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스페셜
"
오른쪽
"(으)로 총 75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섭취량과 대장암 위험성 그래프로 매일 80그램 이상 먹어야 1.5배가 돼 차이가 느껴진다.
오른쪽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성 데이터도 비슷하다. - ‘사이언스’ 제공 예를 들어 암 위험성을 보면 가공육을 현재 유럽인 평균 수준으로 섭취할 경우 대장암 위험성이 9% 늘어나는 정도다. 흡연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박테리아가 있는 환경에서 세포분열을 하며 군체를 이루는 과정을 찍은 사진이다.
오른쪽
아래 숫자는 경과 시간과 분을 뜻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깃편모충류와 동물의 공동조상은 이미 다세포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지니고 있어 이런 군체를 형성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 ‘커런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
2018.06.26
e-dermis)를 씌워 진짜 팔로 착각할 정도의 놀라운 효과를 얻는 데 성공했다. 피부(
오른쪽
)를 모방해 만든 전자피부의 구조(왼쪽)로 표피층(epidermal layer)에 통증으로 지각될 압전저항(piexoresistive) 센서가 있고 진피(dermis)층에 촉각으로 지각될 센서가 있다. 전자피부는 실리콘고무 재질로 두께는 1mm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
2018.06.19
그린 그림으로 왼쪽은 사실적 묘사에 재능을 타고난 자폐 성향인 열 살 아이의 그림이고
오른쪽
은 그런 재능이 없는 같은 나이 아이의 그림이다. 왼쪽 코르크마개뽑이 그림을 보면 3차원 구조에 대한 이해가 명쾌함을 알 수 있다. - ‘자폐 및 발달장애 저널’ 제공 뉴턴과 디랙은 아스페르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회장 자리를 물러난다고 발표한 하워드 슐츠(왼쪽)와 2011년 작고한 애플 CEO 스티브 잡스(
오른쪽
). 두 사람이 창조한 카페문화와 스마트폰은 사람들의 일상을 바꿔놓았다. - 위키피디아 제공 스타벅스 매장에 가보면 아이폰에 받은 쿠폰을 제시하며 주문한 사이즈업 아이스아메리카노 한 잔을 앞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왜 효자손이 필요할까
2018.05.08
반응하는 다양한 종류의 수용체 세포가 있다. 표피와 진피 사이에 있는 메르켈 세포(
오른쪽
파란색)는 가벼운 물리적 자극에 반응해 신호를 전달한다. 나이가 들어 메르켈 세포가 주는 게 만성적인 가려움증의 원인이라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 - 위키피디아 제공 건조한 피부도 가려움에 취약 ... ...
우리가 네안데르탈인이 아니라 호모 사피엔스인 이유, 뇌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8.04.26
언어 능력이나 집중력 등과 관련 있다고 알려져 있다. 왼쪽은 호모 사피엔스,
오른쪽
은 네안데르탈인의 두개골 모형이다. 뇌 용량은 네안데르탈인이 조금 더 크지만, 소뇌는 호모 사피엔스가 8배 가량 더 크다. - Wikimedia Commons/Dr MikeBaxter 제공 연구팀은 네안데르탈인과 초기 호모 사피엔스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
2018.04.17
P-CAB)은 위 내강 쪽 문이 열린 상태의 양성자펌프(E2P)에 달라붙어 작용을 방해한다.
오른쪽
은 약물이 붙은 상태에서의 양성자펌프 구조다. - ‘네이처’ 제공 필자는 지난해 이맘때 위산과다 증상이 재발해 두 달 넘게 고생했다. 겨울 동안 운동 부족에 감기몸살로 밥을 제대로 못 먹었더니 몸무게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충격적인 결론을 담은 논문이 실렸다. 실험 데이터로 왼쪽은 신생아의 해마이고
오른쪽
은 어른의 해마다. 신생아의 경우 미성숙 뉴런(녹색)이 꽤 많은 반면 어른은 전부 성숙한 뉴런(빨간색)이다. - ‘네이처’ 제공 그런데 학술지 ‘셀 줄기세포’ 4월호에 성인에서 신경생성이 일어나고 게다가 70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투(문신)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
2018.03.27
안료(녹색)를 머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른 유형의 대식세포(가운데)나 수지상세포(
오른쪽
) 내부에는 타투 안료가 없다. - ‘실험의학저널’ 제공 연구자들은 이번 발견이 레이저 시술로 문신을 지울 때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즉 레이저 펄스에 대식세포가 죽고 문신 안료를 토해냈을 때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