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생리의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년이 지났는데도 아직 생생하다.축하 파티에서 샴페인을 따지 못하고 머뭇거리자 오키프
교수
는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이라며 “샴페인을 딸 때는 코르크가 아닌 병을 돌려야 안전하게 열 수 있다”고 진지한 표정으로 말했다. 위트 있는 그의 모습과 코르크 마개 앞에 쩔쩔대는 필자의 ... ...
[과학뉴스] 동물이 거울 속 자신을 공격한다고? No!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종을 연구한 결과 단 한 종만 거울을 보고 공격성을 나타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엘우드
교수
는 “거울은 실험동물과 완전히 같은 체급의 라이벌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흔히 사용돼 왔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거울을 이용한 연구 중 상당수가 결함이 있다는 게 밝혀졌다”고 말했다. ... ...
[과학뉴스] 중력으로 그린 바닷속 지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중 가장 크고 정확한 바다 지도가 탄생했다. 미국 스크립스 해양연구소 데이비드 샌드웰
교수
팀은 중력을 이용한 새로운 바닷속 지도를 그려 ‘사이언스’ 10월 2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기구(ESA)의 위성을 이용해 해수면을 정밀하게 측정했다. 해수면은 기후에 ... ...
[과학뉴스] 미백화장품 성분, 알고보니 다이어트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갈색 지방이 활동하는 것을 아데노신이 막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그러나 페이퍼
교수
팀이 쥐를 이용해 실험한 결과 정 반대였다. 아데노신을 주사한 쥐는 그렇지 않은 쥐보다 눈에 띄게 백색 지방이 줄었다. 연구팀은 아데노신이 갈색 지방을 빠르게 활성화시켜서 백색 지방을 태웠다고 보고 ... ...
[과학뉴스] 인도네시아의 4만 년 전 동굴 벽화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1만 년 전에 그려졌으리라 추측해 왔다.하지만 호주 울롱공대 고고학센터 막심 오버트
교수
팀이 새로운 방식으로 벽화의 연대를 측정하자 전혀 다른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12개의 스텐실(손 등 신체나 물건을 놓고 주변에 염료를 칠해 형태를 그리는 예술)과 동물 그림을 골라, 벽화 표면을 덮고 ... ...
[hot science] 카톡 정말 믿어도 될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이런 원리를 이용해 서버와 스마트폰에서 데이터를 완전히 삭제하겠다는 것이다. 이상진
교수
는 “덮어 쓸 경우 복구할 가능성은 거의 0%다”라고 말했다.텔레그램은 어떨까? 텔레그램은 대부분의 메시지를 서버에 저장한다. 메시지를 암호화 한다고는 하지만 그 암호를 풀 수 있는 암호키 또한 ... ...
[과학뉴스] ‘다단계 점프’로 화성에 간 인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화성으로 향했다. 메이븐 프로젝트의 총책임을 맡은 미국 콜로라도대 브루스 자코스키
교수
는 이점을 “매우 영리한 방법이었다”고 평가했다. 부족한 추진력을 인정하고 메이븐보다 많은 로켓을 나눠 쏘면서 지구를 벗어난 방법을 높게 산 것이다. 실제로 망갈리안은 발사 후 11일 동안 총 6차례에 ... ...
[life & tech] 당신의 발열공포가 아이를 괴롭힌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상태를 잘 살피는 것이다. 3일 이상 고열에 시달린다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이
교수
는 “아이가 열이 날 때 뇌막염이나 요로감염, 패혈증 등 심각한 세균감염인지 단순한 바이러스성 질환인지 전문가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열에 대한 공포로 ‘해열’에만 지나친 관심을 쏟는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교수
팀의 연구도 김민식 미국 존스홉킨스대 박사가 제1저자로 연구를 이끌었다. 행콕
교수
는 “한국인 과학자의 리더십과 추진력, 협력하는 능력이 젊은 과학자들의 뛰어난 역량과 결합하면서 C-HPP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에너지를 잃게 된다. 하지만 실제 에너지 효율은 예상보다 훨씬 높다. 왜 그럴까? 플래밍
교수
는 여기에 양자 중첩이 작동한다고 제안한다. 전자가 모든 경로를 동시에 훑어보고 최단경로를 찾아 고속도로를 탄 것처럼 이동한다는 것이다. 경로들이 양자 중첩돼 있어야 가능한 얘기다. 하지만 ... ...
이전
615
616
617
618
619
620
621
622
6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