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사
조사
야광
형광
복제
냉광
방열
뉴스
"
발광
"(으)로 총 681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딩’으로 크리스마스트리 전구 켜 볼까
2015.12.03
손으로 끌어와 루프 위에 얹는다. 끝. 크리스마스트리에 걸쳐 놓은 빨갛고 파랗고 노란
발광
다이오드(LED) 전구도 이 순서를 따라 쉽게 켤 수 있다. 스마트폰 화면에서 전구 모양 아이콘을 끌어와 루프 위에 얹기만 하면 된다. 스마트폰과 크리스마스트리가 블루투스로 연결돼 있어 아이콘을 루프에 ... ...
한국인 과학자가 ‘희귀종 블랙홀’ 찾아냈다
2015.11.09
직경 8m인 쌍둥이 거대망원경을 통해 블랙홀 때문에 나타나는 ‘퀘이사(Quasar·거대
발광
체)’라는 천체현상을 관측했다고 9일 밝혔다. 블랙홀은 빛까지 흡수하기 때문에 눈에 보이지 않는다. 이 때문에 천문학자들은 주변 우주먼지 등이 블랙홀로 빠르게 끌려 들어가면서 밝은 빛을 내는 퀘이사 ... ...
1㎠ 전기 공급하는 데 단돈 1달러, ‘나노발전기’ 개발
2015.11.04
김동성 포스텍 교수 - 포스텍 제공 서로 다른 물체 사이의 마찰전기를 이용하는 나노발전기를 저비용으로 대량생산 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 김동성 포스텍 교수팀이 개발한 나노발전기. 나노발전기를 두드리는 것 만으로
발광
다이오드(LED) 130개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 포스텍 ... ...
기술 지원부터 제품 인증까지… ‘기업애로 해결사’ 국가 연구기관
2015.10.30
안전모 시장 진출 통신기술 분야 기업인 케이엠더블유(KMW)는 지난해 기존 안전모에
발광
다이오드(LED)를 달아 안전성이 높고 무선통신이 가능한 ‘융합안전모’를 개발했다. 융합안전모는 낙하물이 부딪히면 안전모 센서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괜찮습니까?’라는 음성 안내를 3, 4회 ... ...
[CAR]훌쩍 자란 몸집에 세련된 주행감성 탑재… 미니의 변신은 무죄!
동아일보
l
2015.10.23
도어 패널에는 차체 색깔 스트립 라인이 들어가 고급차의 실내를 보는 것 같다. 은은한
발광
다이오드(LED) 실내조명도 분위기를 살려준다. 시트는 마름모꼴 바느질이 들어간 퀼팅타입에 파이핑으로 모서리가 마감돼 럭셔리를 추구했다. 실내 공간은 차체 길이에 비해 넓다. 키 178cm의 성인 4명은 무리 ... ...
[CAR]벤츠·BMW vs 에쿠스·임팔라 중후한 ‘회장님 차’
동아일보
l
2015.10.23
‘레이저라이트’는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전방 차량이 없을 경우 기존
발광
다이오드(LED) 헤드라이트의 2배에 해당하는 600m의 넓은 시야를 제공한다. 국내 출시 모델의 경우, 한국 지형에 맞게 새로 개발한 내비게이션을 장착하며, 그간 국내 운전자들로부터 ‘불편하다’는 평을 받아온 ... ...
日, 또 노벨상
동아일보
l
2015.10.07
수상자를 배출한 일본은 나라 전체가 축제 분위기다. 특히 물리학상은 지난해 청색
발광
다이오드(LED)를 최초로 개발한 일본 출신 과학자 3명이 받은 데 이어 2년 연속 수상이어서 반응이 더 열광적이다. 각 신문은 연이틀 호외를 발행하며 “일본의 실력을 보여 주는 쾌거”라고 전했다. 가지타 ... ...
일본판 황우석 사건…과학자들이 마침표 찍다
2015.09.29
발광
하는 ‘자가형광’이라는 현상일 뿐 오보카타 씨의 주장과는 달리 만능성을 획득해
발광
한 세포는 없었다. 더구나 연구팀은 오보카타 씨가 만들었다고 주장한 STAP세포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실험실에 존재하던 배아줄기세포와 일치한다고 밝혔다. 냉동고에 있던 배아줄기세포가 어떠한 ... ...
‘신 맛’ 넣어 차세대
발광
소자 성능↑
2015.09.22
시연하는 데도 성공했다. 이 교수는 “표면 개질된 탄소 양자점은 다양한 형태의
발광
소자를 만드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특히 에너지 효율이 높은 조명기기의 산업화 과정에 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화성에서 살아남기 위한 9가지 기술
2015.09.11
‘Z-2’를 발표했다. Z-2에는 동료끼리 쉽게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가슴과 옆구리 등에
발광
소재를 붙였다. 또 두껍고 딱딱한 기존 우주복과 달리 첨단 복합소재를 사용해 튼튼하면서도 유연하게 만들어 움직임이 자연스럽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Z-2도 화성의 모래바람에는 속수무책이다.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