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스페셜
"
오른쪽
"(으)로 총 75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때문이다. 왼쪽 위는 남성 오른손, 왼쪽 아래는 남성 왼손,
오른쪽
위는 여성 오른손,
오른쪽
아래는 여성 왼손의 데이터로 모두 약지가 클수록(가로축) 손가락 비율 값이 작다(세로축). 남성의 손가락 비율 값이 작은 건 여성보다 손이 크기 때문이라는 말이다. ‘영국왕립학회보 B’ 제공 물론 손가락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조 힌 치오,염색체와 매카시즘
2019.06.06
치오의 공이다. 1956년 코펜하겐에서 열린 국제인간유전학회에서 발표 중인 치오. (
오른쪽
) 알버트 레반. Victor McKusick(cc)/University of Lund 식민지 출신으로 유럽의 여러 나라를 오가며 살아야 했던 치오의 평범하지 않은 여정이, 염색체 숫자 48에 도전하게 만들었는지 모른다. 치오는 분명 자신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체이면서 동시에 초유체인 물질은 정말 존재할까
2019.06.04
격자에 해당)이 결맞음 행동을 보여 초유체(보스-아인슈타인 응축)임을 나타낸 그림이다.
오른쪽
은 방울 사이에 결맞음이 없는 평범한 고체 상태다. 하늘색은 원자의 밀도가 낮은 영역이고 빨간색이 짙어질수록 밀도가 높다. 네이처 제공 1957년 미국의 이론물리학자 유진 그로스는 고체이면서 동시에 ... ...
염색체가 ‘스토커 단백질’ 만나면 암 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3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 연구위원(윗줄 왼쪽 세 번째), 김하진 UNIST 생명과학과 교수(윗줄
오른쪽
두 번째)가 보인다. 사진제공 IBS ‘염색체’는 생명체의 핵 안에 유전물질인 DNA가 보관된 구조 중 하나로, 이를 복제하는 과정은 생명의 필수 과정이다. 간혹 이 과정에서 오류가 생기면 돌연변이가 ... ...
몸속 뼈 건강 유지하는 핵심 유전자 발견···골다공증 치료 새 길
동아사이언스
l
2019.05.28
지난 13일자에 발표됐다. 류제황(왼쪽) 전남대 치의학전문대학원 교수와 허윤현(
오른쪽
) 광주과학기술원(GIST) 생명과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이 골 형성 및 흡수 장애를 조절해 골다공증을 막는 치료타켓을 제시했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지구온난화가 영구동토 붕괴 부른다
2019.05.28
연못이나 호수에서 나오는 온실가스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위
오른쪽
). 실제 온실가스 방출량을 측정해보면 천천히 녹는 경우 식물 성장으로 흡수되는 것과 상쇄돼 미미한 반면 갑작스러운 붕괴로 형성된 열카르스트에서는 이산화탄소뿐 아니라 메탄도 꽤 나옴을 알 수 있다 ... ...
게임몰입 청소년 10명中 6명 스스로 정상 되찾아…기대·간섭 많은 부모일수록 위험
과학동아
l
2019.05.27
게임 과몰입, 전두엽 두께 얇아져 일반 청소년(왼쪽)과 과도하게 게임을 즐기는 청소년(
오른쪽
)을 각각 30명씩 휴지기 기능성자기공명영상을 찍어 비교했다. 전두엽은 노란색일수록, 후두엽은 짙은 푸른색일수록 연결성이 좋다는 뜻이다. 단순 사고를 반복하는 게임을 많이 하면 좌우 전두엽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밝혀질 수 있을까
2019.05.21
자연선택을 통한 진화론을 생각해 낸 찰스 다윈(왼쪽)과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
오른쪽
). 그러나 인간을 두고 두 사람의 입장이 갈렸다. 월리스는 인간은 예외라고 본 반면 다윈은 인간도 예외일 수 없음을 주장한 연구결과를 발표하며 진화론을 심화시켰다. 물론 과학의 발전에서 신의 흔적을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11) 깔끔하게 코드 정리하기
2019.05.18
우연하게 별 모양을 만들었다(왼쪽). 실습으로 만든 간단한 그림판으로 ‘김’을 그렸다(
오른쪽
) 자신이 만든 그림판으로 이것저것 그려보던 아이가 문득 물었다. 신호만 이용해도 되는데 굳이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를 모르겠다는 것이다. 엔트리에서 함수의 내용을 보거나 고치려면 함수 블록을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⑥ 진화하는 인공관절 수술봇
동아사이언스
l
2019.05.14
원장(
오른쪽
)의 집도해 로보닥으로 인공관절 수술을 하고 있다. 로보닥은 밀링커터를 이용해 임플란트와 꼭 맞는 모양대로 뼈를 깎을 수 있다. 뼈를 자르는 부분과 출혈을 최소화해 수술 성공률을 높이고 합병증과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사랑플러스병원 제공 '위잉위잉' 돌아가는 밀링커터(회전식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