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른발보다 왼발이 더 길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있던 생식기가 직립보행을 하면서 전면에 드러나 이성에게 강렬한 시각적 자극을 주었고
인간
을 일년 내내 성욕이 발동하는 존재로 만들었다고 한다.발과 신발의 관계도 에로틱하다. 민속학이나 민간전승에서는 발이 남근의 상징이고 이런 발을 담는 신발은 음문의 상징이었다는 사실을 증명해주는 ... ...
나무 한 그루가 잎을 통해 할 수 있는 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식물이 광합성을 통해 양분을 얻는다는 것이 발견된 것은 그리 오래 되지 않은 일이다.
인간
이 광합성을 발견하기까지의 역사를 살펴보자.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식물이 자라는 것은 흙이 성장에 필요한 모든 물질을 공급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 당시의 모든 ... ...
인간
과 침팬지 차이는 엔도르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5개의 돌연변이를 갖고 있었으며 단백질을 만드는 능력도 20%나 높았다.워레이 교수는 “
인간
과 침팬지가 500만~700만년전에 서로 공통조상에서 갈라져 나온 뒤 이 유전자의 변화가 사람에게 진화의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이 연구는 ‘생물학 공중도서관’(PloS Biology) 12월호에 ... ...
에이즈 예방하는 여성용 젤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31일 ‘네이처’에 발표됐다.연구팀이 3가지 물질 중 최소 한 가지를 HIV와 비슷한 원숭이-
인간
면역결핍바이러스(SHIV)에 걸린 원숭이에 바르자 약 75%가 SHIV의 감염을 피할 수 있었다. 세 가지를 함께 처방하자 약효가 가장 컸다. 이 제품의 효과는 6시간 이나 지속됐다 ... ...
2005 과학기술 창작문예 공모전 시상식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정재은씨, 비행기 설계 과학자의 비행담을 다룬 ‘하늘을 날던 날’(논픽션)의 김상돈씨,
인간
의 지식과 감정을 데이터화해서 저장하는 상황을 설정한 ‘Hu*man’(시나리오 시놉시스)의 안혜정씨도 상을 받았다. ‘우주류’의 정소연·박도빈, ‘카오스모스’의 석영수씨는 만화부문에서 가작을 ... ...
크리스마스에 받고 싶은 과학선물20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co.kr가격 39만6000원.연말 가족 모임 최고의 깜짝 선물. 로보사피엔V2는 두 발로 걷는
인간
형 로봇으로 양쪽 손발에 센서가 장착돼 장애물을 피하고 물건을 집거나 스스로 누웠다 일어날 수 있다. 음파 센서가 있어 사람의 말에 반응하고 적외선 시각센서로 사물과 색깔을 구별한다.로보랩터www ... ...
춤추고 싶은 물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과목들을 모두 제대로 배울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면서도 현재로서는 철저히 ‘수능형
인간
’이 될 수밖에 없다고 한 목소리를 낸다.김채옥 회장은 “과학을 선택이 아닌 필수 과목으로 만들기 위해 한국물리학회 차원에서 100만인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지금 한국의 물리학은 춤추고 ... ...
Smart D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조작 권한까지 생겨버린 어느 인공지능이 SF를 싫어하는 모양이니까요. 고상하고 평범한
인간
이 누구나 그런 것처럼 말이에요. 웃자고 하는 이야기에요. 힘내세요. 오늘 저녁에 죽을 사람이 누군가에게 힘내라고 이야기하는 게 웃기는 이야기지 뭐겠어요.』그의 편지는 대충 그렇게 끝났다. ... ...
4. 과학자가 증권가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만드는 모든 것은 아니라는 점도 함께 강조한다. 자연현상을 설명하는 잣대로
인간
의 투자행동을 해석하고 예측하자면 그 과정에서 필연적인 오류가 발생한다. 이것이 ‘투자를 위한 과학’이 갖는 약점이자 해결해야 할 중요한 숙제다. 물론 이 숙제도 상당부분은 금융의 바다로 뛰어든 과학자들이 ... ...
황우석 줄기세포, 줄기 꺾이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통해 영장류의 복제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듬해 황 교수가 복제한
인간
배아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한 결과를 세계 최초로 역시 ‘사이언스’에 발표해 섀튼 교수의 주장을 일시에 뒤집었다.그 뒤 섀튼 교수는 황 교수팀과 공동연구에 나섰다. 실험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논문을 ... ...
이전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