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내가 평범한 개로 보이니?”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눈 앞에 개 사진이 한 장 떴다. 요즘 SNS에 자주 올라오는 그런 흔한 사진이었다. 그런데 설명을 들어보니 결코 평범한 사진이 아니란다.“지금 이 사진에, 워드프로세서 문서 ... 풀어라’는 2월까지 이어진다. 2월에는 그래프이론과 이산수학 전문가 엄상일 KAIST 수리과학과 교수가 맡는다 ... ...
- [Knowledge] 그 많던 플라스틱은 누가 다 먹었을까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박사는 톰슨 교수의 가설을 다시 검토했다. 영국 플리머스대 해양생물학과 리처드 톰슨 교수는 실종된 플라스틱이 어디로 갔을지 여러 가설을 세운 사람이다. 그가 세운 가설은 다음 다섯가지다.1. 플라스틱이 채집그물을 통과할 정도로 아주 작게 쪼개졌다2. 해안으로 떠밀려왔다3. 해양 동물에게 ... ...
- [Life & Tech] 사랑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뒤 새로운 활동 위주로 시간을 보낸 커플들의 친밀도가 훨씬 증가했습니다.[루시 브라운 교수가 실제로 사용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fMRI).] 사랑에 유통기한은 없다수많은 시인과 가수들이 사랑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그것을 노래한 것은 과학적으로도 당연합니다. 사랑은 갈증, 배고픔처럼 ... ...
- 가장 깊은 곳에 사는 물고기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위트만대학교 생물학과 폴 얀시 교수 연구팀은 해양 연구선 ‘팔코어’를 타고 세계에서 가장 깊은 마리아나 해구 주변을 탐사했어요. 그 결과 수심 약 8143m에 사는 물고기를 발견해 발표했어요. 그동안 심해어가 발견된 가장 깊은 곳의 수심은 약 7700m였어요. 이번 발견으로 더 깊은 곳에서도 ... ...
- 무척추동물의 뇌는 모두 닮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모든 무척추동물의 뇌 구조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는 사실을 알아낸 거죠.스트로스필드 교수는 “무척추동물의 동일한 뇌 구조는 약 600만 년 전 이들이 하나의 공통 조상으로부터 분화돼 진화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밝혔어요. 연구팀은 앞으로 척추동물의 뇌도 조사할 계획이라고 해요. ... ...
- [Hot Issue] 누구도 완벽한 결정을 내릴 순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능력을 떨어뜨린다. 결정에 대한 불안도 마찬가지다. 미국 드폴대 심리학자 페라리 교수는 우유부단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선택 과정에서 정보를 더 열심히 찾는 경향을 보이지만 이 과정이 매우 비효율적이라고 발표했다. 우유부단한 사람은 이미 확인한 정보를 몇 번이나 반복해서 ... ...
- [Knowledge] 뉴턴이여, 나를 용서하시길!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색에 관한 새로운 이론’으로 유명해졌고, 그 덕분에 모교인 케임브리지대의 루카스 석좌교수가 됐다. 아인슈타인이 ‘빛알’ 또는 ‘광양자’ 개념을 다룬 논문 ‘빛의 발생과 변환에 관한 발견적 관점(빛알 이론)’은 뉴턴이 평생의 연구로 쌓아 놓은 광학의 업적들을 뒤집는 것이었다. 이것은 ... ...
- Part 3 엄마 핏줄이 더 당긴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친할수록 도와 줄 가능성이 높다고 하면 친사촌이 도와 줄 확률이 더 크지 않을까. 전 교수는 “우리나라 문화를 반영한 연구에서는 이종사촌 다음으로 친사촌이 도와 줄 확률이 높게 나왔다”고 밝혔다. 꼭 핏줄에 끌리는 게 다는 아니라는 소리다. 생사가 달린 위기 상황에선 어린 순서대로만약 ... ...
- [생활] 교묘한 데이터 조작, 벤포드 법칙은 못 속인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장부를 조작했다는 사실을 벤포드 법칙으로 밝혀내면서 단숨에 유명해졌다.니그리니 교수는 회계 장부에 나타난 첫 자릿수 숫자의 빈도를 구한 뒤 벤포드 법칙과 비교했다. 그러자 첫 자리에 1이 나오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고, 7, 8, 9가 너무 많았다. 그는 장부 조작을 의심했고 회계 감사팀에 보고해 ... ...
- [Life & Tech] 사랑은 얼음스케이트를 타고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과학의 옷을 입고 나날이 더 빠른 기록을 내는 이유입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바우덴 교수가 스키가 달릴 때 스키와 눈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열을 계산한 결과, 수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물 층이 만들어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습니다.최근에는 얼음이나 눈은 온도가 아무리 낮아도 표면에 ... ...
이전6026036046056066076086096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