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암석
바위
암벽
돌
d라이브러리
"
암반
"(으)로 총 10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지키는 독도
과학동아
l
200809
오징어류는 수심 10m 이내의 바위 밑에 물이 잘 흐르는 곳에, 문어는 수심 10~30m의
암반
굴속에 각각 알을 낳는다.또 동해 연안 생태계를 잘 보존하고 있는 곳이 독도 해역이다. 독립문바위 주변 동도 동쪽 가장자리에는 모자반류, 감태, 대황 같은 대형 갈조류가 해조숲을 이루고 놀래미, 볼락류 같은 ... ...
지구의 '속살' 맨틀을 파고드는 지큐호
과학동아
l
200710
안쪽의 빈 공간에 시료를 채취한다. 드릴에는 다이아몬드 날이 달려 아무리 단단한
암반
도 갈아낼 수 있다.01 드릴에 연결하는 연장 파이프. 드릴이 깊이 들어가면 파이프를 추가로 연결해 드릴을 제어한다.02 라이저시스템에 사용하는 특수 드릴. 네 개의 날이 회전하며 땅을 뚫고 안쪽에 있는 작은 ... ...
로마 '트레비 분수'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08
다시 위로 올리는 일이 가능했다. 반대로 지하수로를 만들다가 뚫기 힘든 단단한
암반
을 만나면 수로를 위로 올렸다가 내리기도 했다.트레비 분수에 물을 공급하는 아쿠아 베르지네 수로는 로마에서 7번째로 만들어진 수로다. 이 수로는 아그리파 황제가 자신의 이름을 따서 지은 아그리파 목욕장에 ... ...
강원도 발 지진파 주말 저녁을 흔들다!
과학동아
l
200703
지반의 특성으로 결정된다. 토사와 같은 연약한 층으로 구성된 지반일 경우 지진파는
암반
과 지표 사이에서 계속 반사된다. 그러면 지반의 흔들림은 특정진동수를 가지며 증폭된다. 이를 ‘지반증폭’ 현상이라 한다.건물은 높이에 따라 고유진동수를 갖는데, 보통 층수가 높아지면 고유진동수는 ... ...
PART2 굿바이 미네랄워터
과학동아
l
200703
생수의 진실3_ 상표마다 물맛이 모두 다르다?‘현무암질의 천연 화석층을 통과한 화산
암반
수’ ‘알프스의 지하암석층에서 끌어올린 천연광천수’ ‘수만년 전 만들어진 빙하에서 채취한 물’처럼 같은 생수라도 물의 태생은 모두 다르다. 생수의 종류는 크게 광천수(mineral water)와 용천수(spring ... ...
태권V 지하기지냐, 수중기지냐
과학동아
l
200608
일반적인
암반
층에 놓일 경우 충분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는 정도다.물론 매우 연약한
암반
이나 흙에 위치하면 로봇의 무게 때문에 지지력이 부족하거나 지반이 가라앉으면서 기지 구조물에 균열이 생기거나 변형될 수 있다. 보통 땅을 파면 지하수가 흐르고 있는데, 이 지하수 때문에 생기는 ... ...
순식간에 산이 130km 움직였다
과학동아
l
200606
전문지 ‘지올로지’ 3월호에 실렸다.아하로노브 박사는 “하트산 이동의 숨은 열쇠는
암반
층에 갇혀 있는 대수층”이라며 “지하에 있던 다량의 용암이 짧은 시간에 물이 들어있는 대수층으로 몰려들었다”고 말했다. 용암이 암석의 균열을 따라 이 층으로 흘러들면서 물과 바위가 동시에 ... ...
기획2. 오늘 마신 물은 어제 내린 비?
과학동아
l
200603
모래층처럼 입자가 크고 균질하면 물이 방해를 덜 받아 빨리 흐를 수 있지만, 진흙이나
암반
층처럼 입자가 매우 작거나 빈 공간이 없으면 느리게 흐른다. 빗물이 스며들어 지하수가 된 뒤에 느리게 흐를수록 땅속에 더 오래 머무르게 된다. 땅속에 머문 시간이 바로 지하수의 ‘나이’인 셈이다. ... ...
돌개구멍이 만든 조각 공원
과학동아
l
200601
나뭇잎을 포개 놓은 모양과 같다고 해서 지질학 용어로 ‘엽리’(葉理)라고 한다. 가평천
암반
이 같은 종류의 편마암으로 이뤄진 것도 돌개구멍이 발달할 수 있었던 요인으로 보인다.일본에서는 돌개구멍으로 유명한 기소강 일대 포트홀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으며 스위스 루체른 ... ...
되돌릴 수 없는 석굴암의 신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5
아래로 흘러 석굴암 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했다고 합니다. 지하수로 차가워진
암반
은 아래쪽에만 이슬이 맺히고 위쪽에는 항상 4~10℃를 유지하여 습기가 차지 않도록 했습니다.하지만 일제 시대에 일본인들이 석굴암을 보수하던 중 지하수의 물줄기를 바깥쪽으로 돌려놓는 바람에 오히려 그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