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교
뉴스
"
전학
"(으)로 총 133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산증 극복하고 말라리아에도 저항… 환경적응 유전자 ‘총정리’
동아사이언스
l
2016.10.09
켜지듯이 잠에 빠져들게 된다. 빛으로 뇌 속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관찰하는 ‘광유
전학
’ 등 실험방법이 발달한 덕이다. 최근 몇몇 과학자 그룹이 쥐를 이용해 실험한 결과 시상하부 앞쪽에 있는 시각교차앞구역(preoptic area)에 히스타민, 노르아드레날린, 세로토닌이 작용하면 잠에 빠져들게 ... ...
“뇌질환 빛으로 치료하는 길 열었다”
2016.09.05
있는 부위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파악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광유
전학
발전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신경세포 유전자에 빛에 반응하는 염소로돕신을 넣으면 신경 신호를 더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 교수는 “7년 만에 세포막에 존재하는 염소로돕신의 ... ...
땀 흘린 뒤 마신 시원한 맥주 맛을 잊을 수 없는 이유
2016.08.16
도움이 안 되는 액체를 마셨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추정했다. 한편 광유
전학
기술을 써서 갈증뉴런의 스위치를 꺼버리면 체액이 줄거나 삼투압이 높은 생리 상태에서도 갈증을 느끼지 않아 물을 찾지 않았다. 즉 몸이 항상성을 벗어나도 이를 감지하지 못한다는 말이다. 문득 나이가 들수록 ... ...
[사이언스 바캉스 2016] 세 번째 준비물 '뇌과학'
과학동아
l
2016.07.08
※ 편집자 주 8월 6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열리는 사이언스바캉스가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바캉스에 함께할 분들이 미리 살펴보면 좋을 기사와 영상 등 '준비물' ... 똑똑한 인공 뇌 ☞ 인공 뇌에도 마음이 있을까 ☞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 ☞ 광유
전학
, 마음을 치료할 수 있을까 ... ...
KAIST ‘미생물 공장’, 올해의 떠오르는 10대 기술에 선정
2016.06.24
△무인 차량 △칩 위의 장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열린 인공지능 생태계 △광유
전학
이 함께 선정됐다. 10대 떠오르는 기술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취합해 지난해 11월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열린 글로벌어젠다카운슬에서 초안을 작성한 뒤 미래기술 글로벌메타카운슬(GMCET)에서 최종 ... ...
6월 셋째 주 개봉작 추천, ‘특별수사: 사형수의 편지’ ‘닌자터틀: 어둠의 히어로’ ‘우리들’ ‘백엔의 사랑’
2016.06.16
시선을 빼앗는 영화 은 혼자가 되고 싶지 않은 외톨이 ‘선’과 비밀을 가진
전학
생 ‘지아’ 등 아이들의 세계와 복잡미묘한 관계를 섬세하게 다루고 있다. 앞서 소개한 두 작품과는 영화의 분위기와 결이 전혀 다른 영화로, 초등학교 4학년 아이들이 주인공이다. 마냥 예쁜 포스터와는 ... ...
[충남 당진 여행 上] 석문호, 필경사에서 책임감을 돌아보다
2016.05.26
홀가분해질까 싶었는데 그렇지 않았다. 대학교 3학년 때 열다섯 살인 셋째 동생이 서울로
전학
을 왔다. 책임감은 더 무거워졌다. 엄마만큼 잘 챙겨주진 못했지만 부담감은 컸다. 혹여나 엇나가지는 않을까. 동생 걱정이 먼저였다. 대학 합격 소식을 듣고서야 마음을 놓을 수 있었다. 그제야 내가 ... ...
‘광유
전학
’ 치료 첫 임상시험 순항 중
2016.05.22
더 활발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프랑스의 ‘젠사이트 바이올로직스’사도 광유
전학
을 활용한 원숭이 실험을 끝내고 내년 초 임상시험을 계획 중이다. ... ...
수면과 암기력, 무슨 관계인지 보니
2016.05.13
주는 식으로 공포 반응을 학습시켰다. 이후 쥐가 잠들어 렘수면 단계에 들어갔을 때 광유
전학
기술을 이용해 일부 쥐의 뇌에서 기억에 관여하는 부위로 알려진 해마의 신경 작동을 껐다. 그 결과 렘수면 동안 방해받지 않은 쥐는 소음이 들리면 공포 반응을 보이거나 철로 된 바닥에 가까이 가지 ... ...
‘RC카’ 조종하듯 세포 소기관 조종하는 기술 개발
2016.04.17
루게릭병 등 신경질환 치료는 물론 항암치료에도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광유
전학
이란 피부를 투과할 수 있는 빛을 비춰 세포 내 단백질의 기능을 제어하는 새로운 연구 분야다. 연구팀은 청색 빛에 반응하는 식물의 청색광 수용단백질에 세포 소기관의 생체막에 존재하는 ‘랩 단백질’을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