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리"(으)로 총 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꽃이 필 때를 알려주는 DNA 밖의 정보, 즉 후성유전학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밖에 없다.보리와 유채의 기억법식물은 뇌와 신경세포도 없다. 당연히 동물과 같은 방법으로는 기억이나 학습을 할 수 없다. 그렇다고 식물이 기억을 못하는 것은 아니다. 식물도 분명 뭔가를 기억하고 학습한다. 현재 가장 ... ...
- [Knowledge] 인골의 비밀 사연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대해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했습니다. 그 결과 묘에 묻힌 사람들이 벼와 보리, 콩 같은 잡곡을 먹었으며, 고기나 어패류는 사회적 지위나 지역에 따라 섭취량이 크게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어떻게 밝혔을까요. 뼈와 치아 등에 기록된 안정동위원소 비율은 섭취한 음식의 ... ...
- PART 5. 무엇이 매머드 왕국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지역으로 변했다.이끼와, 영 양분이 거의 없는 사초류(부피 생장을 하지 않고 벼나 보리처럼 길이 생장만 하 는 식물)가 풀 대신 자라기 시작했다. 매 머드는 이끼와 사초류를 먹긴 했지만 영 양이 부족했다. 빙하기가 끝나는 시기에 발견된 털매머드는 이전보다 작아졌다. 결국, 1만3800년을 기점으로 ... ...
- 밀 VS 보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2호
- 모두 비슷해서 처음 보는 사람은 구별하기가 쉽지 않답니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보리는 수염이 길고 빳빳한 반면, 밀은 수염이 짧고 가늘지요. 호밀(왼쪽)은 수염이 위쪽으로 가지런하고 열매 부위가 위아래로 길쭉하답니다. 귀리(오른쪽)는 수염이 없어요 ... ...
- 한여름 세균과의 전쟁 구린내 괴물 퇴치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5호
- 이산화탄소나 메탄, 수소 등의 가스를 만드는데, 이 가스가 바로 방귀다. 콩이나 보리밥, 고구마 같은 음식에는 소장에서 흡수되지 않고 큰창자까지 가는 당분이 많아서 방귀가 많이 만들어진다. 그런데 이렇게 만들어진 방귀는 냄새가 독하지 않다. 오히려 고기를 많이 먹고 만들어진 방귀의 냄새가 ...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는다. 게다가 5월에 시작해 10월에는 벼농사가 끝나기 때문에 11월부터 다음해 5월까지 보리나 밀을 논에 심을 수 있다.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모내기가 늦게 시작 된 이유는 ‘물’ 때문이다. 모내기에는 논을 가득 채울 정도로 많은 물이 필요하다. 실제로 모내기를 하려다 가뭄이 들어 물이 ...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잠자고 있는 벼야. 미래의 귀중한 먹거리가 되는 꿈을 꾸고 있지. 지난 2008년 한국에서 보리, 콩, 옥수수들과 함께 ‘토종 작물 씨앗 5000종’에 뽑혀 이 곳으로 이사 왔단다. 최대 1500만 종의 씨앗을 보관할 수 있는데 지금은 약 전 세계 곳곳에서 모인 450만 종의 씨앗들이 나랑 같이 자고 있지!내가 ... ...
- 테니스 판도 바꿀 스마트 라켓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라켓으로 11차례나 그랜드 슬램을 달성하며 세계 최고의 테니스 선수로 불리던 비외른 보리. 그러나 그도 신소재 알루미늄과 그라파이트로 만든 라켓이 등장하면서 한물 간 선수가 됐다. 이제는 ‘스마트 라켓’이 테니스의 판도를 바꿔놓을지 모르겠다.남자 테니스 세계랭킹 1위 라파엘 나달도 ... ...
- 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유혹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전에는 알코올 함량이 적은 맥주가 오염된 우물물보다 더 안전한 음료였다.벼와 밀, 보리 외에도 호박은 9000년 전 멕시코 사람들을, 바나나와 타로는 7000년 전 뉴기니 사람들을 매혹시켰다. 옥수수, 토마토, 카카오, 바닐라, 아보카도, 파파야, 해바라기, 강낭콩, 호박, 감자, 파인애플, 망고, 오이, ... ...
- 보글보글 거품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일을 막을 수 있지요.맥주에 거품이 없다면?금세 김빠진 맥주가 되어버려요. 맥주는 보리를 끓인 즙에 효모를 넣어 발효시킨 음료예요. 이때 생긴 이산화탄소를 단백질이 감싸면서 거품을 만들지요. 거품은 이산화탄소가 날아가는 것을 막아 맥주를 신선하게 유지해요. 하지만 거품이 너무 많아도 안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