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1. 황우석, 세상을 감동시키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안 된다”고 주장했다. 또 “개 복제 성공은 당장
인간
난치병 치료에 기여하기 보다는
인간
복제에 대한 사회적 우려를 증폭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왜 아프간하운드 종을 복제했나왜 황우석 교수팀은 진돗개가 아닌 아프간하운드 종을 복제했을까. 아프간하운드는 비단결처럼 긴 머리와 ... ...
나노 바코드 레이블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운동특성을 중요하게 고려하여 그 특성을 살리고 그에 맞는 기계를 설계하는 것이
인간
공학의 주요한 영역이다 가령 운전자의 행동과 운동특성을 면밀히 분석하여 그가 아주 용이하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차의 내부설계를 한다든가, 사람이 누웠을 때 각 신체부위에 가해지는 압력 정도를 ... ...
5. 춤을 위한 테크노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한다. 테크노 디제잉의 꽃 ‘스크래치’로 즉흥 작곡까지 할 수 있는 이 로봇은
인간
디제이를 대체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후보로 떠올랐다. 디제잉(DJing) | 선곡한 음악에 샘플링, 스크래치, 믹싱을 가미해 기존 곡을 새로운 느낌으로 가공하는 행위.▼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사랑하면 춤을 춰라 ... ...
개봉 박두! 복제 동물원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어떻게 하늘을 감동시켰을까. 앞으로 어떤 동물들이 복제돼 세상을 놀라게 할까. 혹시
인간
이 복제될 가능성은 없을까. 스너피를 비롯한 동물 복제의 모든 궁금증과 전망을 살펴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개봉 박두! 복제 동물원 1. 황우석, 세상을 감동시키다 2. 무한 복제의 ... ...
2. 무한 복제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있다. 종교단체 라엘리안 등
인간
복제를 추진하는 단체나 개인도 일부 있다. 최근 복제
인간
을 다뤄 화제를 낳은 영화 ‘아일랜드’가 불가능한 현실만은 아니다.애완동물 복제 반발 많아2005년 2월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 사는 40대 투자상담가 단 씨는 고양이를 선물 받았다. 지난해 3월 죽은 애완 ... ...
2005 닮고싶고 되고싶은 과.학.기.술.인.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과학기술인으로 선정돼 막중한 기대를 받은 황우석 교수는 최근 몇 년 사이 세계 최초로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복제해 우리나라를 세계인의 주목을 받는 생명과학 연구의 메카로 이끌고 있다. 당시 함께 선정된 채연석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도 수년째 청소년들을 직접 만나 꿈과 희망을 전달하는 ... ...
뇌의 미로에서 출구를 찾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생쥐였다. 의사라는 ‘달콤한’ 직업을 버리고 생쥐의 뇌와 씨름을 시작했다.
인간
의 근본적인 문제를 관장하는 뇌는 항상 궁금했던 분야였다.유전자를 조작해 돌연변이 생쥐 한 마리를 만드는 데 꼬박 2년이 걸린다. 짧아야 1년 6개월이다. 궁금한 내용은 산더미지만 칼자루를 쥔 것은 돌연변이 ... ...
나는 무엇에 이끌려 행동할까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확인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실험이라고 할 수 있다.신입사원 교육용 두뇌재건센터
인간
의 고차원적인 인지기능은 대뇌의 바깥 부분인 피질(cortex)에서 이뤄진다. 피질은 여러 경로를 통해 밖에서 들어오는 정보를 정리하고, 신경 네트워크를 이용해 편집하고 재구성하며 저장한다.앞으로 ... ...
4. 리듬에 몸을 맡겨라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아드리언 캐플러는 그의 논문에서 “음악과 마찬가지로 춤은 패턴으로 이뤄진
인간
행위”라고 적고 있다. 몇 가지 동작을 조금씩 변형시켜 다양하게 구성한 다음 계속 반복하기 때문이다.음악의 멜로디와 춤의 동작은 잘게 나뉘는, 즉 ‘분절’(articulation)의 속성을 갖고 있다. 음악의 경우 조성이나 ... ...
문학의 강에서 과학을 생각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던진다. 폭력행위에 면역 반응을 일으키도록 두뇌를 개조하는 ‘루도비코치료법’이
인간
을 결국 기계적인 시계태엽으로 전락시킨다는 묘사는 작가의 주제의식을 강하게 반영한다. 1971년 명감독 스탠리 큐브릭이 영화로 제작하기도 했지만 여전히 영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문제작으로 ... ...
이전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