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2. 무한 복제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있다. 종교단체 라엘리안 등
인간
복제를 추진하는 단체나 개인도 일부 있다. 최근 복제
인간
을 다뤄 화제를 낳은 영화 ‘아일랜드’가 불가능한 현실만은 아니다.애완동물 복제 반발 많아2005년 2월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 사는 40대 투자상담가 단 씨는 고양이를 선물 받았다. 지난해 3월 죽은 애완 ... ...
2005 닮고싶고 되고싶은 과.학.기.술.인.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과학기술인으로 선정돼 막중한 기대를 받은 황우석 교수는 최근 몇 년 사이 세계 최초로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복제해 우리나라를 세계인의 주목을 받는 생명과학 연구의 메카로 이끌고 있다. 당시 함께 선정된 채연석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도 수년째 청소년들을 직접 만나 꿈과 희망을 전달하는 ... ...
뇌의 미로에서 출구를 찾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생쥐였다. 의사라는 ‘달콤한’ 직업을 버리고 생쥐의 뇌와 씨름을 시작했다.
인간
의 근본적인 문제를 관장하는 뇌는 항상 궁금했던 분야였다.유전자를 조작해 돌연변이 생쥐 한 마리를 만드는 데 꼬박 2년이 걸린다. 짧아야 1년 6개월이다. 궁금한 내용은 산더미지만 칼자루를 쥔 것은 돌연변이 ... ...
1. 이보다 무서울 순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단골 소재다. ‘아나토미’ 같은 메디컬 호러 영화가 좋은 예. 피를 무서워하는 건
인간
에게 내재돼 있는 감정이라고 한다. 최 교수는 “신호등이나 경고표시처럼 위험을 나타낼 때 보통 붉은색을 쓰기 때문에 붉은색이 공포를 의미한다고 뇌에 학습됐을 수도 있다”고 설명한다.† 우물 속에서 ... ...
지구 속 탐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데이타를 알아내어 필요한 정보를 신호로 전달하는 장치 또는 소자 이것을 이용하면
인간
의 감각으로는 측정할 수 없는 수치도 잴 수 있어 위험한 작업이 따르는 기계에도 많이 부착하게 되었다 공장 자동화나 산업용 로봇에는 없어서는 안 될 장치로 평가된다 그 응용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 ...
2. 공포는 마음속에 있는 거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두루 관여하고 있다.미국 하버드대 의대 칼 슈바르츠 박사팀은 2003년 ‘사이언스’에
인간
의 성격에 관한 흥미로운 사실을 발표했다. 어려서부터 부모에게 엄한 교육을 받은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은 새로운 물체나 사람이나 환경에 대한 반응이 달라진다는 것. 연구팀은 두 부류의 사람들에게 ... ...
미술로 풀어보는 수학 이야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인간
중심으로 돌아오면서
인간
의 시선에 포착된 형태를 중시하기 시작한 것이다. 일단
인간
의 눈에서 그리고자 하는 대상까지 직선으로 연결한 뒤 그 사이에 캔버스가 오도록 한다. 3차원 세계에서는 평행한 직선을, 2차원 그림에서는 ‘소실점’이라는 한 점에서 만나는 것처럼 그려야 한다.이처럼 ... ...
미션 투 스페이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무엇인지, 딥임팩트가 그 수수께끼를 풀어줄 단서를 찾는데 성공했다.
인간
의 열정과 끈기로 이뤄낸 무한 우주 도전 스토리를 소개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왕복선 다시 우주로 향하다 Ⅱ. 한여름밤 혜성의 누드쇼 미션 투 스페이스 Ⅰ. 노장 디스커버리의 우주 ... ...
바다의 왕자 로봇 물고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1.5m도 되지 않는 황새치가 시속 100km로 헤엄치는 것과 같은 높은 효율을 가진 추진장치는
인간
이 아직 만들지 못하고 있다. 복어처럼 느리게 헤엄치는 물고기는 아주 작은 지느러미를 이용해 자신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제어한다. 복어가 선회하거나 물 속에 정지해 있는 위치제어 능력은 AUV나 ROV보다 ... ...
4. 공포는 바로 이 맛이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나타난다. 성인이 되서도 이런 과정은 계속된다.따라서 공포자극의 학습과 극복은
인간
이 사회에 적응하는데 꼭 필요한 과정이다. 이런 의미에서 지나치게 과장되거나 자극적이지 않은 공포문화는 발달이나 교육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 공포영화 속 주인공이 공포를 이겨내는 걸 보고 배운다는 ... ...
이전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