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
가루받이
가루바지
꽃가루받이
습기
물기
수증기
뉴스
"
수분
"(으)로 총 84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의 부엌] 생선전&동그랑땡
2018.02.15
간의 소수성 상호작용과 이온결합으로 나타나는 단백질 엉김(protein aggregation)을 이용해
수분
과 다른 재료들을 단단히 붙들어 요리로 완성시키는 ‘결착’이지요. 우선 첫 번째 역할은 라면에 계란을 풀었을 때 평소보다 라면 맛이 덜 짜게 느껴지는 것을 생각하면 됩니다. 계란 단백질은 대부분 ... ...
파리지옥풀의 위험한 사랑을 도와주는 곤충은 누구?
동아사이언스
l
2018.02.07
가시가 여러 개 있어 곤충을 감지한다. - Tristan Gillingwater(W) 제공 즉, 파리지옥풀의
수분
을 도와주는 세 곤충은 이 식물 근처를 돌아다닐 때 가시를 두 개 이상 건드리지 않도록 조심한다는 뜻이됩니다. 덕분에 파리지옥풀의 꽃가루 받이를 도와주고, 자신들의 생명도 구하게 된 것이지요 ... ...
[동화작가, 남극에 가다 ③] 남극의 온실
2018.01.31
더 적극적인 일대일 만남을 시도했지만 결과는 또 실패였다. 이제 남은 단 하나의 방법은
수분
에 성공할 때까지 인간 배달부들이 꽃가루 배달을 ‘무한반복’하는 것뿐이었다. 세종 온실에서 고추는 별도의 방에 온도까지 맞춰가며 세심하게 관리되고 있다 - 김정민 제공 한 꽃에 한 번만 ... ...
[과학자의 부엌]크루아상과 애플파이 맛의 비밀은?
2018.01.12
분자들 사이에서 물 분자가 쉽게 빠져 나오지 못합니다. 사과필링에 담겨 있는
수분
이 파이껍질로 스며들지 않게 만듭니다. 또 가교결합 전분은 고온이나 산성에서도 물성이 변하지 않고 화학적으로 안정적이어서 애플파이뿐만 아니라 피자 소스나 바비큐 소스를 만들 때에도 사용됩니다. >>더 많은 ... ...
싼타, 설향... 일본으로부터 독립한 국산딸기, 알고 먹으면 더 맛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8
수술을 제거한 매향의 암술머리에 설향의 수술에서 채취한 꽃가루를 붙여 인공
수분
을 시킨다. 이렇게 생긴 딸기 중 열 개를 선별해 씨앗을 수확했다. 정 박사는 “딸기 한 알에 보통 200개 정도의 씨앗이 달린다”며 “총 2000여 개의 씨앗을 파종해 기른 다음 가장 뛰어난 성질을 가진 하나를 고른 ... ...
크리스마스 트리의 고향은 제주?!
동아사이언스
l
2017.12.21
한라산 구상나무가 말라 죽어가는 이유는 명확히 밝혀진 바 없다. 다만 과학자들은 봄철
수분
부족, 지속적 기온 상승, 태풍이나 강풍 등의 환경적 영향이 원인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이에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에서는 올해부터 구상나무 숲 복원 연구를 진행 중이다. ... ...
[동영상] 물 속에서 더 잘 붙는 접착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19
헐거워진 미세 구조를 떼어내면 주변을 손상하지 않고도 접착제를 떼어낼 수 있다.
수분
을 조절해 접착면을 재활용할 수 있는 셈이다. 정 교수는 “보통 물질 표면에 물기가 스며들면 물렁물렁해지거나 녹으면서 접착력을 잃어버린다”며 “이번 연구는 이 현상과 반대로 작용하는 새로운 구조와 ... ...
7년 뒤 한국 바꿀 근미래 기술은 무엇?
동아사이언스
l
2017.12.19
사물인터넷으로 각종 센서와 로봇이 연결돼 손도 많이 줄었다. 디스플레이로 토양의
수분
과 영양을 확인한 뒤에 다시 문을 나선다. 일주일 전 건강검진 때 받은 혈액 바이오센서 검사와 체내 미생물 유전체 검사 결과가 나오는 날이다. 병원에 갈 필요는 없다. 의사와의 원격 상담이 기다리고 ... ...
바이오인공장기ㅣ개인맞춤 생체장기, 신의 영역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2.14
융털에서 떼낸 성체줄기세포로 약 2~3㎜가량의3차원 대장조직을 만드는 데 성공했으며,
수분
흡수와 같은 대장의 기능을 갖춘 것도 확인했다고 학술지 ‘생리학’에 발표했다. 대장의 융털의 모식도(왼쪽). 융털과 융털의 연결부위 안쪽 중심에는 1~5개 이상의 성체줄기세포(녹색)가 존재하는 ... ...
“목 말라요” 식물 대신 말해주는 센서
과학동아
l
2017.12.14
하지만 실내에서 키우는 화분은 물을 자주 주지 않으면 흙도 말라버린다. 이렇게
수분
이 지나치게 부족해지면 광합성뿐 아니라 식물이 살아가는 데 지장이 생긴다. 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잉크를 만들었다. 이 잉크를 기공 근처에 바르면 전류가 흐르는 전자회로를 만들 수 있다. 연구팀은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