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스페셜
"
오른쪽
"(으)로 총 75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
2017.11.29
약한 대신 다른 모듈의 노드들과의 네트워크는 활발했다. 반면 역시 전두엽에 있는
오른쪽
상전두회(superior frontal gyrus)와 양쪽 측두-두정 연접부(temporo-parietal junction)의 경우는 같은 모듈의 노드들과는 네트워크가 활발했지만 다른 모듈의 노드들과는 네트워크가 약했다. 머리가 좋은 사람들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
2017.11.21
낸다. 최근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구충제 니타족사나이드(왼쪽)과 이버멕틴(
오른쪽
)의 분자구조. - 위키피디아, 브리스톨대 제공 ● 이버멕틴, 항암 칵테일 요법에 활용될 듯 한편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 8월 29일자에는 2015년 노벨생리의학상에 빛나는 구충제 이버멕틴이 난소암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크기 조각(M)에는 캡슐 표면의 당단백질 두 종(Gc와 Gn)의 유전자가 있다. 작은 조각(S, 그림
오른쪽
에 보이는 작은 고리로 M은 오타다)에는 핵단백질(NP)과 비구조단백질(NS)의 유전자가 있다. - Biomedical reports 제공 SFTS바이러스의 유전자는 불과 다섯 개로 이 가운데 전염성에 관련된 건 바이러스 껍질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덩굴이 서로 엉켜 자라고 있는 모습이다. 가운데는 하늘색 꽃이 핀 나팔꽃이고
오른쪽
은 짙은 남보라색 꽃이 핀 둥근잎나팔꽃이다. - 강석기 제공 ● 나팔꽃 두 종 자생 ‘나팔꽃이 이렇게 많았나?’ 매일 아침저녁으로 산책을 하는 천변이지만 며칠 전에야 필자는 곳곳에 나팔꽃이 있다는 사실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유입될 경우 별 표면 온도가 올라가 수소융합반응이 일어나면서 껍질이 폭발한다.
오른쪽
은 백색왜성 부분을 확대한 이미지다. - 네이처 제공 ● 질량에 따라 격변변광성의 운명 갈려 학술지 ‘네이처’ 8월 31일자에는 앞에 인용한 ‘세종실록’에 기록된 문구가 ‘신성’이라는 천문 현상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해변에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널려있다. 아래 왼쪽은 그물이 엉킨 바다거북의 모습이고
오른쪽
은 플라스틱 조각을 집으로 쓰려고 하는 소라게의 모습이다. - 미국립과학원회보 제공 ● 플라스틱 제조 누적량은 83억 톤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7월 19일자에는 지금까지 인류가 만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대사가 주목받고 있는데 그 결과가 다양한 방식으로 인체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오른쪽
위에서부터 질병 위험성, 생체적합성, 독성, 약물효율). - 사이언스 제공 ● 항생제 처방을 자제해야 하는 또 다른 이유 학술지 ‘사이언스’ 6월 23일자에는 우리가 섭취한 생체이물을 처리(대사)하는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엉성하게 붙잡고 먹는 반면(왼쪽) 회로가 있는 변이생쥐는 제법 그럴듯하게 쥐고 먹는다(
오른쪽
). - 사이언스 제공 예를 들어 소면처럼 생긴 파스타인 카펠리니를 줄 경우 정상생쥐는 양 발바닥 사이에 엉거주춤하게 잡고 갉아먹는 반면 변이 생쥐는 사람처럼 발가락으로 카펠리니를 쥐고 먹는다. 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이를 해석해 습도를 추론하는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 칸의 왼쪽이 습도가 높을 때이고
오른쪽
이 습도가 낮을 때이다. 2015년 논문에 실린 자료로 초파리(B)의 경우 2016년과 2017년 두 가지 습도수용체가 잇달아 발견되면서 수정이 필요하다. 즉 기계감각뉴런(mechano)을 바퀴벌레(A)처럼 mechano(dry cell)과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⑪ 외국인 혐오증은 진화적 본성이다?
2017.07.16
왼쪽) 일본 내 반한 시위. 한국과 단교할 것을 주장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오른쪽
) 외국인범죄 척결연대 회원의 다문화 정책 반대 시위. 외국인 혐오증은 인류의 마음 속에 단단하게 자리잡은 진화적 본성이다. - 연합뉴스 제공 ● 길을 내는 자, 성을 쌓는 자 돌궐 제 2제국의 재상이었던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