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사
조사
야광
형광
복제
냉광
방열
뉴스
"
발광
"(으)로 총 681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가 제안한 OLED조명 기술 ‘국제표준’ 됐다
2014.11.11
필름의 모습. - 한국전자 통신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세계 처음으로 제안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조명에 관한 기술이 전기분야 국제표준화 기구인 국제 전기기술위원회(IEC)에 국제표준으로 채택됐다. OLED 기술의 일종인 아몰레드(AMOLED)를 이용해 만든 TV나 모니터 디스플레이는 ... ...
스스로 빛 내는 고효율 형광 유기
발광
소자 개발
2014.11.04
아니라 수명도 늘리는 물질도 개발할 계획”이라며 “이는 용액공정용 형광 유기
발광
소자를 상용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재료분야 권위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0월 15일자에 실렸다. ... ...
태양전지에 레드 양자점 붙였더니…
2014.10.23
014 노벨물리학상의 주인공 청색
발광
다이오드(LED). 여기서 녹색 LED가 개발됐고, 이들은 기존의 붉은 LED와 함께 LED 조명으로 모든 색을 낼 수 있는 시대를 열었다. 손동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선임연구원. - K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전북분원 복합소재기술연구소 ... ...
스트레스와 우울증 관계 처음 밝혀졌다
2014.10.22
대응력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연구진은 세포에 나타나는
발광
현상을 ‘형광
발광
영상장치’를 이용해 영상으로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 이 장치로 3주간 하루 2시간씩 비닐에 가둬 우울증에 걸리게 만든 쥐에게 실험을 진행더니, 우울증에 걸린 쥐는 스트레스를 줬을 때 뇌에서 스트레스 회복 ... ...
이황화몰리브덴 차곡차곡 4층 쌓았더니
2014.10.21
발광
효율이 최대 4배 이상 향상됐다. 이황화몰리브덴 사이에 넣은 고분자전해질층이
발광
현상을 도왔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휘어지는 디스플레이와 초경량 전자제품에 응용할 수 있다”며 “단일층 소재에 국한됐던 연구가 돌파구를 찾았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나노분야 학술지 ... ...
‘한국판 퀴리 부인’ 찾아보니…
2014.10.17
등에 대한 국내 특허를 24건이나 보유하고 있다. 스마트폰에 많이 쓰이는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가 대표적인 유기 반도체인데, 김 교수는 이들보다 성능이 뛰어난 재료와 제조법 등을 개발해 특허 등록을 했다. 기초과학인 유기화학을 공부한 그가 기초와 응용 모두에서 성공적인 성과를 ... ...
LED 교통신호등 수명 2배로 늘렸다
2014.10.14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기술을 전국에서 쓰고 있는 LED(
발광
다이오드) 형 교통 신호등에 적용하면 지금보다 낮은 전력을 쓰면서도 사용기간을 두 배 이상 늘릴 수 있어 경제적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신호등은 전국적으로 수 만개 이상 보급돼 있다. ... ...
“노벨상 수상자의 공통점은 ‘유쾌함’”
2014.10.14
및 화학반응연구단장의 수상 불발에 대해 아멜린 관장은 “올해 화학상을 거머쥔 청색
발광
다이오드(LED)는 1990년대 초에 등장했는데 이제야 받았다”며 “노벨상을 수상하기까지 대개 수십 년이 걸리는 만큼 앞으로 가능성이 있지 않겠냐”고 말했다. 또 그는 “한국의 ‘인촌상’이나 ... ...
[2014 노벨 물리학상] ‘빛의 혁명’ 선물한 과학자들
2014.10.07
광원(光源)을 선물한 일본 출신 과학자 3명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노벨상위원회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LED)를 최초로 개발한 아카사키 이사무 일본 메이조대 교수(85)와 아마노 히로시 나고야대 교수(54), 나카무라 슈지 미국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대(UC샌타바버라) 교수(60)를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 ...
차세대 OLED TV, 기존 대비 3배 밝게 만드는 기술 개발
2014.10.01
있도록 해
발광
량을 늘리고, 극성용매를 써 전자의 이동을 자유롭게 만들었다. 그 결과,
발광
효율이 17.8%로 기존 대비 3배 이상 효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 관계자는 “장시간 쓸 수 있는지 안정성 테스트를 거쳐야 겠지만 빠른 시간 안에 상용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