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월식도 주기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신 가운데서도 최고의 위치를 점했던 태양이나 달에 변화가 생기면 그것은 하늘이
인간
에게 내리는 경고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더욱 두려움에 사로잡혔다.오래전 백성을 다스리던 왕들에게는 하늘의 징표라 할 일식이나 월식을 미리 알아내는 것이 대단히 중요했다. 이를 위해 천문학을 제왕의 ... ...
고양이를 사랑하는 과학적 방법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않는 사람은 잠재적으로 위험한 상대로 간주된다. 이는 고양이의 몸짓 의사소통 체계가
인간
과 많이 다르기 때문이다. 고양이를 좋아하면 째려보지 말자.저자는 우리가 잘 몰랐던 고양이에 대한 오해를 조목조목 풀어준다. 먼저 고양이는 방향치다. 위치감각이 부족해 늘 먹던 밥그릇도 치워버리면 ... ...
폭설보다 무서운 아스팔트 염화칼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9월호에 실렸다.일반적으로 강이나 호수 등 민물의 염소 농도가 250mg/L를 넘으면 식물과
인간
에 해로운 것으로 간주된다. 연구팀이 메릴랜드주를 비롯해 뉴욕, 뉴햄프셔주 일대를 조사한 결과 염소 농도가 무려 5000mg/L에 달했다.연구팀은 폭설이 올 때 도로에 뿌리는 염화칼슘이 시냇물로 스며들고 ... ...
당신의 순간은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계수나무가 있던 달은 전설이 됐고, 왓슨과 크릭이 DNA 이중나선구조를 발견한 순간
인간
의 염기서열을 읽어내는 생명과학 혁명이 시작됐다.무릎을 탁 치며 ‘유레카’를 외친 순간들이 모여 지금의 과학이 만들어졌다. 1665년 사과나무 아래에서 달을 보며 사색에 잠겨 있던 뉴턴 앞에 사과 하나가 ... ...
4. 우주는 뻥튀기한 것이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우주 초기에 인플레이션이란 엄청난 뻥튀기가 없었다면 지금과 같은 우주뿐 아니라
인간
도, 지구도 탄생하지 못했으리라. 우주가 탄생하고 찰나도 되지 않은 순간에 우주엔 너무도 큰 사건이 벌어진 셈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순간이 세상을 지배한다 당신의 순간은 안녕하십니까 1. ... ...
디지털을 노래하는 스파이더맨 - (주)레인콤 대표이사 양덕준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물었더니 대뜸 이렇게 대답한다. 손에서 거미줄을 내뿜고 빌딩 벽을 오르내리는 거미
인간
? MP3플레이어의 대명사 ‘아이리버’를 만든 벤처기업의 사장이 농담할 리는 없을 텐데.“집이 미군 부대 뒤쪽에 있었습니다. 쓰레기더미 속에 만화책이 많았는데 영어 공부한다고 자주 봤죠. 그러던 어느날 ... ...
인도에 비 없는 여름 온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결과 인도 계절풍은 스위치가 켜지듯 생겼다가 사라지는 두 가지 상태가 있다”며 “
인간
의 잘못된 활동이 스위치를 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 육지에 닿는 햇빛이 크게 줄어들면 온도가 낮아져 계절풍의 흐름이 멈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크펠트 박사는 “인도 지역이 급격히 ... ...
4. 리듬에 몸을 맡겨라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아드리언 캐플러는 그의 논문에서 “음악과 마찬가지로 춤은 패턴으로 이뤄진
인간
행위”라고 적고 있다. 몇 가지 동작을 조금씩 변형시켜 다양하게 구성한 다음 계속 반복하기 때문이다.음악의 멜로디와 춤의 동작은 잘게 나뉘는, 즉 ‘분절’(articulation)의 속성을 갖고 있다. 음악의 경우 조성이나 ... ...
개봉 박두! 복제 동물원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어떻게 하늘을 감동시켰을까. 앞으로 어떤 동물들이 복제돼 세상을 놀라게 할까. 혹시
인간
이 복제될 가능성은 없을까. 스너피를 비롯한 동물 복제의 모든 궁금증과 전망을 살펴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개봉 박두! 복제 동물원 1. 황우석, 세상을 감동시키다 2. 무한 복제의 ... ...
1. 황우석, 세상을 감동시키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안 된다”고 주장했다. 또 “개 복제 성공은 당장
인간
난치병 치료에 기여하기 보다는
인간
복제에 대한 사회적 우려를 증폭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왜 아프간하운드 종을 복제했나왜 황우석 교수팀은 진돗개가 아닌 아프간하운드 종을 복제했을까. 아프간하운드는 비단결처럼 긴 머리와 ... ...
이전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