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암석
바위
암벽
돌
d라이브러리
"
암반
"(으)로 총 107건 검색되었습니다.
울릉도 1백년 전설 돈스코이호
과학동아
l
200307
2km 해역의 약 4백m 수심. 이곳에는 50。 정도의 경사가 진 절벽이 있다. 주변 해역은 주로
암반
으로 이뤄져 있다. 이 절벽 중턱에서 탐사팀은 드디어 뻘질 퇴적물로 약간 덮여 있는 침몰선을 발견했다. 침몰선의 뱃머리는 계곡 쪽을 향해 놓여 있다.침몰선에 장착돼 있는 함포와 계곡 쪽에 널려 있는 ... ...
특수효과로 누리는 재난영화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307
손장난이 미르 우주정거장을 폭파시켜버렸고, 소행성의 지층을 뚫던 굴착기는 금속
암반
을 만나 재기의 가능성 없이 고장나버린다. 군인 정신에 투철한 대령은 핵무기를 폭파시키려고 난동을 피우고, 마지막 장면에서는 핵탄두의 무선폭파장치마저 망가지고 만다.코어 역시 아마겟돈에 버금가는 ... ...
서해교전 침몰고속정 떠오르다
과학동아
l
200209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은 선체의 침몰형태와 해저면 지질이다. 만일 해저면이
암반
으로 구성돼 있다면 침몰선체에 와이어나 체인을 감는 일이 상대적으로 수월할 수 있을 것이다.하지만 해저면이 뻘이고 선체가 뻘에 묻혀 있다면 인양이 매우 어렵다. 이런 경우에는 뻘을 파내고 와이어 또는 ... ...
9백년 잠에서 깨어난 고려청자
과학동아
l
200208
이 음파는 부딪히는 사물에 따라 반사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대략 퇴적층인지
암반
인지, 난파선이 목재인지 금속인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반사 지점을 체크해 그 곳을 집중 조사하게 되는 것이다.수중음파탐지기는 음파를 사용해 해저면과 그곳 침전물의 대략적인 윤곽을 그래프로 ... ...
땅속 투시기술로 지진피해 줄인다
과학동아
l
200205
지반증폭 현상 때문이었다. 토사와 같은 연약한 층으로 구성된 지반일 경우 지진파는
암반
과 지표 사이에서 계속 반사될 수 있다. 그러면 지반의 흔들림은 일정한 주기성을 가지면서 상당히 증폭된다. 이 주기에 따라 특정 높이의 상부 구조물은 더욱 큰 피해를 입는다.지반동역학 연구실에서는 ... ...
2. 독성물 탐지하면 빛 발하는 미생물
과학동아
l
200203
깨끗해질 것이다. 이 기술이 바로 토양대수층 이용기술(SAT, Soil Aquifer Treatment)이다.땅 속
암반
층에 있는 공간(토양대수층)에 처리수를 저장한다. 이후 지하수를 이용하듯이 펌핑해 재이용한다. 물을 장기보존할 수 있어 가뭄과 계절적 물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수 있는 방법이다. 또한 지하수의 ... ...
하늘에서 땅속까지 대통령을 사수하라
과학동아
l
200110
지난 9월 11일 오전 미국 워싱턴과 뉴욕에서 여객기를 이용한 동시 다발테러가 발생했을 때 조지 부시 미 대통령 등 비상시 미국을 움직여야 할 주 ... 긴밀한 연락을 주고받았다.이 밖에도 잘 알려진 비상 지하벙커로는 콜로라도주 체옌산속
암반
수천m 밑에 있는 북미우주항공사령부가 있다 ... ...
첨단 토목공학이 건설한 한국 최장의 다리 서해대교
과학동아
l
200012
사장교를 건설하는 각 단계에는 첨단 토목공학기술이 숨쉬고 있다. 우선 견고한 해저
암반
까지 굴착해 주탑의 기초를 마련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9.3m의 조수간만 차와 초속 2.3m에 달하는 빠른 물살 속에서 기초를 만들기 위해 축구장 3배 면적의 물막이를 바다 가운데에 설치했다. 물막이 내부에 ... ...
3. 황금종 개구리가 이끈 환경올림픽
과학동아
l
200010
식물들이 서로 어울려 자랄 수 있도록 혼합식재를 시도하기도 했다. 이러한 나무들은
암반
이나 태양빛이 강한 곳에서도 성장할 수 있는 내성을 갖게 된다.또한 호주에서 발견되는 꽃나무 1만8천여종 가운데 무려 1만5천여종이 전세계 어디에서도 발견할 수 없는 종자들이다. 2백95종의 포유류 중에서 ... ...
운주사 천불천탑의 비밀
과학동아
l
199907
이제 이 지점에 직접 올라가 탑자리의 흔적을 찾았다. 그곳은 커다란 바위로 이루어진
암반
이었는데 소나무 잎이 두껍게 덮여 있었다. 소나무 잎을 긁어서 걷어내자 바위의 중앙부분에서 탑을 세울 때 바닥을 고르기 위해 바위를 깎아낸 홈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지점의 탑자리 흔적은 전남대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