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암석
바위
암벽
돌
뉴스
"
암반
"(으)로 총 9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 5년뒤 포화…고준위방폐장 부지 선정 언제?
동아사이언스
l
2025.04.13
3곳으로 모두 유럽 국가다. 가장 속도가 빠른 핀란드는 올해부터 세계 최초로 420m 지하
암반
에 영구 처분장을 운영할 계획이다. 지성훈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이 2023년 5월 한국원자력학회 춘계학술발표회에서 '고준위 폐기물 최종 관리를 위한 특별법'을 주제로 한 발표에 따르면 ... ...
"영국선 지역 3곳이 방폐장 유치 자원…비결은 정보 투명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나라는 핀란드다. 지하 처분장은 사용후핵연료를 공학적 방벽으로 감싸고 다시 안정적인
암반
에 묻어 '자연 방벽'으로 둘러싸 수십만년 이상 저장하자는 것이다. 핀란드는 지하 420m에 있는 단단한 화강암에 지하 처분장을 지어 올해부터 세계 최초로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18일 국무회의를 통과한 ... ...
사용후핵연료 처분 안전성 보여주는 '자연유사연구관' 개관
동아사이언스
l
2024.12.05
거의 녹지 않아 수십만 년 동안 70m(미터)도 이동하지 못했다는 결과 등 지하 500m 깊이
암반
에 사용후핵연료를 처분하면 안전하다는 연구들은 국제학술지 등을 통해 전문가에게 공개됐다. 일반 대중들이 이 정보들을 접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류지훈 원자력연 저장처분기술개발부 책임연구원 ... ...
[르포] "지하수와의 싸움이죠"…120m 지하 사용후핵연료 처분 검증 현장 가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4.11.15
한국원자력연구원 지하처분연구시설(KURT)에서 김진섭 저장처분실증연구부 책임연구원이
암반
에서 방사성 핵종의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설명하고 있다. 이병구 기자 2bottle9@donga.com 사용후핵연료는 먼저 공학적 방벽인 처분 용기에 담긴 다음 지하에 묻힌다. 현재 설계에 따르면 처분 용기는 ... ...
난데없는 땅꺼짐…땅속 빈 공간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0.26
있어요. 이수곤 전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우리나라도 땅속의 지층 구조와
암반
의 특성 등을 정확하게 표시한 3D 지질 공학 지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10월 15일, 비상! 도로가 ... ...
핀란드 내년 고준위 방폐장 가동…탈 '탈원전' 한국 실증 현장 가보니
과학동아
l
2024.09.20
2025년 세계 최초로 가동되는 핀란드의 고준위 방폐장 ‘온칼로’. 화강암 지층 지하 420m
암반
터널 아래 구덩이에 처분 용기로 감싼 사용후 핵연료를 매립한다. Posiva 제공. 산업통상자원부가 2021년 12월 수립한 제2차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관리 기본계획에 따르면 한국에 고준위 방폐장을 ... ...
"차세대 원자로 특성에 맞는 사용후핵연료 처분시스템 연구 시작돼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9.05
현재 한국에는 사용후핵연료를 안전하게 처분할 수 있는
암반
이 풍부한 편이다. 전체
암반
중 35%가 처분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 부장은 "원전 진흥정책으로 처분물량이 증가해도 충분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사용후핵연료 처분을 위한 R&D가 순차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처분을 ... ...
[IGC2024] "사용후핵연료 처분장, 정부가 과학 데이터 적극 공개해 국민 설득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8.29
이라고 설명했다. 방폐장 부지 선정에 활용되는 지질학적 기준은 매우 다양하다. 먼저
암반
이 끊어질 확률이 높은 큰 단층대를 피한다. 또 방사성 물질이 유출되더라도 방사성 물질이 지하수에 녹아 생물계로 전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지하수가 표면으로 이동하는 속도인 '수리전도도'도 고려한다. ... ...
동해에 뜬 '대왕고래'…과학자들이 말하는 영일만 유전 개발
과학동아
l
2024.08.24
불과 20~30cm다. 시추 파이프 아래엔 시추 비트가 붙어 있다. 이 시추 비트가 회전하며
암반
을 '갈아' 지층에 구멍을 낸다. 이때 발생하는 암석 파편은 시추액을 통해 빼낸다. 최경식 교수는 "바다 표면과 아래엔 서로 다른 해류가 흐른다"면서 "시추 파이프가 해류의 움직임에 의해 파손되지도 않고 ... ...
그린란드 빙상, 110만년 전엔 녹색 툰드라였다…"해수면 상승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4.08.06
분석했다. 연구팀이 조사한 빙핵 표본은 그린란드 빙상 중심부를 뚫어 채취한 것으로
암반
1.55m를 포함해 길이가 3053m에 달한다. 이 빙핵의 맨 아랫부분을 조사한 결과 바닥 부분에선 나무, 씨앗, 포자, 곤충 등이 발견됐다. 양귀비 씨앗이나 이끼와 비슷한 식물인 부처손 등 툰드라 지역에서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