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사
조사
야광
형광
복제
냉광
방열
뉴스
"
발광
"(으)로 총 681건 검색되었습니다.
[SW가 미래다 2] SW 교과서 조목조목 뜯어보니
2015.04.10
- 한국과학창의재단 제공 중학교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교과서는 난도가 더 높다.
발광
다이오드(LED)와 각종 센서를 조절하는 프로그램을 직접 짜서 ‘스마트 공예품’을 만들게 한다. 실제로 지난해 소프트웨어 시범교육에 참여한 인천 계수중에서는 학생들이 LED를 제어해 원하는 색깔과 글자, ... ...
움직이는 ‘로봇 재료’가 온다
2015.04.03
인식할 수 있다. 이들 센서에 데이터가 기록되면 간단한 계산 과정을 거쳐 벽에 설치된
발광
다이오드(LED)가 작동되고 해당 부위의 색이 변한다. 산업 현장에서 쓰이는 인간형 로봇 ‘박스터(Baxter)’의 등에 로봇 피부를 이식했다. 로봇 피부는 사람이 어디에 손을 대고 있는지 위치를 인식할 수 ... ...
그래핀 넣은 플라스틱 제조 레시피 나왔다
2015.03.30
열을 전달하고 전자파를 차단하는 기능까지 갖추고 있다”며 “향후 자동차 내장재나
발광
다이오드(LED) 부품 개발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16일자 게재됐다. 그래핀과 CBT 입자를 섞은 뒤 열을 가해주면 그래핀 입자가 ... ...
세포 속에도 ‘도로’와 ‘트럭’이 있다
2015.03.29
톰베시 미국항공우주국(NASA) 고다드우주항공센터 박사팀은 광학적으로 제1형 초
발광
적외선 은하계로 분류되는 ‘IRAS F11119+3257’에서 X선 영역에 존재하는 강착원반 바람을 살펴 그동안의 가설을 지지하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강착원반 바람은 성간 매질로 작용해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했다 ... ...
차세대 양자점 TV 성능 3배 더 UP!
2015.03.25
전과 같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뜻이다. 황 박사는 “이번에 개발한 극치환 방식은
발광
효율을 높여줄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장치의 수명도 이전보다 길게 만들어 준다”며 “LED 디스플레이와 작동 원리가 비슷한 태양 전지와 광센서 소자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 ...
인간이 지구를 변화시킨 지질시대 ‘인류세’
2015.03.15
간단히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이미지화 시킨 것이다. 미국 일리노이대 연구팀은
발광
다이오드(LED)에 쓰이는 올리고페닐린(oligophenylene)과 태양전지의 소재인 올리고티오핀(oligothiopene) 등 14가지 다른 물질을 합성할 수 있는 자동화 공정을 개발해 이번 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그동안 ... ...
130인치 대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상용화 난제 해결
2015.03.10
디스플레이로 불리는 OLED는 유기화합물을 자체
발광
시키는 방식으로 현재 사용 중인
발광
다이오드(LED)보다 자연광에 더 가깝다. 하지만 아직까지 유기물질을 패널기판에 입히는 증발증착공정 문제로 130인치가량인 8세대 대형 기판 제작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아래에서 위에 매달린 패널에 ... ...
보글보글 공기방울에서 전기 만들었다
2015.03.03
3~5mL의 소량의 자기유체에서 발전을 했기 때문에 발전량이 많지 않았지만 1L 규모에서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켤 수 있을 정도의 전기를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송 교수는 “연구를 계속 진행하면 5년 내 상용화가 가능할 것”이라며 “바다 파도 위에서 작동하는 부이(부표)의 건전지를 ... ...
“청색 LED 개발에 10년, 노벨상 수상까진 25년 걸렸죠”
2015.02.26
명륜동 성균관대 새천년홀에서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청색
발광
다이오드(LED)를 개발하고 상용화시키는 데는 10년이 걸렸습니다. 노벨상을 받기까지는 25년이 걸렸습니다. 연구가 빛을 보기 위해서는 기다림이 필요합니다.” 지난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아마노 히로시 ... ...
이번엔 무슨 그래핀? ‘포스트 그래핀’!
2015.01.09
어려운 제작공정을 쉽고 간단하게 만든 데 의의의가 있다”며 “5년 후면 이 물질이
발광
다이오드(LED),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바이오센서 등에 활발히 이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특수장비 없이 상온에서 2차원 금속 칼코겐을 생산할 수 있는 TMI 공법. - 연세대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