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d라이브러리
"
은하
"(으)로 총 1,021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초록
은하
는 변신 중?
과학동아
l
201608
이
은하
중심부의 차갑고 밀도가 높은 가스는
은하
외곽부로 흩어진다. 동시에, 무거운
은하
주변의 뜨거운 가스가 초거대 블랙홀을 지닌
은하
내부로 쏟아져 들어오면서 외곽부의 가스를 밀어낸다. 이렇게 효과가 중첩되면서 별 생성이 빠르게 억제되고, 결과적으로 파란
은하
가 매우 급격하게 빨간 ... ...
Intro. 별의 요람,
은하
의 파괴자 활동성
은하
핵
과학동아
l
201607
▼ 하단 이미지 확대별처럼 빛나지만 별은 아닌 존재. 동시에 우리
은하
전체의 수십 배에 달하는 에너지를 내는 존재. 거대질량 블랙홀을 엔진 삼아 우주를 밝히는 활동성 ... 파괴자 활동성
은하
핵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 ...
[과학뉴스] 우주팽창, 예상보다 빠르네
과학동아
l
201607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국(ESA) 등의 공동연구팀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19개의
은하
에서 2400여 개의 별을 관측해 우주 팽창속도를 이전보다 정밀하게 계산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우주의 팽창 속도를 알려면 별빛 스펙트럼의 ‘적색편이’를 분석해 별이 서로 멀어지는 속도를 ... ...
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막았다
과학동아
l
201607
처음 발견됐을 때 활동성
은하
핵(AGN)은 그저 예외적인 천체였다. 그러나 거대질량 블랙홀이 AGN의 ‘엔진’이라는 사실이 밝혀지고 이 블랙홀의 질량을 재는 방법이 개발되 ... 파괴자 활동성
은하
핵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 ...
[Interview] “우주엔 다섯 번째 힘이 존재할지도 모르죠”
과학동아
l
201607
것이다. 우리
은하
의 원반에는 암흑물질로 이뤄진 눈에 보이지 않는 원반이 겹쳐 있어서,
은하
중심을 공전하는 태양계가 이 암흑 원반을 지날 때마다 태양계 가장자리에 있는 오르트구름에서 혜성이 지구로 ‘발사’됐다는 것이다.그는 우연한 계기로 연구를 시작하게 됐다. “저는 사실 공룡과의 ... ...
[매스미디어] 우주복 있음, 출장가능
수학동아
l
201607
하나 더 주자면 ‘그곳’은 원래 행성이었다가 2006년 왜소행성으로 지위가 바뀐 곳이다.
은하
를 넘어서책 좀 읽은 독자라면 클리퍼드가 무사히 탈출해서 지구로 돌아가지는 못했을 거라고 짐작했을 것이다. 이 이야기는 그 정도에서 멈출 정도로 시시하지 않다. 클리퍼드의 모험은 태양계를 벗어나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07
1908년 최초로 방출선이 관측된 활동성 나선
은하
NGC 1068.작은 원 안의 그림은 밝게 빛나는
은하
핵을 상상해서 그린 그림이다.1908년,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워드 패드와 베스토 슬라이 ... 활동성
은하
핵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 ...
[과학뉴스] 거대 블랙홀 품은 꼬마
은하
과학동아
l
201606
선임연구원은 “
은하
는 진화과정에서 내부에 있는 블랙홀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며 “
은하
의 진화를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천체물리학저널 레터스’ 3월 17일자에 실렸다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1606
관측범위가 짧기 때문이다. 초신성 폭발의 경우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
은하
까지밖에 관측이 안된다. 이 범위에서 초신성이 터질 확률은 수십 년에 하나 정도다. 1987년 대마젤란은 하에서 초신성 폭발을 관측한 게 현재로선유일하다. 중력파 관측소는 상대적으로 관측범위가 길다. 중성자별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5
살고 있는 강(시내)’이라는 뜻의 ‘미리내’는
은하
수를 부르는 순 우리말이랍니다.
은하
의 ‘은’은 ‘쇠 금(金)’과 ‘어긋날 간(艮)’으로 이뤄진 글자예요. ‘어긋날 간(艮)’은 ‘눈 목(目)과 사람의 모습이 변화됨을 뜻하는 ‘될 화(化)’가 더해져 눈을 뒤로 돌려보는 사람을 나타내요. 즉, 더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