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d라이브러리
"
은하
"(으)로 총 1,02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6. 일반상대성이론 뒤집히나
과학동아
l
201501
Instrument) 프로젝트에 참여해 거시세계에서 상대론을 검증하기 시작했다.광시야관측으로
은하
수천만 개의 분포를 알게 되면 우주거대구조가 진화한 역사를 알 수 있다. 아인슈타인이 가정한 중력상수가 우주 전 공간에 적용되는지도 알 수 있다. 이런 노력이 2020년경에는 결실을 맺는다.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
과학동아
l
201501
우주가 정말 팽창한다면 첫 증거를 발견하신 셈이군요.“그렇죠. 우리는 당장 더 많은
은하
를 조사하기로 결정했고, 1931년에 다시 한번 거리와 속도의 관계를 확인했습니다. 사실 네덜란드의 드지터 교수가 아인슈타인의 방정식을 풀어서 우주가 팽창하면 우리의 관측 결과를 설명할 수 있다고 ... ...
[과학뉴스]
은하
의 자기장초상화
과학동아
l
201501
방향에 따라 자성을 띄기 때문이다. 사진에서 중앙부는 별이 밀집한
은하
계 중심부(
은하
수)다. 자기장 밀도가 높은 지역은 빨간색으로 표시했는데, 별이 밀집한 곳에 성간물질도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중심에서 벗어날수록 별과 성간물질이 점점 옅어진다. 파란색일수록 자기장 밀도가 낮은 ... ...
여름밤을 흐르는 우윳빛 강물
은하
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3
F값)은 가장 낮게 설정하고, 셔터 속도는 15~30초 정도로 길게 주면 돼요.스마트폰으로도
은하
수를 찍을 수 있을까요? 노출을 길게 해 촬영하는 앱을 사용하면 밝게 빛나는 별들을 찍을 수 있어요. 하지만 카메라로 찍을 때처럼 밝고 선명하게 촬영하기는 어렵답니다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
수학동아
l
201412
나가면 아주 멀리 떨어진 장소에 나타나는 식이다. 영화 속 탐사대는 웜홀을 지나 다른
은하
계로 건너가 지구를 대체할 새로운 행성을 찾는다.웜홀은 1935년 아인슈타인과 그의 제자 네이던 로젠의 아이디어에서 발전된 개념이다. 그래서 처음 웜홀의 이름은 ‘아인슈타인-로젠 다리’였다. 웜홀의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10
드는 것도 아니다. 우주는 성기기 때문에, 보이저는 항해를 멈추지 않을 것이다. 영원히
은하
수 안을 떠돌 것이다.1000~10만AU의 영역은 ‘오르트 구름’이라고 불린다. 장주기혜성의 고향으로 생각되고 있지만, 진정한 모습은 아무도 모른다. 이 영역의 천체는 최근까지 단 하나만 발견된 상태였다. 긴 ... ...
[과학뉴스] 별만 2억1900만 개 우리
은하
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1410
누구나 볼 수 있도록 공개했다. 연구팀은 “이 데이터를 이용해 전세계 천문학자가 우리
은하
의 구조를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시사] MARVEL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수학동아
l
201408
기대해 보자. 주목하라!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영화에 등장하는 다섯 영웅은 광대한 우리
은하
를 배경으로 활약한다는 점 이외에도 출생이나 직업, 겉모습 등 여러 면에서 지금까지의 영웅과는 비교할 수 없는 다채롭고 독특한 개성을 지녔다.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의 다섯 주인공들은 어떤 특징을 ... ...
[이석영 연세대 교수] "우리 모두는 별에서 온 그대"
과학동아
l
201407
정말 그렇게 생각했어요. 내가 이 시간 여기에 있는 게 가장 쓸모 있다고요.” 10년 뒤
은하
연구에 혁명 올 것“천문학이 뭐냐”고 물었다. 책에서는 천‘문학’이라고 멋진 답을 하더니 막상 기자에겐 “천문학은 과학”이란다. 천문학을 전공하러 오는 학생들이 너무 낭만적으로 생각하고 온다는 ... ...
[hot science] 달의 여신의 눈빛, 루나 스월
과학동아
l
201407
흰 빛이 달에 새겨져 있는 루나 스월. 그 비밀은 아직 신비에 싸여 있다. 멀고 먼
은하
까지 규명하는 현대 천문학이,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천체이자 인류가 발자국까지 남긴 달에서도 밝히지 못한 부분이 있다는 사실이 놀랍다. 하지만 달은 결코 만만한 대상이 아니다. 38만km 떨어진 그곳에 한국은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