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뉴스
"
은하
"(으)로 총 632건 검색되었습니다.
130억 년 전 '돌연사'한
은하
, 제임스웹우주망원경으로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4.03.07
천문학자들이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WST)으로 관측한 '죽은'
은하
. 이
은하
는 빅뱅 이후 7억 년 만에 별 생성을 멈췄다. JADES Collaboration 제공 천문학자 ... 살아나서 새로운 별을 형성했을 가능성도 있다"며 "초기 우주에서 이
은하
와 비슷한 다른
은하
를 더 많이 관측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1987년 폭발 '초신성 1987A' 잔해에서 중성자별 증거 발견
연합뉴스
l
2024.02.23
있다는 강력한 증거라고 밝혔다. 우리
은하
에서 16만8천 광년 떨어진 이웃 왜소
은하
에 있는 초신성 1987A는 1987년 2월 23일 폭발하는 모습이 관측됐으며, 4세기 동안 관측된 초신성 중 가장 가깝고 가장 밝을 뿐 아니라 30여년 간 가장 많이 연구돼온 천체의 하나로 꼽힌다. 폭발 전후 중성미자(neutrino ... ...
"매일 태양 1개만큼 물질 빨아들이는 초거대 퀘이사 포착"
연합뉴스
l
2024.02.20
22년 6월 새로운 퀘이사 후보 탐색 과정에서 적색편이 z=3.9 위치에서 발견됐지만 당시 우리
은하
내의 별로 잘못 분류됐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칠레에 있는 유럽 남방천문대(ESO) 초거대망원경(VLT)을 사용해 광학 및 근적외선 파장에서 J0529-4351을 추가로 관측하고 블랙홀 원반(black hole disk) ... ...
130억 살 넘은 블랙홀, 기존 우주이론 뒤집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2.17
GN-z11
은하
는 우리
은하
의 100분의 1 크기로 작은 편인데, 거대하게 탄생한 블랙홀이
은하
의 성장을 막고 있을 수도 있다고 보는 거죠. 연구팀은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을 활용해 우주의 초기 단계에서 블랙홀이 어떻게 성장했는지 추가로 연구할 계획입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2월 15일, ... ...
한국 7차원 망원경 첫 관측물 공개…빛나는
은하
·성운 모습 담겨
동아사이언스
l
2024.02.16
제공 삼렬성운(NGC 6514)은 산개성단, 방출성운, 반사성운이 한곳에 모여 있는 천체다. 우리
은하
의 나선팔 중 하나인 방패-센타우르스 팔의 별형성 지역에 있다. 하늘에서는 궁수자리 북서 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구로부터 약 4100광년 떨어져 있다. 별의 탄생을 연구하기 위하여 허블우주망원경 등으로 ... ...
X선으로 관측한 우주 데이터 분석 결과 공개…"우주론 벗어나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개 이상의
은하
들이 중력에 의해 묶인 집단이다. 연구팀은 이
은하
단에 속한 5259개의
은하
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해 우주의 진화 과정을 복원했다. 분석 결과 우주의 구성은 기존에 통용되던 우주론과 일치했다. 25%의 암흑물질과 70%의 암흑에너지 그리고 5%의 일반적인 물질로 이뤄졌다. ... ...
[사이언스게시판] 고등과학원, '시민과 함께 과학' 프로그램 시작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05
홈페이지에 회원 가입하면 된다. 홈페이지에 로그인하고
은하
분류 프로젝트를 선택하면
은하
영상이 나타나며 영상을 관찰하면서 객관식 질문에 답하면 된다. 참여 인증서도 발급받을 수 있다. ■ 한국원자력의학원은 국가RI신약센터가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증 우수동물실험시설로 지정돼 5일 ... ...
인공위성 '빛 공해'에 자구책 마련 나선 천문학계
동아사이언스
l
2024.01.19
도입하자는 것이다. CMOS 카메라는 기존 CCD보다 1000배 더 빠른 속도로 매우 희미한
은하
까지 촬영할 수 있다. 동일한 노출 시간 동안 이미지를 여러 장 촬영해 그중에서 가장 '평균값'에 가까운 깨끗한 천체 이미지를 선별하자는 방법이다. 국내 천문학계에는 아직 실질적인 대처 방안을 마련하지 ... ...
인류가 '본' 최초 블랙홀 M87…1년 뒤 고리 밝기 변화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4.01.18
질량의 65억 배에 이르는 거대질량 블랙홀로 지구에서 약 5500만 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은하
단 한가운데서 발견됐다. 이번에 공개한 이미지는 첫 관측으로부터 1년 뒤인 2018년 포착한 블랙홀의 모습이다. 2017년과 비교할 때 블랙홀 그림자와 빛의 고리 구조 크기는 일치했지만 고리 구조 가장 밝은 ... ...
130억년 전 생성된 초거대 블랙홀 발견…"기존 이론으론 설명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24.01.18
지금처럼 빠르게
은하
내 물질을 먹어치울 경우
은하
가 서서히 소멸할 수 있다고 본다.
은하
가 소멸되면 블랙홀도 더이상 먹을 수 있는 물질이 없어 사라질 수 있다. 연구를 이끈 마이올리노 교수는 "허블우주망원경이 보여주는 것 이상으로 우주를 볼 수 있을 거라곤 생각하지 못했지만, JWST로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