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사랑탐사대의 땀이 결실을 맺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수가 더 이상 줄지 않고 멸종 위기에서 벗어나려면 서식지를 보호해야 해요. 장이권
교수
님은 특히 평야 지역의 넓은 논을 보존해야 한다고 설명했어요. 왜냐하면 일반 개구리가 살고 있는 곳 주변에는 전체 면적 중 논 면적이 평균 약 37% 정도지만, 수원청개구리가 살고 있는 곳 주변은 약 65%나 되기 ... ...
너무 빨리 자라면 병? 성조숙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한단다.사춘기는 자연스러운 것박미정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성조숙증은 부모님의 관심이 아주 중요합니다. 딸의 경우 엄마가 한 달에 한 번 가슴에 멍울이 생긴 건 아닌지 만져 보거나 아들의 경우 아빠가 함께 목욕을 하면서 고환의 크기를 체크해 주세요. 사춘기를 ... ...
멸종 위기의 지구생물을 지켜라! 생물다양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필요한 환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단다. 실제 이화여자대학교의 장이권
교수
팀은 지구사랑탐사대가 올린 탐사자료를 활용해 국제적인 학술지인 생태학정보에 연구 논문을 발표했어. 올해 8월 12일에 실린 이 논문은 수원청개구리와 청개구리가 사는 곳의 차이를 연구해 수원청개구리가 논이 ... ...
항생제 이겨내는 세균 이기는 항생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바꾸어 세균이 변화무쌍하게 변신하기 때문이라는 거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김희남
교수
연구팀은 대부분의 항생제에 들어 있는 베타락탐을 슈퍼박테리아가 효소로 분해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어요. 베타락탐 분해효소를 만드는 유전자가 돌연변이 등으로 바뀌면서 새로운 항생제를 만나도 ... ...
여치의 노래를 잘 들을 수 없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친구들은 ‘귀뚜라미’ 하면 무엇이 떠오르나요? 지구사랑탐사대? 숲? 노래? 보일러? 아마 많은 친구들이 ‘가을’을 떠올릴 거예요. 선선한 가을, 풀밭에 앉아 귀를 쫑긋 세우면 ‘귀뚤~, 귀뚤~’ 하며 우는 귀뚜라미 소리를 들을 수 있지요. 그런데 그거 아세요? 가을에 신 나게 노 ... ...
귀뚜라미는 왜 수컷만 노래할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9호
2001년에는 섬 전체에서 귀뚜라미 노래를 거의 들을 수 없을 정도로 조용해졌답니다. 젹
교수
팀이 2003년에 다시 카우아이에 돌아갔을 때도 섬이 조용한 것은 마찬가지였어요. 그런데 놀랍게도 오세아니아 들귀뚜라미는 아주 많은 수가 살고 있었어요. 재밌는 점은 이들이 모두 벙어리가 되었다는 ... ...
같은 듯 다른 존재? 쌍둥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8호
조금씩 변하는데 그 차이가 복제 동물보다 적게 나기 때문이다. 목포대학교 허윤미
교수
는 “복제동물은 같은 수정란에서 시작된 쌍둥이와 달리 이미 성장해서 유전자에 변화가 생긴 세포를 배양한 것인 만큼 자라면서 나타나는 차이가 일란성 쌍둥이보다 더 클 수 있다”고 설명했다.형제와 같은 ... ...
서울 곳곳에 구멍이 뻥뻥! 공포의 싱크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8호
미리 확인하는 것이 훨씬 효과가 좋다”고 덧붙였다.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이수곤
교수
도 “땅속에 공사를 하기 전에 토양이나 암석 상태를 잘 알아보아야 한다”고 지적했다.우리는 살기 위해서 땅속에 계속 터널을 뚫고, 지하수를 사용한다. 지금 계속 생겨나는 싱크홀은 땅이 보내는 ... ...
재밌는 수학으로 한여름을 물들인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7호
대중 강연에는 3000명이 넘는 청중이 강연장을 가득 메울 정도로 인기가 높았어. 대학
교수
였던 그는 한때 1년에 3조 원을 버는 펀드매니저로, 지금은 수천억 원을 기부한 자선사업가로 활동하는 수학자란다.사이먼스는 “수학은 다른 곳에 응용할 때 진정한 아름다움이 발휘된다”고 강조했어. 그의 ... ...
새의 조상은 공룡?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7호
진화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대학교의 마이클 리
교수
연구팀은 공룡 화석 120여 종, 1549개를 모아 골격의 생김새와 특징을 분석했지요. 그 결과 약 2억 년 전에 살았던 육식공룡 ‘테타누라’가 작은 새로 작아지는 과정을 밝혀냈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 ...
이전
609
610
611
612
613
614
615
616
6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