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춤추고 싶은 물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과목들을 모두 제대로 배울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면서도 현재로서는 철저히 ‘수능형
인간
’이 될 수밖에 없다고 한 목소리를 낸다.김채옥 회장은 “과학을 선택이 아닌 필수 과목으로 만들기 위해 한국물리학회 차원에서 100만인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지금 한국의 물리학은 춤추고 ... ...
Smart D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조작 권한까지 생겨버린 어느 인공지능이 SF를 싫어하는 모양이니까요. 고상하고 평범한
인간
이 누구나 그런 것처럼 말이에요. 웃자고 하는 이야기에요. 힘내세요. 오늘 저녁에 죽을 사람이 누군가에게 힘내라고 이야기하는 게 웃기는 이야기지 뭐겠어요.』그의 편지는 대충 그렇게 끝났다. ... ...
우주개발에 대해 알고 싶은 7가지 궁금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지진, 해일 등 지구에서 일어나는 각종 기상 현상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기상 위성은
인간
을 자연 재해로부터 더 안전하게 해 주었다.최근에는 위치정보를 담은 전파를 발사하여 선박이나 비행기 심지어 개인의 위치까지도 알려 주는 GPS위성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또한 고음질, 고화질의 ... ...
암컷을 유혹하는 수컷쥐의 눈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암컷에게 자신이 짝짓기 대상이라는 것을 알리며 유혹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그러나
인간
의 눈물 속에는 쥐처럼 페로몬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눈물에 페로몬을 만들어 넣는 유전자가 사람에게 없기 때문이다.도우하라 박사는 “이번 연구가 사람이 왜 눈물을 흘리는지에 대한 오래 된 ... ...
에너지 독립국가 건설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활동’을 떠난 지금도 예전처럼 오전 7시 30분까지 연구소에 출근한다. 불과 100년 전에는
인간
의 행동반경이 기껏해야 100km 안팎이었지만 지금은 지구 전체가 일일생활권에 들어있다. 조금이라도 시간을 낭비하면 이 경쟁사회에서 낙오하고 만다는 생각 때문에 그는 끊임없이 움직인다. 남들이 ... ...
"잠수함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바닷 속은 무섭기만 하다. ‘조금만 있으면 세눈마신이 우리를 찾을 텐데 어쩌지? ’‘
인간
의 잠수 능력은 고작해야 1∼2분밖에 안된다고∼!’이거 정말 큰일인걸. 이럴 때 바닷 속에서 자유자재로 떴다 가라앉았다 할 수 있는 잠수함이라도 있으면 좋을 텐데 말이야. 바로 그 때 시아가 환해진 ... ...
3. 위장을 점령한 난폭한 미생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두 균주의 유전체가 해독됐다. 우리나라에서는 2001년 경상대 의대 연구진을 포함한
인간
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이 헬리코박터 두 균주의 DNA 염기쌍을 완전 해독해 한 단계 높은 연구가 가능하게 됐다. 지금도 헬리코박터에 대한 연구는 세계적으로 꾸준히 계속되고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 ...
잃어버린 나를 다시 찾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알츠하이머병이나 뇌졸중으로 해마가 손상된 사람들에게 좋은 소식이 될 것이다.
인간
생활 도울 뇌-컴퓨터 접속‘뉴욕타임즈’를 비롯한 권위 있는 여러 기관에서 21세기의 주요 신기술 중 하나로 뇌-기계 접속 기술을 꼽은 바 있다. 왜 최근에 와서야 뇌-기계 접속 기술 연구가 활성화됐을까? 그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인간
의 동작을 모사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검색 엔진에서 정보를 수집하거나
인간
과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만든 프로그램 등이 대표적이다바이러스 전체 중에서 특정 컴퓨터 바이러스만이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부분을 말한다 다른 바이러스와 구별되기 때문에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 ...
3. 거대한 별의 인큐베이터 옆에서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발전을 저해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때론 그 믿음은 해가 되기도 한다. 좀 더 넓은 우주나
인간
의 감각으로는 인식할 수 없는 미시 세계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겐 말이다.특히 컴컴한 암흑 저편에서 우주 생성의 기원을 찾고 있는 연구자들에게 더 이상 보이는 것은 전부가 아니다. 미국항공우주국 ... ...
이전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