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은하"(으)로 총 1,021건 검색되었습니다.
- 선을 넘은 사랑, 혜성을 만들고 죽이다수학동아 l201703
- 가까운 행성과 달리 바깥쪽에 있는 오르트 구름은 태양의 힘을 강하게 받지 않기 때문에 은하 조력에 따라 쉽게 요동친다.둘째, 다른 항성이 태양계 근처를 지날 때 생긴다. 항성은 태양처럼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다. 이들도 중력이 커서 오르트 구름을 뒤틀리게 할 조석력을 만든다. 마지막으로 ... ...
- [Origin]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과학동아 l201703
- 있고요, ISAS는 도쿄 외곽인 사가미하라시에 있습니다.ISAS의 연구 주제는 엔지니어링부터 은하까지 굉장히 다양한데요. 저는 개인적으로 금성탐사위성 ‘아카쓰키(새벽이라는 뜻)’가 가장 인상 깊습니다. 아카쓰키는 포기를 모르는 위성입니다. 첫 번째 시도에서 궤도 진입에 실패했는데, 무려 5년을 ... ...
-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과학동아 l201702
- 동안, 아줌마는 이런 얘기들을 들려주었다. 어쩌면 여긴 도서관 인덱스가 아니라 은하계 주소록이었던 건지도 몰라요. 게임은 뭔가 중요한 주소를 찾아낸 거죠. 노인과 나는 가만히 듣기만 했다.각자 갈 곳이 달랐기 때문에 궤도 스테이션에서 우리는 각자 따로 우주선을 타고 링크 포인트로 갔다. ... ...
- [Future] 최초의 화성 집, 물로 짓는다과학동아 l201702
- 실린 화성탐사로버 큐리오시티가 측정한 화성 표면의 방사선 양을 보면, 지표면이 받는 은하우주선(GCR)은 하루에 0.64mSv(밀리시버트, 방사선이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한 단위), 태양으로부터 화성 표면으로 오는 방사선은 하루에 0.025mSv 였습니다(doi:10.1126/science.1244797). 지구에서 쪼이는 ... ...
- [Issue] 파리천체물리연구소과학동아 l201701
- 내로라하는 수리우주론의 대가들이 IAP 소속입니다. 항성 핵융합 이론 연구가 장 오두즈, 은하 진화 이론분야의 미셸 피옥 등이 대표적입니다.물론 관측 연구도 소홀히 하지 않습니다. IAP 건물 옥상에 있는 천문대를 사용하는 건 당연히 아니고요(지어진 지 50년이 넘었습니다). 칠레에 있는 ... ...
- Part 3. 중력 수정해 가속팽창 설명하기과학동아 l201701
- 묘사해야 한다. 가속팽창하는 우주에서는 은하 사이의 거리가 점점 빠르게 멀어지면서 은하단 등의 우주구조가 덜 생긴다.가장 오래된 아이디어는 f(R) 모형이다. 아인슈타인의 중력이론을 R 모형이라고 하는데, 이 때 R은 공간이 휜 정도를 표현하는 ‘리치 스칼라’라는 양이다. f(R) 모형은 이를 ... ...
- Part 4. 암흑물질, 버리거나 취하거나?과학동아 l201701
- 수정뉴턴역학은 사실상 수명을 다했다. 우주거대구조 관측이 가속화되고 있는 현재, 은하 규모의 작동원리만을 기술할 수 있는 수정뉴턴역학이 다시 부활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우주에 분포한 암흑물질은 표준모형에서 다루는 일반물질의 5배에 달하며, 대부분 ... ...
- Part 4. 우주를 새롭게 밝힐 뉴페이스수학동아 l201701
- 작고 어두운 은하로 초기우주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아직 이론만큼 희미한 왜소은하가 많이 관측되지 않았는데, LSST가 이론과 관측의 차이를 메꿔줄 전망이다.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 웹’ 드디어 완성! 오랫동안 활약한 허블 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을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2016년 11월 ... ...
- Part 2. 암흑에너지 없이 가속팽창 설명하기과학동아 l201701
- 은하 각각의 상대개수비가 위치에 상관없이 1에 가까워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은하의 상대개수비에 상당한 편차가 있다. 이 편차는 반지름이 커지면서 줄어드는 경향이 있지만, 14억 광년 규모까지는 이 편차가 균일한 분포일 때의 예상보다 훨씬 크다. 아인슈타인의 우주원리가 우주 초기에는 잘 ... ...
- Part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과학동아 l201701
- 세기가 우주 나이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해석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현재의 은하를 관측한 반면, 플랑크 위성은 137억 년 전에 나온 빛을 관측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우주의 팽창 속도도 고무줄처럼 변할 수 있다. 과거 ‘허블 상수 전쟁’의 주인공이었던 미국 시카고대 웬디 프리드만 교수는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