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두꺼운 패딩 벗어야 겨울 추위 이긴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무조건 따뜻하게 입는 것은 오히려 건강에 좋지 않다. 최정화 서울대 의류학과 명예교수가 1992년 전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겨울철 옷을 따뜻하게 입는 학생이 옷을 적게 입는 학생에 비해 감기에 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두꺼운 옷이 활동량을 떨어뜨렸고, 그로 인해 면역력이 ... ...
- INTRO. 상대성이론 vs 양자역학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높은 순위를 받았겠지만 과학자들에게는 거의 꼴찌를 받았을 것”이라고 단언했다.국 교수는 설문조사에서 한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짚어냈다. 과학자 집단의 노력에 따라 과학적 성과의 중요성에 대한 우선순위가 바뀔 수도 있다는 사실이다. “과학자는 흔히 뛰어난 연구결과를 성취하는 것만을 ...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등이 발전해왔지만 아직 어느 길을 가야할지 확실하지 않습니다. 내가 루카스 교수 취임 연설에서 ‘이론물리학의 끝’에 관해 언급할 때 내 마음 속에 있던 건 초중력이론이었습니다만, 초중력은 이제 빛이 바랬습니다. 우주상수와 암흑에너지, 중력파와 인플레이션 등 아직도 우리가 이해하고 ... ...
- [과학뉴스] 시대별로 달라진 ‘모나리자’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이용해 모나리자의 시대별 변천사를 재현해냈다.정하웅 KAIST 교수팀과 손승우 한양대 교수팀은 중세부터 19세기 사실주의 시대까지 1000년에 걸친 서양화 1만 여 점을 분석해 명암과 색채 등을 변수로 하는 함수를 만들었다.이 함수에 따르면, 시대에 따라 명암의 강도는 점점 높아졌다. 즉 배경에 비해 ... ...
- [Hot Issue] 인공유산 여전한 우리나라, 여초시대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일본 와세다대 행동생태학자인 하세가와 마리코 교수 역시 저서 ‘당신이 솔로일 수밖에 없는 생물학적 이유’에서 “딸이 노후를 보살펴준다는 생각 때문에 최근 일본 사회에 딸을 원하는 사람의 비율이 늘고 있지만, 노후 생활이 보장되고 사회복지가 고루 ... ...
- [Knowledge] 최초의 섹스, 판피어의 은밀한 사생활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한국의 과학동아 독자 여러분은 혹시 ‘판피어(placoderm)’라는 물고기를 아시나요? 약 4억 3000만~3억6000만 년 전 고생대 데본기에 번성했던 원시 물고기입니다. 최초로 턱에 뼈가 생겨난 물고기 (유악류)로, 지금은 멸종해 화석으로만 만날 수 있지요. 머리와 몸통은 마치 갑옷처럼 생긴, 뼈로 된 판에 ... ...
- [Life & Tech] 전자담배 해롭긴 마찬가지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동안 추적 조사를 해야 한다. 그 전까지는 어떤 악영향을 줄지 아무도 정확히 모른다. 신교수는 “국내 시판 중인 전자담배는 대부분 중국 등지에서 수입되는 것으로, 제작 표준이나 안전 기준조차 마련돼 있지 않다”며 “액상의 니코틴 함량이 제 각각이고 표기조차 돼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 ...
- [수학뉴스] 뒤틀리는 비누막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일본 오키나와대 과학기술대학원 엘리엇 프라이드 교수팀은 비누막이 변형될 때 비누막에 작용하는 힘과 모양 사이의 관계를 밝혀, 영국왕립학회지A에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비누막이 뒤틀리는 것은 비누막의 표면장력과 같은 힘이 고리에 가해지기 ... ...
- [수학뉴스] 계산 실력이 미래의 지갑 두께를 결정한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보였다. 과도한 자신감으로 무리한 투자를 한 것이다.엘렌 피터스 오하이오 주립대 교수는 “계산을 두려워하는 사람은 숫자만 봐도 바로 문제를 포기해 버리는 경우가 많다”며, “이 때문에 세금을 내거나 자신에게 맞는 보험 상품을 고르는 데도 어려움을 겪는다”고 밝혔다 ... ...
- 그들이 말했다, "빛이 있으라!"수학동아 l2015년 01호
- 플라즈모닉스를 연구하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주로 홀로그램을 연구하던 이 교수는 2005년부터 표면 플라즈몬 연구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이 분야에 뛰어들었다고 해요.연구단은 빛을 플라즈몬으로 바꾼 뒤 볼록렌즈와 같은 장치를 거쳐 한 점에 모으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때 빛이 모이는 점을 ... ...
이전6046056066076086096106116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