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별
고유
특수
독특
특이
특권
d라이브러리
"
특유
"(으)로 총 479건 검색되었습니다.
마법사라 불린 사나이의 민낯
과학동아
l
201507
인터스텔라로 유명한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영화 ‘프레스티지’는 놀란
특유
의 편집이 돋보이는 영화다. 마술사들의 욕망과 암투를 그린 이 영화에는 다소 생뚱맞게도 발명가이자 전기공학자인 니콜라 테슬라가 등장한다. 시대를 초월한 마법 같은 기술을 가진 테슬라가 마술사들에게 말도 안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
수학동아
l
201507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놀랍게도 씨앗 사이에는 틈이 생기고, 해바라기 씨앗이 가진
특유
의 나선무늬도 사라졌다. 가장 효율적인 생존을 위해서 수학적인 규칙을 따르도록 생명체가 스스로 진화했다는 사실이 놀랍다. 생물학과 수학의 만남~이언 스튜어트는 생물을 수학적으로 설명하려면 먼저 ... ...
[수학뉴스] 비 냄새 원인은 빗방울 속 알갱이
수학동아
l
201506
오는 날엔 비릿한
특유
의 비 냄새가 나지요? 최근 이 비 냄새의 원인이 밝혀져 화제입니다.미국 매사추세츠공대 기계공학과 컬런 뷰이 교수와 정영수 연구원은 최근 빗방울이 떨어질 때 일어나는 현상을 세밀하게 관찰해 비 냄새가 나는 이유를 밝혔습니다. 이 논문은 지난 5월 7일 미국의 과학전문지 ... ...
“스파이더맨이 제일 그리기 어려웠어요”
과학동아
l
201506
마블코믹스의 캐릭터 중에는 스파이더맨을 가장 좋아한다. 뭐랄까, 히어로물 영화
특유
의 피를 끓어오르게 하는 듯한 그 분위기가 좋았던 것 같다. 전에는 게임그래픽 디자이너로 오랫동안 일했다. 프리랜서가 된 뒤 마블 측에 먼저 작업을 제안했는데 반응이 좋아서 함께 일하게 됐다.Q 캐릭터를 ... ...
PART 1. 토요일 토요일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505
기자의 눈에는 혁명이었으니까. 변화에 저항하는 사람들너바나가 나오기 직전 락은
특유
의 저항정신을 잃고 상업성에 몰두한 상태였다. 새로운 시도가 없어지고 화려함만이 남았다. 너바나는 명곡 teen spirit’으로 락의 저항정신을 다시 부활시켰다.저항은 음악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 ...
色시한 과학 色시한 라이프
과학동아
l
201503
골라 ‘서울색 10’을 선정했습니다. 이런 색을 ‘지역색’이라고 하는데요. 그 지방
특유
의 날씨와 흙, 지형에 따라 만들어진 풍토색입니다. 서울색 10이 선정된 뒤, 택시는 꽃담황토색이 됐고, 버스정류장과 구두 수선집은 기와진회색으로 변신했습니다. 회색 시멘트와 까만 아스팔트, 빛바랜 ... ...
PART 1. 미국은 왜 북한을 지목했나
과학동아
l
201502
프로그램을 비교할 때도 이 방법을 사용한다. 중요한 기능을 하는 부분에서 프로그래머
특유
의 습관을 살펴보면 두 프 로그램을 한 프로그래머가 짠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을 인간 유전자에 빗대 ‘사이버 게놈’이라고 부른 다. 친구들이 만든 프로그램에는 모두 기자의 사이버 게놈이 남겨져 ... ...
[Life & Tech] 찜질방 계란은 왜 갈색일까
과학동아
l
201502
겨울엔 찜질방 데이트가 제격이지요. 학교 근처에 있는 ‘앗뜨거불가마’에 들어갑니다.
특유
의 향이 훈훈한 공기 위에 떠도네요. “30분 뒤에 만나자.” 소년과 소녀는 예쁘게 양머리를 틀어 올리고 (비비크림을 바른) 쌩얼을 점검한 뒤, 찜질방으로 나갑니다. 후끈후끈, 가마 속에 들어 앉은 지 ... ...
1.6mm의 바삭한 과학! 감자칩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2
달리 프링글스는 감자를 으깨 반죽한 뒤 모양을 만드는 성형감자칩이다. 프링글스
특유
의 곡선은 첨단 기술의 상징인 슈퍼컴퓨터가 만들었다. 과자를 만드는 과정에서 다 만들어진 과자가 이동할 때 자꾸 기계를 벗어나는 일이 벌어지자, 주변의 공기흐름을 슈퍼컴퓨터로 분석해 잘 튕겨 날아가지 ... ...
[Life & Tech] 두꺼운 패딩 벗어야 겨울 추위 이긴다
과학동아
l
201501
점점 추위에 맥을 못 췄다. 호주 원주민도 문명과 교류를 시작하면서 추위를 이기는
특유
의 방법이 없어졌다.추위에 강해지는 생물학적인 경로는 아직 불분명하다. 특히 한국 해녀에 대한 연구는 80년대 이후 거의 끊겼다. 추위를 잘 견디는 다른 집단을 통해 추정해 볼 뿐이다. 극지방의 에스키모는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