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스페셜
"
오른쪽
"(으)로 총 750건 검색되었습니다.
콜레라, 혈액형 O형이라면 특히 조심해야
2016.09.07
온전한 형태로 존재하지 않는다. 이 경우 O형처럼 독소가 GM1에 쉽게 결합한다(아래
오른쪽
). - PLOS Pathogens 제공 실제 콜레라가 유행한 지역에 대한 역학조사를 해보면 증상에 개인차가 큼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런 개인차를 유발하는 원인 가운데 하나가 바로 혈액형이다. 즉 O형인 사람이 다른 ... ...
가장 효과 좋은 알츠하이머 치료 후보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9.04
나타난 붉은색이 알츠하이머 원인 물질로 알려진 ‘아밀로이드다. 1년 후 촬영한
오른쪽
이미지에선 붉은색이 대부분 사라졌다. 미국 생명공학기업 ‘바이오젠(Biogen)’은 스위스 취리히대 등 국제 공동연구진과 함께 현재까지 개발된 알츠하이머 치료제 중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는 신약후보 ... ...
유사 블랙홀로 호킹복사 관찰했다!
2016.08.29
호킹복사를 강물과 물고기로 비유한 그림. 앞의 그림과 좌우가 바뀐 상태다(즉 왼쪽에서
오른쪽
으로 흐른다). 자세한 설명은 본문 참조. - 네이처 물리학 제공 ● 극저온에서 음향 블랙홀 만들어 학술지 ‘네이처 물리학’ 8월 15일자 온라인판에는 유사 블랙홀에서 유사 호킹복사를 확인하는데 ... ...
땀 흘린 뒤 마신 시원한 맥주 맛을 잊을 수 없는 이유
2016.08.16
갈증해소에 도움이 안 되는 소금물(왼쪽)을 마시거나 건조한 찬 금속막대를 핥아도(
오른쪽
) 갈증뉴런의 스위치가 꺼지며 갈증이 완화된다. 한편 찬물을 마실 경우 같은 양의 따듯한 물보다 갈증해소효과가 더 크다(가운데). 즉 갈증뉴런은 실제 몸의 수분 상태가 아니라 구강에서 오는 감각신호를 ... ...
4000년 전 중국 대홍수 유적 찾았다!
2016.08.08
대홍수가 일어나 수천 킬로미터에 이르는 지역이 물에 잠기고 지형이 달라졌다. 지도
오른쪽
을 보면 대홍수 이전 황하 하류(아래쪽 파란색 점선)와 이후 하류(위쪽 파란색 점선)가 크게 바뀌었음을 알 수 있다. 파란색 실선은 오늘날 물줄기이다. 이번 발굴로 초기 청동기 문화인 얼리터우 유적(Erlitou ... ...
[타운이 만난 사람들-멘티편] “무엇을 찾아야 할지 자신이 잘 알아야 해답을 얻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8.05
찾는 데 6개월이 걸렸죠. 학창시절 받은 수많은 상장(왼쪽)과 습관이 된 아이디어 노트(
오른쪽
). 학창시절 내내 키운 발명 습관으로 이제는 기록해두지 않으면 잊어버릴 만큼 많은 아이디어가 떠오른다고 한다. - 숯진주연구소 제공 ▸고등학교 때 생각한 아이디어라면 계속해서 이 아이템을 ... ...
국제학술지 표지논문 영광 뒤엔 화려한 그림 한 장
동아사이언스
l
2016.08.01
나가 5명의 학생을 가르치고 있다. 메드아트(Medart)의 윤관현 대표(왼쪽)와 김현주 작가(
오른쪽
). - 변지민 기자 김현주 '메드아트(Medart)' 작가가 작업하는 모습. - 변지민 기자 ▼좋은 표지그림을 그리려면▼ “정확하고 재미있게” 과학자와 합숙하며 수십 번 고치고 또 고치고 이영희 ... ...
사람을 사냥꾼으로 부리는 꿀잡이새를 아시나요?
2016.07.25
사람과 신호는 주고받아도 접촉하지는 않기 때문에 촬영을 위해 그물로 사로잡았다.
오른쪽
은 꿀잡이새가 처음 따라오라는 신호를 보낸 방향을 표시한 것으로 최종 목적지(bee's nest) 쪽에 집중돼 있음을 알 수 있다. - 사이언스 제공 ● 매는 배부르면 날아가 버려 이런 측면에서 사람과 새가 함께 ... ...
광(光) 자극으로 조정하는 ‘가오리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6.07.10
등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광 활성을 띤 머리 부분에 왼쪽과
오른쪽
2개로 구분한 광 자극의 주파수를 각각 1.5㎐, 3㎐처럼 서로 다르게 하면 가오리 로봇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주파수가 같을 경우 앞으로 전진한다. - 사이언스 제공 [☞기사 바로가기] 초소형 ‘가오리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
2016.06.20
지난 2014년 플로레스섬 마타멩어에서 70만 년 전 인류의
오른쪽
아래턱뼈 일부(가운데)와 치아가 발견됐다. 분석 결과 2003년 발굴된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의 턱뼈(위)와 구조와 크기가 비슷해 그 직계조상으로 보인다. 이들은 호모 에렉투스가 왜소화된 인류라는 게 유력한 가설이다. 아래는 호모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