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스페셜
"
오른쪽
"(으)로 총 75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발사체용 로켓엔진이란 무엇인가…10개국만 보유한 극비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다음 불을 붙이면 가스가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간단한 구조다. 반면 액체 추진 로켓(
오른쪽
)은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제어를 위한 밸브, 연료에 불을 붙이는 공간인 연소 체임버, 가스가 방출되는 노즐 이외에도 그림에 포함되지 않은 여러 장치가 필요한 복잡한 구조다. -하우스터프웍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놀리틱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까
2018.11.28
알려져 있어 현재 사람을 대상으로 임상이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왼쪽은 케르세틴,
오른쪽
은 피세틴의 분자구조로 매우 비슷하다. 제공 위키피디아 학술지 ‘이바이오의학(EBioMedicine)’ 10월호에는 이렇게 해서 찾은 또 하나의 세놀리틱인 피세틴이 실험동물의 건강수명을 늘린다는 실험결과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각도가 70도인 지점이다. 이는 우리 눈이 보는 범위인 시야각 140도의 절반이다. 화면
오른쪽
이나 왼쪽 끝을 주목했을 때 반대쪽 영상이 시야에 들어오려면 70도 이내여야 하기 때문이다. 결국 8K 영상과 4K 영상 차이를 느낄 수 있는 실질적인 범위는 1.03m에서 1.31m 사이인 18㎝라는 말이다. 시력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민들레 씨앗의 유체역학
2018.11.07
과 꽃이 진 뒤 꽃자루 끝에 달린 씨앗(사실은 열매), 말단의 갓털이 공 모양을 이룬 모습(
오른쪽
). 이번 민들레 씨앗 실험에 쓰인 종이다. - 위키피디아 제공 아마도 당시 작사가가 민들레 꽃이 진 뒤 씨앗(열매) 100여 개가 맺혀 공 모양을 이룬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흩어지는 개별 씨앗을 떠올리며 ... ...
[강석기의 과학카페]합성석유가 고유가 시대 대안이 될 수 있을까
2018.10.23
공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액체연료에는 불순물이 거의 없다. 왼쪽이 합성 디젤유이고
오른쪽
은 원유에서 분별증류로 얻은 진짜 디젤유다. - 위키피디아 제공 기존 이론 한계치 가볍게 뛰어넘은 선택성 2000년대 들어 화학자들은 두 단계로 이뤄진 전통 피셔-트롭 공정 대신 한 번에 기체분자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울트라디언 리듬을 알면 삶이 편해진다
2018.09.26
나타난다. 위는 8일 동안의 데이터이고 아래는 그 가운데 24시간을 확대한 그래프다.
오른쪽
은 시교차상핵(SCN)으로 24시간 주기의 일주기리듬은 뚜렷하지만 울트라디언 리듬은 자세히 봐야 보인다. SPZ-PVN이 울트라디언 리듬을 일으킨다는 말이다. - ‘미국립과학원회보’ 제공 그 결과 SPZ-PVN는 3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두 권짜리 한글판이 나왔는데 주제에 따라 나눠 ‘성선택’ 부분인 2권이 더 두껍다.
오른쪽
은 올리버 색스가 자신의 책 가운데 가장 아꼈다는 ‘색맹의 섬’으로 한글판으로 최근 개정판이 나왔다(사진은 2015년 나온 1판). - 강석기 제공 소철 섬 괌의 풍토병 얼마 전 신문 책소개란에서 지난 201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호모 사피엔스만이 고도의 언어능력을 갖게 된 것일지도 모른다. 보노보 칸지(사진
오른쪽
)는 상징과 수화를 통해 사람과 꽤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반면 이런 수준에 도달한 침팬지는 없다. -사진 제공 위키피디아 2002년 역시 ‘네이처’에 FOXP2와 관련된 놀라운 연구결과가 실렸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빨간색) 개수에 따라 분류했다. 이황화결합이 많을수록 펩티드가 더 안정하다.
오른쪽
위 Prialt는 청자고둥의 펩티드 지코니타이드의 제품명으로 2004년 출시된 강력한 진통제다. 그 아래 ShK는 융단열말미잘의 펩티드로 이를 약간 바꾼 분자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임상이 진행되고 있다. ‘Expert Opin.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왜 남이 하는 건 항상 쉬워 보일까?
2018.09.01
듯 하고 나도 잘 할 수 있을 거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 장렬하게 도전했고 이틑날부터
오른쪽
팔을 한정된 각도 이상으로 움직이지 못하는 경험을 했다. 갑작스런 어깨 사용에 근육들이 놀랐는지 일주일 동안 밥을 먹을 때나 씻을 때, 특히 옷을 갈아입을 때 무서운 통증을 경험했다. 영상 속에서는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