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전령RNA 사라지는 과정 규명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발견했다. 이로써 김
교수
팀은 전령RNA의 분해과정을 상세히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김
교수
는 “전령RNA가 분해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게 된 만큼 유전자 연구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
[과학뉴스] 시대별로 달라진 ‘모나리자’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이용해 모나리자의 시대별 변천사를 재현해냈다.정하웅 KAIST
교수
팀과 손승우 한양대
교수
팀은 중세부터 19세기 사실주의 시대까지 1000년에 걸친 서양화 1만 여 점을 분석해 명암과 색채 등을 변수로 하는 함수를 만들었다.이 함수에 따르면, 시대에 따라 명암의 강도는 점점 높아졌다. 즉 배경에 비해 ... ...
Part 2. 도시에선 고양이가 최고 포식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길고양이가 도시의 ‘대장’이 된 이유는?길고양이가 많이 보이는 이유는 간단해. 도시에 잘 적응했기 때문이야. 우리 고양이들은 원래 야생에서 살았어. 산에서 흘러들어온 야생고양이와 시골에서 키우던 ‘쥐잡이’ 고양이들이 도시로 변한 자신의 영역에서 계속 번식해 사람들이 ‘코숏’이라 ... ...
2015 지구사랑탐사대 모집!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등 다양한 생물을 탐사하는 프로그램이에요.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
님을 포함해,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직접 진행하는 현장교육을 받을 수 있어요.2015년부터는 식물 탐사가 추가되고 꿀벌 탐사가 심화되는 등 더욱 풍성한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랍니다. 온 가족이 함께하는 ... ...
Part 1. 우롱이 생태일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단독보도 충격! 잇달아 사라지는 고양이들, 대체 무슨 일이?길에서 만난 방울(수컷, 1살) 씨는 “무서워서 밖으로 나갈 수가 없다”고 호소했다. 작년 말, 강동구에서 태어난 방울 씨는 13번지 주택가에서 계속 살았다. 그런데 얼마 전 무서운 일이 일어났다. 영역을 순찰할 때 마주치던 고양이 두 마 ... ...
말과 코뿔소의 고향은 인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4호
기제류 동물의 고향이 인도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켄 로즈
교수
연구팀은 2001년부터 인도 뭄바이 근처 석탄광에 있는 약 5000만 년 전의 신생대 지층을 조사했어요. 이곳에선 수많은 고대 생물의 뼈가 발견됐지요. 그 중에는 ‘캄베이테리움’이라는 고대 동물의 뼈 ... ...
점심 먹고 돌아서면 저녁 준비해야 하는 내온동물의 삶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4호
일찍 일어나는 새가 벌레를 잡는다.’ 이 속담은 과학적으로 맞는 얘기일까요? 내가 만약 새였다면 아침에 일찍 일어나 벌레를 잡으러 돌아다녔을 것 같아요. 새벽에 야외에 나가 보면 잠자리 같은 곤충들이 풀에 앉아 있는 모습을 볼 수 있거든요. 몸에 이슬이 동글동글 맺혀 있는 걸 보면 밤새 그 ... ...
총알보다 빠른 혜성에 착륙하라! 로제타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4호
최근 유럽우주국(ESA)이 탐사로봇 ‘필래’를 혜성에 착륙시키는 데 성공했어. 이 착륙을 위해 탐사선 로제타는 필래를 싣고 10년 8개월이나 비행했지. 가 창간되던 해에 지구를 떠난 탐사선이 이제야 혜성을 만난 거야. 정말 영화 같은 일이지?그런데 로제타 탐사선 말고도 영화 같 ... ...
산타도 깜짝 놀란 착한 과학 선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4호
했답니다.그 후 20년이 지난 지금, 마누 프라카시는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생물공학과
교수
가 되었어요. 그리고 ‘프라카시랩’ 연구실을 만들어 어릴 적 꿈을 이루는 데 성공했지요. 종이 한 장과 전구, 렌즈만으로 현미경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 거예요. 단돈 천원으로 살 수 있는 이 현미경은 ... ...
2014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 미래의 생태학자들, 한자리에 모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4호
지사탐의 활동을 바탕으로 곧 수원청개구리 복원 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랍니다. 장이권
교수
님은 수료식에서 “여러분이 자연과 재미있게 놀며 꾸준히 탐사에 참여한 덕분”이라고 감사 인사를 전했어요.각 탐사별 수료 기준을 모두 충족한 수료 대원들은 수료식에서 제인 구달 박사님이 운영하시는 ... ...
이전
607
608
609
610
611
612
613
614
6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