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리통
식도락가
대식가
요리학자
식도락
미식주의
d라이브러리
"
미식가
"(으)로 총 35건 검색되었습니다.
식품으로 마음의 평화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이에 따르면 우리가 먹는 음식이 우리의 폭력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프랑스의
미식가
장-앙뗄므 브리야-사바랭이 1825년 그의 저서 ‘미각의 생리학’에서 쓴 다음의 유명한 구절도 그런 의미일 것이다. “당신이 어떤 음식을 먹는지 말해준다면,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얘기할 수 있다.”현대 ... ...
헤엄 잘 치는 '밥도둑' 꽃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발라낸 다음 다리에 들어 있는 살과 함께 갖은 양념으로 무쳐 내는 꽃게살양념무침도
미식가
들의 입맛을 당긴다. 갓 지어낸 뜨끈뜨끈한 밥에 얹어 비벼먹는 맛은 그야말로 천하일미다.‘동의보감’에서는 꽃게가 사람의 열기를 푸는 데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그래서인지 꽃게는 여름철 더위를 ... ...
겨울 별미로 거듭난 꽁치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자리를 양보하고 서서히 그 인기를 잃고 있는 듯하다. 그런데 최근 몇 년 사이에
미식가
들의 입소문으로 꽁치가 다시 이름값을 떨치기 시작했다. 경북 포항 인근 지역의 토속음식인 과메기가 겨울철 별미로 각광을 받게 된 것이다. 추운 겨울 꽁치를 바깥에 내다 걸어 얼렸다 녹이는 과정을 반복하며 ... ...
주방이 '실험실'인 분자요리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프랑스의 ‘피에르 가녜르’(Pierre Gagnaire)가 뒤를 이었다.도대체 분자요리가 무엇이기에
미식가
들 사이에 이 같은 반향을 불러일으키는 걸까. “식품과학이 식품의 성분과 구성을 다룬다면 분자요리는 요리 과정의 변형과 음식을 먹을 때 경험하는 감각 현상을 연구한다.” 에르베 티스의 정의를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음미한다면 절대 과식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19세기 프랑스의 법률가이자
미식가
였던 프랑스의 장 앙텔므 브리야 사바랭은 1825년 펴낸 저서 ‘미식 예찬’에서 “미식을 대식이나 폭식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며 “미식법의 목적은 가능한 한 가장 좋은 음식을 수단으로 하여 인간의 ... ...
인류와 가장 가까운 새, 닭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한다.꿩고기를 닭고기보다 높게 치는 것은 서양도 마찬가지다. 19세기 초 대표적인
미식가
였던 프랑스의 장 앙텔므 브리야 사바랭은 지금까지도 미식의 경전으로 읽히고 있는 저서 ‘미각의 생리학’(Physiologie du gout, 최근 ‘브리야 사바랭의 미식 예찬’이란 제목으로 번역서 나옴)에서 꿩고기에 ... ...
애완용 고양이도 사스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유통시키지 못하게 했다. 그러나 최근 이런 조치가 풀려 이들을 이용한 요리를 고대하던
미식가
들이 환호성을 올리고 있다.유통금지조치로 이들 야생동물의 거래에 의지하는 지역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수천의 농가들이 조치의 해제를 요구했고 결국 중국정부는 집에서 사육하는 야생동물의 유통은 ... ...
향수감별사가 손 휘저으며 냄새 맡는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편도선과 기억 중추인 해마질과 연결돼 있다.달콤한 디저트도 얼리면 신맛아무리 예민한
미식가
의 혀도 온도에 따라 전혀 다른 맛을 느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예일대의 베리 그린 교수팀은 단맛을 느끼는 부분인 혀끝을 차갑게 하면 단맛이 약하게 느껴진다는 연구결과를 ... ...
3. 전통과 첨단의 앙상블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소개하고 있다. 특히 지난 2월에는 말고기를 이용한 3가지 특별 요리법을 올려놓았으므로
미식가
라면 한번 방문해 보는 것도 좋을 듯.에콰도르_http://park.org/Equardor/weavers.html에쿼도르관에는 자리만 마련해 놓고 있을 뿐 아직 별다른 내용이 없다. 다만 전시관에 들어가면 잉카시대 군사들이 입었던 ... ...
'남아선호'의 온상 침팬지 마을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소비한다. 과일 중에서도 특히 단백질이 풍부한 무화과를 좋아한다.과일을 즐겨 먹는
미식가
과일 외에도 침팬지가 먹는 음식은 무척 다양하다. 고릴라가 24가지 정도의 나뭇잎과 열매를 먹는데 비해 침팬지는 2백가지 이상을 먹는다고 한다. 다양한 종류의 식물 곤충 등과 함께 심지어 원숭이를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