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사
조사
야광
형광
복제
냉광
방열
뉴스
"
발광
"(으)로 총 681건 검색되었습니다.
첫 한국인 노벨 과학상 나올까
과학동아
l
2014.10.01
처럼 새로운 물질에 관한 연구들도 유력한 수상자로 예측됐다. 화학 분야에서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연구 실적이 뛰어난 ‘칭 탕’과 ‘스티븐 반 슬라이크’ 등이 거론되고 있다. 유룡 교수의 특기인 기능성 메조다공성 물질 연구자 중에선 ‘찰스 크레스지’, ‘게일런 스터키’ 같은 ... ...
‘건강한’ 그래핀 양자점 개발
2014.08.28
이는 휴대전화 화면의 최대 밝기를 넘어서는 광도다. 전 교수는 “양자점의
발광
효율은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활용하면 종잇장처럼 얇은 디스플레이는 물론 커튼 같은 유연한 물체에도 원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기술도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 ...
총천연색 AMOLED 대량 생산 비법
2014.08.25
제공 미래창조과학부는 성균관대와 AP시스템이 ‘차세대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대량생산 기술’에 대한 특허권 통상실시 기술이전계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기술이전 대가는 정액기술료 15억 원을 2015년까지 납부하는 조건이다. 저온 실리콘 결정화는 AMOLED 패널 제작의 핵심 ... ...
“술 그만 마셔요” 색깔로 알려주는 첨단 셔츠
2014.08.22
개발한 셔츠는 술에 취하면 칼라에 달린 센서가 입김 속 알코올을 감지해 어깨에 내장된
발광
다이오드(LED)를 밝힌다. 셔츠에는 이렇게 감지한 알코올 농도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기술도 포함됐다. 이 셔츠를 입고 있는 한 아무리 “안 취했다”고 우겨도 셔츠 색이 바뀌면 집으로 돌아갈 수밖에 ... ...
유리 투명전극을 LED에?
2014.08.20
주입하고 분산시키는 기술이 관건이었으나 기존 전류주입 방식은 면적이 넓어질수록
발광
특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98%의 가시광선 투과도를 갖는 질화규소 박막을 유리 투명전극을 이용해 문제를 해결했다. 기존 금속전극을 사용할 때와 비교해 전력 소모는 0.5V(볼트) 감소했고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상황을 연출한 것이다. 당시 사형장에 끌려간 15명 가운데 한 명은 죽음의 공포로
발광
했고 도스토예프스키도 극단적인 순간을 겪으며 깊은 정신적 충격을 받았다. 이 사건으로 러시아 문단의 총아였던 도스토예프스키는 4년간의 시베리아 강제노역과 역시 4년간의 군복무 형을 받았다. 1850년 2 ... ...
OLED TV, 값싸게 대량생산 가능해졌다
과학동아
l
2014.07.28
걸림돌이 돼 왔다. 연구팀은 가격이 높은 까닭이 OLED 제품 개발에 꼭 필요한 유기
발광
소재를 정제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수율이 낮기 때문이라는 사실에 주목하고 2011년부터 3년간 연구 끝에 새로운 정제방법을 개발해 냈다. OLED 소재를 진공용기 속에서 녹여 기체로 만들고, 이 기체를 ... ...
LED 전구 다음은 ‘실리콘 전구’
과학동아
l
2014.07.09
모양을 모사해 실리콘 결정을 만들고, 이 실리콘을 1nm 두께의 얇은 시트 형태로 만들어
발광
특성을 높였다. 이렇게 만든 실리콘 나노시트는 청색, 녹색, 적색을 포함하는 넓은 파장 범위를 가져 다양한 색깔을 낼 수 있었고, 조명으로 쓸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밝은 빛을 냈다. 연구팀은 ... ...
[과학계 소식]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에 박승범 서울대 교수 등
과학동아
l
2014.07.02
OLED) 등에 활용할 수 있는 독창적인 형광골격체(Seoul-Fluor)를 개발하고, 이 물질을 이용해
발광
파장이나 빛의 밝기 등 형광물성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밝혀낸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은 과학기술자의 사기진작을 위해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 ...
내시경 검사 괴로움 없앨 새 검사법 나오나
과학동아
l
2014.06.30
모든 영역을 전달하진 못했다. 주 교수는 “실험에 사용한 생체물질 외에도
발광
염료가 붙을 수 있는 물질이면 무엇이든 검출할 수 있다”며 연구의 응용 가능성을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어드밴스드펑셔널머티리얼스’ 6월 25일자에 실렸다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