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화력발전소 부근, 건강 괜찮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나쁜 결과가 나왔다.하지만 연구팀은 조사 결과를 확대 해석하지 말 것을 강조했다. 노
교수
는 “노출에 대한 수치만으로 건강 영향을 판단할 수는 없고, 조사 대상자가 적었으며 환경에 대한 조사가 없어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11월 4일 국회도서관 ... ...
[과학뉴스] 청각만으로 길 못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혹시 사람도 귀를 제2의 눈 삼아 공간을 ‘볼’ 수 있을까.독일 뮌헨대 러츠 위그레브
교수
팀의 연구 결과를 보면, 청각만으로는 불가능하다. 청각과 함께 몸의 다른 부위도 공간을 인식해야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시력이 정상인 학생 8명을 모집한 뒤 눈을 가리고 폭 2.5m의 복도를 걷게 ... ...
[과학뉴스] 교란 초음파 쏘는 박쥐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시점에 정확한 주파수의 음파를 쏴야 박쥐가 나방을 놓친다는 것도 알아냈다.코코란
교수
는 “이번 연구를 통해 박쥐의 초음파가 탐지, 소통뿐만 아니라 재밍 기능도 한다는 것을 알아냈다”며 “다른 박쥐 종이나, 돌고래처럼 수중 음파를 쓰는 다른 동물도 재밍을 하는지는 추가 연구가 ... ...
[과학뉴스] GPS 위성으로 암흑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원자시계에서도 이런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연구팀의 게오프 블레위트
교수
는 “시간이 10억분의 1초 정도만 어긋나도 암흑물질이 지나갔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며 “현재 전 세계 1만2000개 지역에서 24시간 운영 중인 GPS 정보를 분석해 암흑물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 ...
[과학뉴스] 들쭉날쭉 CO2 농도, 범인은 농사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않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진다. 보스턴대 지구환경학과 마크 프라이들
교수
는 “경작지의 면적은 일정해도 기술이 발달하면서 면적당 수확량은 늘어난다”며 “농업 기술의 발달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계절 편향성을 더 심해지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 ...
[knowledge] 휘청~한 이순신대교 과연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허용범위의 10분의 1이라도 이렇게 많이 흔들렸으면 문제가 생기진 않았을까. 권순덕
교수
는 “해상대교는 200만 번 정도 강하게 흔들려도 안전에 문제가 생기지 않게 만든다”며 “2000번 정도로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재규 이순신대교관리사무소 이사도 “당시 진동이 예외적이긴 ... ...
[수학뉴스] 컴퓨터 인공지능은 수학으로 마술을 부린다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방대한 양의 정보를 학습한 결과 새로운 마술을 창조해냈다. 연구팀의 피터 맥오웬
교수
는 이 연구에 대해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증명하는 좋은 방법”이라며, “이번 연구 결과는 인공지능 연구를 심리학 연구의 한 축으로 만들어 준 셈”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심리학프론티어’ 1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
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예술가의 눈으로 본 수학의 모습은 어떨까? 고대 그리스와 르네상스를 거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어쩌면 예술가의 수만큼 많았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런 가운데서도 수학과 예술은 함께 발전해 왔다.사고의 시작, 공리 최근 영국 옥스퍼드대 수학과 로비에 조각을 설치했다 ... ...
[life & tech] ‘강철 멘탈’ 되는 법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많이 쓴다.자신에게 너그러울수록 발전 가능성도 커미국 듀크대 심리학과 마크 리어리
교수
도 비슷한 결과를 내놓았다. 참가자에게 인생에서 가장 큰 실패를 떠올리게 하고 두 가지 방향으로 대응을 하게 했다. 한 집단은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라’는 식의 자존감을 높이는 방법으로 실패를 ... ...
[hot science] 동물은 왜 수컷이 더 클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오래 젖을 먹일수록 양질의 아들이 자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앞서 말한 린덴포스
교수
팀의 조사 결과 실제로 성선택의 강도가 심한 포유류 종일수록 젖을 떼는 시기도 늦어졌다. 포유류는 임신 기간보다 젖 분비기에 훨씬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그리고 암컷이 클수록(무거울수록) 자식을 ... ...
이전
611
612
613
614
615
616
617
618
6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