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가물
부속물
혼입물
증가물
약제
뉴스
"
첨가물
"(으)로 총 12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마침내 식품
첨가물
공전이 개정됐다
2021.07.07
천연물을 쓰는 경우가 더 많다. 식약처가 고시한 식품
첨가물
공전에서 사용하는
첨가물
의 이름과 정체는 소비자들에게 몹시 낯선 것일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상당한 수준의 전문성이 필요한 공전을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드는 일은 쉽지 않다. 유럽 식약처(EFSA)가 사용하는 ‘E-번호’를 ... ...
[인터뷰]“2025년 태양전지 세대 교체 일어날 겁니다”
과학동아
l
2021.06.19
“실리콘을 대체할 가능성이 가장 큰 후보 물질”이라고 말했다. ○ 최적의
첨가물
찾아 샘플만 1만 개… 최고 효율 달성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인공 태양광을 비춰 광전환 효율을 측정한다. 최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25.6%로 논문 보고된 효율 중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탄수화물이 정말 비만의 주범일까
2021.05.18
단백질 비율은 50:30:20 내외다. 초가공식품(ultra-processed food)이란 저렴한 식재료에 각종
첨가물
을 더하고 일련의 가공을 통해 먹기 편하게, 즉 그대로 먹거나 데워 먹게 만든 식품으로 패스트푸드와 탄산음료, 과자 등이 전형적인 초가공식품이다. 패스트푸드가 비만의 원인이라는 주장이 오래전에 ... ...
급부상한 코로나 백신 지재권 면제...국내서 자체 생산하려면
동아사이언스
l
2021.05.14
특허만 수백개가 걸려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면역증강제나 면역보조제와 같은
첨가물
에도 특허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mRNA 백신 지재권은 굉장히 광범위하고 이해관계도 복잡하다”고 설명했다. ● 제조 공정 노하우는 지재권 아냐...기술이전 과정 필요 mRNA 백신 지재권이 면제되면 ...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혈전증 유발은 첨가제와 인간 단백질 반응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1.04.27
상당량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 단백질이 백신을 제조할 때 쓰이는
첨가물
인 EDTA와 함께 일부 백신 접종자에게 위험한 면역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주도한 안드레아 그라이나허 독일 그라이프스발트 의과대학 교수는 “EDTA는 일부 백신에서 방부제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 리사이클링, 혁신은 가능할까
2021.02.23
포함돼도 별문제가 안 된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다른 유형의 플라스틱이나 색소 같은
첨가물
이 섞여 있어도 해중합반응 뒤 혼합물에서 단위체만 쉽게 분리정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PP 재질 플라스틱과 HDPE 재질 플라스틱, 파란색 PC-18 플라스틱이 섞인 쓰레기를 통째로 메탄올 용액에 넣고 ... ...
버거킹에 ‘임파서블 와퍼’ 있다면 맥도날드엔 ‘맥플랜트’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3
맥도날드가 대체육인 식물성 고기로 만든 패티를 넣은 ‘맥플랜트(McPalnt)’를 덴마크와 스웨덴에서 시험 판매하고 있다. 덴마크 홈페이지 캡처 다국적 패스트푸드 체인 맥도날드가 덴마크와 스웨덴에서 대체육 버거인 ‘맥플랜트(McPlant)’의 시험 판매를 시작했다. 맥플랜트는 스웨덴에서는 3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포고기는 동물고기를 대신할 수 있을까
2021.01.05
맛을 재현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리고 진짜 고기에 가까이 가려고 할수록 더 많은 식품
첨가물
을 넣어야 하고 가공과정도 복잡해져 건강과 환경 영향평가에서 점수가 떨어지게 된다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 세포고기로 눈을 돌리는 이유다. 현재 세포고기가 진정으로 상용화되는데 걸림돌은 ... ...
건강기능식품 원료에 전분·과당 첨가 가능…식약처, 규제 개선
연합뉴스
l
2020.12.07
보관, 운반 등의 문제가 다소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고시 개정안에는 식품
첨가물
인 스테아린산칼슘과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을 건강기능식품 중 칼슘과 마그네슘 원료로 각각 쓸 수 있게 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또 EPA, DHA 함유 유지와 관련해선 일일섭취량을 현행 0.6∼1g에서 0. ... ...
땀으로 땀 배출 막는다
과학동아
l
2020.12.07
혼합물을 배치해 인공 땀 속 수분을 흡수시켰다. 프로필렌글리콜은 인체에 무해해 식품
첨가물
로도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다. 그 결과 미세 유리관 출구 부분에 땀이 맺히기 시작한 지 3분 30초 만에 인공 땀 속 화학물질들이 결정을 이룬 겔 형태의 물질이 형성됐다. 겔 형태의 물질은 미세 유리관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