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석
직역
풀이
설명
해설
의역
해독
스페셜
"
번역
"(으)로 총 55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년에 걸쳐 진행된 여우 길들이기 프로젝트를 소개한 책 ‘은여우 길들이기’가 지난 7월
번역
돼 출간됐다. - 교보문고 제공 참고로 은여우는 붉은여우의 변종으로, 19세기 후반 캐나다에서 모피를 얻기 위해 사육하기 시작했고 그 뒤 러시아에서도 대규모로 길렀다. 비록 우리 속에서 사람이 주는 걸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울트라디언 리듬을 알면 삶이 편해진다
2018.09.26
리듬, 초일주기 리듬 또는 풀어서 하루보다 짧은 주기라고
번역
하고 있다. 아직 공식
번역
어가 없는 것 같아 이 글에서는 그냥 울트라디언 리듬으로 쓰겠다. 90분 주기 보이는 잠 우리 몸에 24시간보다 짧은 주기의 리듬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부각된 건 65년 전인 1953년 학술지 ‘사이언스’(9월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약간의 반전을 꾀한 논문을 발표했다. 즉 FOXP2 유전자의 8번째 인트론(아미노산으로
번역
되지 않는 부분)의 특정 영역에서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의 차이를 발견했고 호모 사피언스 사이(현대인 50명)에는 차이가 없었다는 것이다. 즉 이 변이가 호모 사피엔스의 언어능력 획득에 중요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개발하는 최근 연구동향을 소개한 짤막한 리뷰논문이 실렸다. 여기서 필자가 독액이라고
번역
한 영어 venom은 동물이 독샘에 저장했다가 물거나 쏘아 상대의 몸에 주입하는 독이다. 따라서 식물이나 세균, 곰팡이의 독은 포함되지 않는다. 동물 가운데 독액을 지닌 종류는 얼마 안 될 것 같지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반려동물로 소를 키우는 건가?’라는 의문이 들었다. 영국 농부 로저먼드 영은 최근
번역
출간된 ‘소의 비밀스러운 삶’에서 소들의 복잡미묘한 사생활을 생동감 있게 묘사했다. - 교보문고 제공 그래서 책에 나와 있는 농장 사이트 주소를 찾아 확인해봤는데 육우 농장이 맞았다. 아마도 번식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
2018.06.19
경악스럽다. 오죽하면 2009년 나온 전기 제목이 ‘가장 이상한 사람(The Strangest Man(국내 미
번역
)’일까. 디랙은 평생 단 한 번 눈물을 흘렸는데, 1955년 아인슈타인이 사망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라고 한다! 사실 이런 현상이 과학이나 공학 분야에서만 보이는 건 아니다. 예술도 마찬가지다. 1984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미의 과학, 꽃의 여왕은 이렇게 탄생했다
2018.05.14
프랑스는 이전의 장미품종들과 격이 달랐다. 라 프랑스는 ‘하이브리드 티(Hybrid tea. 굳이
번역
하자면 ‘잡종 차)’로 불리는 품종들의 효시다. 오늘날 장미육종가들은 라 프랑스 이전의 품종들을 ‘고전장미(old rose)’로, 라 프랑스 이후의 품종들은 ‘현대장미(modern rose)’로 부른다. 오늘날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
2018.04.11
그는 1988년 대중서인 ‘시간의 역사’를 출간했다. ‘시간의 역사’는 40개 언어로
번역
돼 전 세계에 1000만 권 넘게 팔렸다. 하지만 어려운 내용 탓인지 오늘날 출판계에는 ‘호킹 지수’라는 지표가 있다. 책의 전체 페이지를 100페이지라고 가정할 때 실제 읽은 페이지를 나타내는 숫자로, ‘시간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
2018.03.14
숱한 우여곡절을 거쳐 1988년에야 출판됐는데 즉시 베스트셀러에 올랐고 40개 언어로
번역
돼 천만 부 넘게 팔렸다. 이 현상에 대해 호킹은 “내가 장애를 딛고 이론물리학자가 되기까지의 흥미로운 사연이 책의 판매에 도움이 되었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인정했다. 그 뒤에도 호킹은 대중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아미노산도 바뀌게 돼 변이 단백질이 만들어진다. SLC9A6 유전자 변이는 아미노산으로
번역
되지 않는 부분의 염기가 바뀐 것으로 만들어지는 단백질은 똑같지만 발현량이 다를 것이다. SLIT2와 ROBO3는 축삭이 자라는 길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계16의 공감각자들은 MYO10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