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참여] 수학으로 그려 본 나의 미래 KAIST 수리과학과 & 국가슈퍼컴퓨팅연구소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일정한 수준에 이르기 전까지는 실력이 쌓이는 게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곽 교수는 그 시기에 좌절하지 않고 꾸준히 해야 큰 산을 넘고 수학에 눈을 뜰 수 있다고 독자 기자를 격려했다.하고 싶은 일이라면 주저하지 마세요!강연이 끝난 뒤, 독자 기자는 카이스트 수학문제연구회 학생들을 ... ...
- Part 4. 쓰레기가 동물을 먹여살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도시의 ‘생산자’는 사람이다?놀라긴. 도시생태계의 동물들에게 가장 중요한 먹이는 바로 사람들이 버린 음식물 쓰레기야. 왜 쓰레기를 먹고 사냐고?자연생태계의 먹이사슬은 영양분을 만드는 생산자(식물), 생산자를 먹는 1차 소비자(곤충, 초식동물), 1차 소비자를 먹는 2차 소비자(육식동물)로 ... ...
- [수학뉴스] 현동훈 포스텍 수학과 교수 2014년도 젊은과학자상 수상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조금씩 결과를 내고 있습니다. 아마 이런 것이 수학의 매력인 것 같아요.”마지막으로 현 교수는 미래의 수학자를 꿈꾸는 청소년들에게 응원의 말을 전했다.“만약 수학자가 되고 싶다면, 일단 누군가로부터 체계적으로 깊이 있는 교육을 받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입시나 선행 학습의 위주가 아닌 ... ...
- [생활] 수학나라로 간 피노키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피노키오는 꾀병을 부릴 수도,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마음을 숨길 수도 없다. 사소한 거짓말만 해도 딸꾹질이 나 모든 게 들통나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거짓말이 나쁘다고 하면서도, 사실만 이야기하는 피노키오를 불편해 한다. 때론 ‘하얀 거짓말’도 필요한 게 세상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항 ... ...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종류를 밝혔다.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모든 정다면체는 구에 내접할 수 있다.캐롤린 교수는 이를 활용해 구 안에 정다면체가 내접했다고 가정하고 구 표면에 정다면체의 핵심 요소를 표시했다. 예를 들어 꼭짓점에는 별을 표시하고 그 별을 직선으로 이어 구획을 나눴다. 이렇게 구형의 털뭉치 위에 ... ...
- Intro. 도시생태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우리집에는 골칫덩어리가 하나 있어. 집과 밖을 오가는 자유로운 외출고양이 ‘우롱’이가 바로 그 주인공이야.한겨울이라 외출도 금지했건만, 일주일에 한 두 번씩은 몰래 도망쳐서 놀다 오는 거 있지? 아닌 척 시침을 떼지만 새카맣게 변한 발바닥이 그 증거라고!유난히 잠이 오지 않던 밤, 뒤척 ... ...
- 어렵지 않아요! 투명 망토 만드는 세 가지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공중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인답니다. 사소한 현상에서 투명 망토를 생각해낸 호웰 교수팀의 지혜가 놀랍지 않나요? 셋 볼록렌즈 4개로 만드는 투명 망토오호라, 머글도 꽤나 쓸 만한 걸 내놓는군. 또 다른 거 없어? 포터에게 한 방 먹일 수 있는 아주 근사한 투명 망토 말이야.빛을 모으거나, 흩어지게 ... ...
- [지식] 녹아버린 초콜릿에서 영감을 얻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되어 음식을 데우고 또 사라지는지를 계산하는 데 쓰였다.이렇게 만든 수학 모델로 버드 교수는 음식을 가장자리에 놓을 때와 중앙에 놓을 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온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그래프로 표현했다. 그래프에서 빨간색 점선이 수학 모델로 예측한 결과이며, 파란색 실선이 실험 결과다 ... ...
- [매스투어] 불교문화 속 띠군을 찾아~ 태국으로!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사왓디 카~.이슬람의 패턴을 찾아 갔던 말레이시아 여행(수학동아 2014년 11월호 참조)에 이어 이번에는 불교문화 속에 있는 띠 문양을 찾아 태국으로 떠납니다. 1000년의 불교 역사를 자랑하듯 태국에는 수많은 불교문화유산이 남아 있습니다. 거기에 아름다운 자연환경까지 겸비한 태국은 매년 2000 ... ...
- Part2. 친환경 콩코드 다시 뜰까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소닉붐을 줄이는 게 전부가 아니라고 지적한다. 최동환 인하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아무리 빠른 속도로 난다고 해도 ‘친환경’을 거스를 수는 없다”며 “초음속 여객기가 다시 상용화되려면 무엇보다 연비를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의 첨단 항공기업 아에리온의 테스트 매니저인 ... ...
이전6056066076086096106116126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