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스페셜
"
오른쪽
"(으)로 총 75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게르마늄’ 존재 믿은 멘델레예프 주기율표를 제안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3
준비하는 과정에서 만든 주기율표 초안 원본(왼쪽)과 이를 알아볼 수 있게 정리한 인쇄물(
오른쪽
). - 자료: 사이언스 멘델레예프의 예측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이 원소들은 모두 발견됐다. 에카-붕소는 1879년 지금의 스칸디움(45번)으로 밝혀졌고 에카-알루미늄은 1876년 지금의 갈리움(68번)으로, ... ...
[Science토크] 면역항암제는 암 정복에 장밋빛 미래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1.20
투여하면 이런 결합이 억제된다. T세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며 암세포를 파괴한다(
오른쪽
). 과학동아(일러스트 정은우) 인체에 침입한 바이러스나 균, 암세포 등을 공격하는 면역세포 중 대표적인 게 T세포다. 이 면역세포가 과도하게 활성화하면 류머티스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이 생긴다. 이를 ... ...
미세플라스틱 몸속 들어오면 세포 꼼짝 못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아직까지 밝혀진 바 없었다. 미세플라스틱이 유입된 제브라피시 배아의 미토콘드리아(
오른쪽
)은 정상(왼쪽)에 비해 형태가 일그러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자료: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구진은 미세플라스틱이 제브라피시 배아의 난막을 통과해 체내에 축적되는 것을 확인했다. 형광 분석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러거스트대의 저명한 미생물학자 셀먼 왁스먼 교수(왼쪽)와 제자 보이드 우드러프(
오른쪽
)가 실험실에서 포즈를 잡았다. 1940년 사진으로 왁스만 교수의 인자한 미소와 우드러프의 겸손한 자세가 인상적이다. 러거스트대 제공 저명한 미생물학자 셀먼 왁스먼(Selman Waksman)이 이런 사람 아닐까. 미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다이어트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
2019.01.02
두끼만 먹는다. D는 세끼를 먹되 하루 권장량의 25% 수준이다. F는 하루 종일 굶는 경우다.
오른쪽
아래 도표는 요일별 식단으로 위에서 두 번째 줄이 시간제한섭식(TRF)이고 아래 세 가지가 간헐적 단식의 다른 버전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아침을 거르는 시간제한섭식(C)은 효과가 없거나 해로울 수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양이 혓바닥이 까끌까끌한 이유
2018.12.25
가늘어지기 때문이다. 위는 고양이 혀의 단면(왼쪽)과 말렸을 때 돌기가 일어선 모습(
오른쪽
)이고 아래는 이를 모방해 만든 빗이다. 일반 빗과 비교한 결과 고양이 혀를 모방한 빗의 성능이 훨씬 더 뛰어났다. ‘미국립과학원회보’ 제공 페르시아고양이는 관리가 필요해 개에는 훨씬 못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신이 못 잡는 독감 바이러스, 항체가 잡는다
2018.12.18
바이러스의 게놈에 넣어주면 나노항체를 만들 수 있다. 아래 흰 분자가 항원이다(
오른쪽
). ‘사이언스’ 제공 그런데 낙타 혈장에 전형적인 항체와 함께 특이한 항체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보통 항체는 Y자 모양으로 긴 사슬(heavy chain) 두 개와 짧은 사슬(light chain) 두 개로 이뤄져 있다. ... ...
[여기에 과학]뒤짱구는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적 흔적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왼쪽)와 네안데르탈인(
오른쪽
) 두개 골을 비교한 모형. 뇌 용량은 네안데르탈인이 조금 더 크지만, 소뇌는 호모사피엔스가 8배 가량 더 크다. - Wikimedia Commons/Dr MikeBaxter 제공 인류학자들은 아프리카에서 기원한 인류가 전 세계로 퍼져나가면서 인류 종간 이종교배를 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00년 전 가야시대에 정말 차나무가 들어왔을까
2018.12.11
계통도로 녹차(녹색)와 커피(고동색), 카카오(갈색)이 따로 진화했음을 보여준다.
오른쪽
빈 녹색은 녹차 이외의 동백나무속(Camelia) 식물의 NMT 유전자다. ‘분자 식물’ 제공 연구자들은 카테킨과 테아닌, 카페인의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자 네트워크를 규명하는 데 노력을 집중했다. 참고로 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몸통 검댕 나노입자의 탄생
2018.12.05
라디칼(가운데)이 달라붙어 눈덩이처럼 커지면서 지름 10~50㎚인 공 모양의 검댕 나노입자(
오른쪽
)가 된다. ‘사이언스’ 제공 그리고 검댕 나노입자들이 뭉쳐 미세먼지가 되고 미세먼지가 뭉쳐 맨눈에 보이는 시커먼 검댕이 되는 과정은 잘 알려져 있다. 검댕은 디젤이나 가솔린 같은 석유류뿐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