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뉴스
"
은하
"(으)로 총 632건 검색되었습니다.
50억년전
은하
단 충돌, 韓 연구팀이 첫 규명…정설 뒤집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21
안정된 상태로 인식됐지만 이번 연구는 그 인식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계기"라며 "
은하
단 충돌 과정에서 입자 가속이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한 후속 시뮬레이션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논문 제1 저자인 김형한 연구원은 "기존 정설과 다른 결과를 발표하는 데 부담이 있었지만 유클리드, ... ...
'NGC7331과 외로운
은하
들의 춤'…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4.21
부문 금상 수상작 이미영 씨의 '천년의 꿈'. 브라이스캐년의 고목나무 위로 흐르는
은하
수를 담았다. 천문연 제공 제33회 천체사진공모전 태양계 부문 금상 수상작 이성모 씨의 '태양계를 스쳐간 빛'. 지난해 강원도 화천에서 촬영한 쯔진산 아틀라스 혜성. 멋진 반꼬리와 긴 꼬리까지 기록했다. ... ...
중성미자 질량, 수사망 좁혔다…"전자 질량 100만분의 1도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상호작용이 거의 없어 '유령 입자'로 불린다. 중성미자의 질량을 정확히 알면 우주와
은하
가 탄생·성장하는 과정을 더 명확히 설명할 수 있다. KATRIN 연구팀은 수소(H)의 동위원소인 삼중수소를 활용해 중성미자를 연구한다. 삼중수소는 전자와 양성자가 1개씩 있는 수소의 원자핵에 전기적으로 ... ...
한미 공동개발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 첫 이미지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02
우주가 탄생한 지 1초도 채 되지 않아 우주가 수조 배로 급격히 팽창한 원인부터 우리
은하
내의 물의 기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를 연구할 수 있다. 해당 이미지는 과학연구에 사용될 준비가 아직 되지 않았지만 또렷한 초점과 안정적인 밝기로 스피어엑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 ...
韓 주도 연구팀, 45년만에
은하
단 진화과정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3.31
수 있다"고 밝혔다. 향후 연구팀은
은하
단뿐 아니라 우주의 다양한 환경에 존재하는
은하
의 형태 규칙성과 그 원인을 밝혀나갈 계획이다. - doi.org/10.3847/1538-4357/ad927 ... ...
134억 년 전 빛에서 우주 암흑기 끝낸 증거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8
물리학과 교수는 "JWST가 초기 우주에 대한 이론적 모델에서 예측된 것보다 다양한
은하
를 발견하고 있다"고 말했다. - doi.org/10.1038/s41586-025-08779- ... ...
"발견만 하면 노벨상"…韓 과학자, 암흑물질 '액시온' 찾는 5년 여정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6
중심으로부터 먼
은하
가 매우 빠르게 움직이면서 튕겨나가야 하는데 관측 결과
은하
단 내에 머무른 것이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눈에 보이지 않지만 질량이 있어 중력이 작용하는 암흑물질 개념이 처음 제시됐다. 이후 거대한 중력이 마치 렌즈처럼 작용해 빛이 휘어지도록 하는 중력 렌즈 현상이나 ... ...
천문연 참여 국제공동연구진 "암흑에너지 점점 줄어…표준모형 수정해야 할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총 5년 중 4년차 관측을 수행 중인 DESI 연구진은 프로젝트가 끝날 때까지 약 4000만 개의
은하
와 퀘이사를 측정할 계획이다. 루알만 책임연구원은 “우리는 현재 암흑에너지가 우주상수가 아닐 수도 있다는 엄청난 발견의 시작을 보고 있다"면서 "발견은 우주론의 표준 모형을 바꾸고, 이론 물리의 ... ...
134억년전 초기 우주
은하
서 산소 발견…기존 예측 뒤집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3.21
JWST가 발견했지만 정확한 거리를 확인하고 정밀하게 분석하는 데는 ALMA가 필요했다"며 "
은하
의 형성과 진화를 밝히기 위한 ALMA와 JWST의 놀라운 시너지 효과"라고 밝혔다. - doi.org/10.1051/0004-6361/20245245 ... ...
"우주 팽창시키는 암흑에너지, 점점 줄어…표준모형 수정해야 할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5배 많은 데이터인 3000만개 이상의
은하
와 퀘이사 관측 데이터를 분석했다. 퀘이사는
은하
중심부에 위치한 초대질량 블랙홀이 가스와 먼지를 흡수하며 밝은 빛을 내는 천체를 말한다. 분석 결과 암흑에너지의 밀도는 45억년 전보다 약 10%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 과학자들은 DESI의 분석 결과로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