지 아닌지를 빛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다. 에른스트 밤베르크 독일 막스플랑크생물리학연구소 명예소장과 칼 다이서로스 미국 스탠퍼드대 생명공학, ... ...
박수만 쳐야하는 ‘노벨상 시즌’ 돌아왔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광유
전학
’이 가장 유력한 후보로 꼽히고 있다. 노벨상에서 가장 강세를 보이는 유
전학
분야가 광학이라는 새로운 무기를 장착한 셈이다. 칼 다이서로스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가 개발한 이 기술은 파킨슨병부터 기분장애에 이르기까지 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질병의 원인을 밝히고 치료할 ... ...
[표지로 읽는 과학] 뇌에 '외국어' 능력 주입하는 시대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0.06
미국 텍사스대 신경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뇌 신경세포의 스위치를 조절하는 ‘광유
전학
’ 기법을 통해 참새목의 새인 금화조에 노래를 배운 기억을 인위적으로 집어넣었다. 이 금화조는 한번도 노래를 하는 다른 개체를 만난 적이 없는데 노래를 부르게 한 것이다. 사실상 새의 ‘언어’를 ... ...
손톱만한 뇌, 손바닥 크기로 부풀려 초미세 세포구조 정밀 관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4
방아쇠가 됐다. 직접적인 뇌 팽창 기술은 다이서로스 교수실 출신의 또 다른 천재로 광유
전학
개발에도 공을 세운 에드워드 보이든 MIT 미디어랩 교수가 2015년 처음 선보였다. 2016년 정 교수와 박정윤 강남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교수팀이 쥐의 뇌를 4배 키우는 데 성공했고, 2017년 보이든 교수와 ... ...
[2019노벨상] 전문가들이 예측하는 생물학·의학 분야 유력 후보10人
동아사이언스
l
2019.10.03
뇌의 특정 부분을 활성화시키거나, 활성화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과학자들은 광유
전학
기술을 활용해 오래 전 기억을 되살리는 방법이나 공포 트라우마에서 벗어나는 방법 등을 연구하거나 파킨슨병 등 난치성질환이 발생하는 원인을 밝히고 치료방법을 찾고 있다. 화학상 수상 예측되는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