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뉴스
"
은하
"(으)로 총 63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영상] 208 기가픽셀의 우주 지도
SEIZE
l
2024.10.19
가스와 먼지의 혼합물로 별 사이에 떠 있는 구름처럼 보인다. 유클리드의 목표는 우리
은하
바깥 밤하늘 중 3분의 1을 지도로 만드는 거다. 이번에 공개한 지도는 이 중 1%지만 이미 12%까지 관측을 마쳤고 다음 지도 공개는 2025년 3월로 예정돼 있다. ●씨즈 영상 자세히보기 https://m.site.naver.com/ ... ...
유클리드 우주망원경 '첫 관측 사진' 공개…우주 지도 1%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4.10.16
유클리드 우주 망원경이 포착한
은하
단 '아벨 3381'. 유럽우주국(ESA) 홈페이지 캡처 지금까지 만든 3차원(3D) 우주 지도 중 가장 큰 지도가 될 유클리드 우주망원경 우주 지도의 ...
은하
계가 포착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클리드 우주 망원경이 포착한 소용돌이 치는
은하
계. ESA 홈페이지 ... ...
우리
은하
230배 길이…관측사상 최대 규모 '블랙홀 제트'
동아사이언스
l
2024.09.23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우이 연구원은 "지구 생명체가 번성할 수 있게 해준 자기장은
은하
와 별을 거쳐 행성에 도달한다"며 "거대한 블랙 제트가 자기장을 우주 전체에 퍼뜨렸는지 이해하고 싶다"고 말했다. 포르피리온 블랙홀 제트가 어떻게 불안정해지지 않고 멀리까지 뻗을 수 있는지는 아직 ... ...
일파만파 '딥페이크' 탐지 못하나…눈빛·치아 불규칙 활용하지만 '초기단계'
동아사이언스
l
2024.08.29
7월 “
은하
분석 기법으로 딥페이크 영상을 구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천문학 연구에서
은하
의 빛 분포를 계산하는 '지니계수'를 활용해 딥페이크 영상을 찾아내는 기술로 영상 속 인물의 눈동자에 비친 빛을 이용해 사실 여부를 판별한다. 실제 영상이라면 눈동자 속 빛이 물리적인 법칙을 ... ...
블랙홀 진화 실마리 '중간질량 블랙홀' 우리
은하
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약 8200배라고 분석했다. 이성호 천문연 천문우주기술센터 책임연구원은 "구상성단,
은하
의 중심처럼 많은 별이 밀집한 곳에 중력이 매우 강한 블랙홀이 있으면 별이 블랙홀 주변을 지나면서 가속돼 궤도 운동 속도가 매우 빨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태양계에서 길쭉한 타원형 궤도를 가진 혜성들이 ... ...
의도하지 않은 외계인 신호 찾는다…'브레이크스루 리슨' 첫 콘퍼런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4
칠레에 건설 중인 베라 루빈 천문대는 3~4일마다 보이는 하늘 전체를 이미지화해 새로운
은하
와 별을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SKA와 베라 루빈 천문대는 몇 년 내에 관측을 시작하며 브레이크스루 리슨에 데이터를 제공할 예정이다. 방대한 정보를 AI로 분석해 패턴을 찾아내면 외계 ... ...
미리보는 노벨상 '울프상'에 RSA 개발자·광유전학 권위자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영국 유명 천체물리학자인 마틴 리스 영국 캠브리지대 교수다. 리스 교수는 빅뱅이론,
은하
중심의 거대한 블랙홀 형성과 진화, 블랙홀 주변 별의 폭발 등 연구분야에서 선구적인 기여를 했다. 방송과 강연 활동을 폭넓게 하면서 '온 더 퓨처', '과학이 우리를 구원한다면' 등 여러 권의 책을 냈고 ... ...
새 중력파 찾으러 중성자별·우주배경복사 이용하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것이다.
은하
중심에 있는 블랙홀은 태양 질량의 1000만배가 넘는 초거대블랙홀로 알려진
은하
중심 블랙홀까지도 관측할 수 있다. 반대로 높은 주파수의 중력파를 검출하면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적은 천체현상을 연구할 수 있다. 이성호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기술센터 책임연구원은 "중성자별 ... ...
국내 연구진, 중간질량 블랙홀 탐색해 블랙홀 생성 기원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03
존재하는 거대질량 블랙홀들의 질량함수를 다뤘다. 그 결과 중간질량 블랙홀을 포함한
은하
의 수가 매우 적은 것으로 여겨졌던 것과는 상반되는 결과다. 이번 연구결과는 블랙홀의 기원이 될 수 있는 '씨앗'이 별보다는 무거워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초기 우주에서 블랙홀을 만들기 ... ...
역대 최고 '고에너지 중성미자' 발견됐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6.23
빛의 속도로 이동하는 중성미자는 그 존재가 알려진 지 10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먼
은하
에서 초질량 블랙홀의 성장과정을 해결하는 핵심 단서로 여겨진다. 후앙 코엘류 프랑스 천체입자 및 우주론 연구소(ARCA) 연구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결과를 18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