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암반"(으)로 총 107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과학동아 l201611
- 기술도 개발했다. 시멘트와 고분자 유기화합물을 섞어 만든 재료를 강한 압력으로 암반 표면에 뿜어 강도를 보강하고 지하수가 새어 나오지 않게 만든다. 장 선임연구위원은 “지하공간을 만드는 데 필요한 전체 기술을 독자적으로 새로 개발한 것”이라며 “올해까지 기술 개발을 모두 완료하고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09
- 채취한 뒤 지질 상태를 분석하기도 하고, 소규모 발파로 인공 지진을 일으켜 지진파로 암반의 경도와 단층의 유무를 조사할 수도 있다. 이 과정만 수 년이 걸리기도 한다. 나틈 공법은 시멘트를 이용해 방수 층을 만들면서 터널을 파나간다. 지반이 약한 부분은 실로 구슬을 꿰듯이, 철재로 암석을 ... ...
-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과학동아 l201609
- 0.1° 이상, 거리 1mm 이상 벌어지면 연구소로 즉시 주의 신호가 간다. 모니터링 장치는 암반에 균열이 있는 3개 지점을 비롯해 케이블카와 등대 등 주요 구조물에 설치돼 있었다.동행한 박찬 지구환경연구본부 책임연구원은 “경사계와 균열계를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
- Bridge. 국내 최장 해저터널 건설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609
- 무너질 위험이 있는 터널의 윗부분은 정밀폭약(FINEX)을 이용한다. 정밀폭약은 주변암반의 균열을 줄이는 특수폭약이다. 현장을 책임지고 있는 이상빈 보령해저터널 건설공사 감리반장은 “한 터널에서 하루에 사용하는 다이너마이트가 평균 45kg정도 되는데, 이걸 한꺼번에 폭발시키면 주변 지반에 ... ...
- [PART 1] 화석이 알려주는 인류의 진화수학동아 l201511
- 방으로 이어져 있었다. 길을 따라 나아가니 표면이 울퉁불퉁하고 거친 암반이 나타났다. 암반을 기어오르니, 어린아이나 여성이 지나갈 만큼 작은 구멍이 나왔다. 이 구멍은 또 하나의 작은 방 ‘디날레디의 방(세소토어★로 별들의 방이라는 뜻)’으로 들어가는 입구였다.두 사람은 이곳에서 치아가 ... ...
- 서울 곳곳에 구멍이 뻥뻥! 공포의 싱크홀어린이과학동아 l201418
- 단단하고 풍화에 잘 견디기 때문에 대부분 건축 재료로 쓰인다. 그럼 무엇이 문제일까?암반★ 땅 아래에 있는 큰 암석 덩어리.풍화★ 암석이 물, 바람, 온도 차, 생물 등 여러 이유 때문에 작게 쪼개져 흙이나 모래가 되는 현상.송파구 싱크홀의 범인은 사람?서울시는 지난 8월 28일, “지하철 9호선 ... ...
- 꿰뚫어 보는 지하철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416
- 하거든요.구멍을 뚫은 것만으로 터널이 완성되지 않아요. 구멍을 뚫은 암석 덩어리, 즉 암반을 튼튼하게 지지하는 과정이 필요하거든요. 벽에 콘크리트를 쏘고 ‘록볼트’라는 큰 못으로 암석을 묶어준 뒤, 다시 두꺼운 콘크리트로 다듬으면 터널 완성! 선로를 깔고 여러 장치를 설치하면 드디어 ... ...
- [career] “세계 10대 기업 절반이 에너지 기업”과학동아 l201411
- 건물 기초 같은 사회 인프라를 다루기 때문에 땅 속 수십m까지만 관심이 있습니다. 반면 암반공학은 기본적으로 수백에서 깊게는 수천m 아래까지 연구대상으로 삼습니다. 반면 해저터널이나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싱크홀처럼 서로 협력해서 연구해야 하는 분야도 많습니다.Q 심재연(인천 송도고) 제 ... ...
- 우주의 꿈, 화성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404
- 암반으로 덮인 표면이 보인다. 비록 바다는 없지만, 산맥과 협곡이 있고 극지방으로 가면 하얀 얼음도 볼 수 있다. 바람과 폭풍이 이는 대기도 익숙하다. 마치 고원이나 사막 같다. 하지만 이곳은 지구가 아니다. 지구와 가장 비슷한 행성이자, 지구 바로 바깥에서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이웃 ... ...
- PART2. 지하 500m도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403
- 저장용기에서 방사성물질이 흘러나와도 지상까지 영향을 미치기 어렵다. 또 지층 아래 암반은 물이 잘 빠지지 않아 누출된 방사성물질이 멀리 퍼지지 않으며, 이곳에 있는 밀도 높은 지하수는 무거워서 지상까지 올라오기 힘들다. 테러집단 등 인간의 침입도 막기 쉽다. 지진의 영향도 적게 받는다.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