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d라이브러리
"
은하
"(으)로 총 1,02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스티븐 호킹의 ‘인터스텔라’ 계획
과학동아
l
201605
’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역사상 가장 가벼운 우주선을 만들어 우리
은하
에서 4.37광년 떨어진 알파 센타우리 항성계까지 20년 안에 도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얇고 넓은 막에 두뇌 역할을 하는 칩을 붙인 ‘우주 돛단배’ 형태의 우주선, ‘나노크래프트’를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반짝반짝 오로라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5
진공에서 1년 동안 나아간 거리예요. 1광년은 약 9조 4600억km랍니다. 지구에서 안드로메다
은하
까지는 230만 광년, 시리우스까지는 8.6광년 떨어져 있어요.천문단위(AU)는 태양과 지구의 평균거리로, 1AU는 1억 4960만km예요. 이 기준은 1964년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국제천문학연맹에서 제정되었지요. 한편 ... ...
새로운 우주여행이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4
5년 내에 1.5km 높이의 타워를 시범으로 설치하고 계속해서 연구할 계획이랍니다.
은하
철도 타고 우주호텔 간다!우주 엘리베이터를 만드는 아이디어는 지금으로부터 약 110년 전에도 있었어요. 1895년 러시아의 과학자 콘스탄틴 치올콥스키가 긴 케이블을 팽팽하게 설치하고 엘리베이터가 그 케이블을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
과학동아
l
201604
등 별 하나와 관련된 정보량이 어마어마하다. 이런 정보는
은하
의 공간 분포는 물론이고,
은하
의 모양과 크기가 과거에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알려준다. INTERVIEW 스티븐 칸 LSST 총괄 책임 디렉터(미국 스탠퍼드대 교수)Q. LSST 건설 계획이 현재 어디까지 진행됐나.LSST에 들어가는 주요 부품들의 조립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
과학동아
l
201603
호킹과 게리 기번스는 웨버의 논문에서 오류를 발견했다. 웨버의 계산대로라면 우리
은하
는 중력파 방출로 엄청난 에너지를 잃어 아예 존재할 수 없었다. 더구나 웨버가 만든 상온 바 검출기는 여러 중력파 신호를 검출하기에 민감도가 충분치 않았고(10-16), 공명 주파수가 제한돼 있었다(1661Hz).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
과학동아
l
201603
마치 세계지도를 그리듯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떤 과정을 거쳐서
은하
가 만들어지고, 우주가 현재의 모습이 됐는지를 알 수 있다.우주 초기에 생긴 중력파는 진동수가 아주 작아서 그보다 높은 진동수 검출에 특화된 라이고 관측소에서는 측정할 수 없다. 지난 2014년 또 다른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
과학동아
l
201603
했던 주식투자가 얼마나 멍청한 짓인지 더 똑똑하게 깨달을 수 있었다. 지금은 그것이 이
은하
계에서 세 번째로 멍청한 투자였다고 말해 줄 수 있을 정도다. 보통 다른 사람들은 처음에는 조금 돈을 벌다가 거기에 재미 붙여서 계속하다 보면 돈을 날린다고 하지 않나? 그런데 나는 그냥 처음부터 ... ...
[News & Issue] 블랙홀이 먹을 수 있는 최대 질량 태양 500억 개
과학동아
l
201602
2015년 12월 9일 온라인 논문 게재 사이트 ‘아카이브(arXiv.org)’에 발표했다.대부분의
은하
는 중심부에 초거대 블랙홀을 가지고 있고, 블랙홀 주변에는 궤도를 선회하는 가스 원반이 있다. 이 가스에서 불안정한 부분은 에너지를 잃고 안으로 떨어져서 블랙홀의 먹이가 된다. 이론적으로는 블랙홀이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
과학동아
l
201602
무슨 생각이었는지는 알 수 없다. 명목상으로는 학자들의 제안이었다고 한다. 우리
은하
계에서 최초로 외계인과 만날 때는 본 모습이어야 한다는 게 그들의 주장이었다. 하지만 본 모습이란 무언가. 진화를 거친 직립 보행 동물이 우리의 본 모습일까? 이제 우리에게 옛 육체란 언제든지 물질을 ... ...
[News & Issue]초신성의 새로운 폭발 원리
과학동아
l
201601
가설이었다.연구팀은 호주의 ‘이상각 망원경’으로 지구로부터 8000만 광년 떨어진
은하
에서 제1a형 초신성(SN2015F)의 폭발 장면을 포착했다. 섬광의 밝기를 분석한 결과 폭발한 백색왜성의 동반성이 태양보다 수백 배 큰 적색거성이 아니라 태양 크기와 비슷한 보통 별임이 밝혀졌다. 임 교수는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