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사
조사
야광
형광
복제
냉광
방열
뉴스
"
발광
"(으)로 총 68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물인터넷 - 스마트워치 대격돌
동아일보
l
2015.09.04
스마트워치 ‘화웨이 워치’의 출시를 알렸다. 1.4인치 원형 아몰레드(AMOLED·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에 2시 방향에 위치한 용두(손목시계에서 태엽을 감는 꼭지)까지 전통적인 시계 디자인을 따랐다. 가격은 399∼699유로(약 53만∼93만 원). 구글이 최근 내놓은 애플 아이폰 전용 ... ...
‘인공 세포핵’ 유전 질환 치료길 연다
2015.09.04
이용하면 단백질 생산 효율이 2배 이상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엄 교수는 “
발광
유전자 대신 정상 유전자나 치료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넣어 유전 질환을 치료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나노재료과학 분야 전문지 ‘스몰’ 8월 27일 자에 실렸다. ... ...
‘물’로 반도체 만든다
2015.08.24
탄소 화합물로 만드는 유기반도체는 실리콘 반도체와 달리 박막 형태로 만들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기 등에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박막 형태로 녹이는 과정에 클로로포름, 클로로벤젠 등 환경과 인체에 유해한 유기용매가 이용된다. 유기 반도체가 물에 분산돼 있는 ... ...
생각만으로 로봇 움직이게 만든다
2015.08.19
시스템을 고안했다. 이를 위해 하체 보조 외골격 로봇 위에 서로 다른 주기로 깜빡이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5개 설치했다. 또 사용자가 LED를 응시할 때 소프트웨어가 LED 주기에 따라 달라지는 뇌파를 해석해 명령을 내리게 했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앞으로 걷기와 좌회전, 우회전, 제자리에서 ... ...
[청년드림]대기업, 청년채용 적극 나선다
동아일보
l
2015.08.18
LG디스플레이도 17일 경기 파주공장에서 열린 중장기 전략 발표회에서 2018년까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중심으로 10조 원 이상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13만 명의 고용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했다. 박형준 lovesong@donga.com·김지현·정세진 기자 [화제의 뉴스] - ... ...
뜨개질 하듯 짜내면 모니터 되는 ‘실’ 개발했다
2015.08.05
적용할 수 있을 걸로 보인다. 최 교수는 “직물의 구성 요소인 섬유 형태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를 제조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는데 의미가 있다”며 “대량생산 역시 기술적으로 가능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실용화에 크게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 성과는 ... ...
메르스 진단 기술 PCR, 초소형 기기로 5분 안에 끝낸다
2015.08.02
보통 이 과정에는 수 시간이 걸린다. 연구팀은 짧은 시간 안에 온도를 바꾸기 위해
발광
다이오드(LED)를 이용했다. LED를 얇은 금 박막에 쬐면 금 박막 표면의 전자가 진동하고, 이 진동으로 인해 짧은 시간 안에 높은 열이 발생해 PCR을 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켰다. 루크 리 UC버클리 교수는 ... ...
휘어지는 아몰레드 상용화 앞당겼다
2015.06.30
발표했다. 아몰레드(AMOLED)라고도 부르는 ‘능동형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기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비해 정교한 화면을 표현할 수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수분과 산소에 취약한 유기물질을 이용해 빛을 내기 때문에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를 만들 때 완벽하게 ... ...
PART 01. 光의 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06.30
반도체를 이용해 만드는 반면, OLED는 형광성 유기화합물을 이용합니다. 둘 다 ‘자체
발광
’ 소자이긴 해요. OLED TV는 패널 자체가 스스로 빛을 내기 때문에 별도의 백라이트 광원이 필요 없습니다. 얇고 가볍고 열이 나지 않습니다. 게다가 기존 TV가 실제 자연의 다양한 색의 범위를 70%까지 재현할 수 ... ...
1000배 더 빠른 USB메모리 개발 가능해졌다
2015.06.21
3개까지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이같은 소자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전극층-
발광
층-메모리층-전극층’을 쌓은 메모리 구조를 만들어 메모리 소자에 3비트를 저장했다. 그 결과 기존 대비 용량을 1.5배 늘리고, 신호 감도를 늘려 빠른 처리속도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현재 낸드 플래시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