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득
수입금
수입
추수
거두어 들이기
가을걷이
이득
d라이브러리
"
수확
"(으)로 총 503건 검색되었습니다.
(2) 2050년 바닷물 넘쳐 한반도 면적 준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단축돼
수확
량은 오히려 감소하리라 예측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차세대 벼농사의
수확
증대를 위해서 온도의 변화에 비교적 둔감하고, 영양 생장기간이 충분히 길며, 새로운 순환계 질서에 적응할 수 있는 신품종의 개발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 수자원 부족과 토양의 영양소 ... ...
1800m 카메룬 고원의 차밭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말레이시아에서
수확
되는 차의 70%를 차지하는 농장이기도 한 보플랜테이션에서 한 해
수확
하는 차의 양은 1헥타르당 3천㎏, 총 4백만㎏에 달한다. 이는 약 5백5십만 잔의 차를 낼 수 있는 양이기도 하다.이곳의 소유주는 영국인이지만 직접 차밭에서 차를 따는 일은 대개 방글라데시에서 몰려온 ... ...
미래를 여는 복잡성 과학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효용(
수확
)체감은 두번째 과자가 첫번째만큼 맛이 없거나, 비료를 두배 사용한다고 해서
수확
이 두배가 되는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즉 일정기간에 소비되는 재화의 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추가분에서 얻을 수 있는 효용은 점차 감소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과자 대신 빵을 사먹거나 비료를 그만 ... ...
안개에서 물뽑아 생활용수로 이용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하루 1만5백80L에 이른다. 수도설비를 한 각 가정에 매일 1백20L의 물이 공급되는 정도의 '
수확
량'이다.단 안개가 적은 가을과 겨울에는 며칠간 단수가 있기도 한데, 이전에 겪었던 물부족 사태를 생각하면 마을사람들에게는 그리 큰 문제가 아니라고 한다.한편 안개가 많을 때는 물 채수량이 망 1㎠당 3 ... ...
서해안철새도래지 보호관리 시급하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B지구에는 없던 종이었다. 또 수풀을 날아다니는 맹금류 황조롱이를 발견한 것도 큰
수확
이었다.이곳에서 탐사팀은 밀렵꾼을 만났다. 본래 철새들은 오전에는 먹이를 구해먹고 오후 시간에는 휴식을 취하며 에너지를 축적한다. 그런데 이날 오후 새들은 쉴새없이 떼를 지어 날아 다녔다. 그 이유는 ... ...
"개발 이전에 반드시 환경평가 거쳐야"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가지고 있는 특징 등을 배웠습니다. 특히 둘째날 본 두루미는 제 기억에 오래 남을
수확
입니다. 어릴 때 고향 원주에서 황새나 두루미를 본 이래 공단이 들어서면서 새들이 모두 사라졌지요. 좀더 가까이서 봤으면 싶었습니다. 아쉬운 점은 날씨가 너무 궂어 탐사에 어려움이 많았다는 점입니다 ... ...
PART.2 학습·오락용 특선 21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 2만 5천원 심팜사용자가 직접 농장을 경영하는 게임. 밭을 갈고 씨를 뿌려 농작물을
수확
해야 하며 이 농작물을 팔거나 은행에서 융자를 받아 땅을 넓혀 젖소를 비롯한 말 돼지 등의 가축을 기른다. 물론 가뭄 등 천재지변이나 해충에 대비해야 하며 살충제나 화학비료 대신 냄새가 없는 ... ...
3. 염색체의 DNA에 투과, 인위적 돌연변이 유발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이 외에 벼 보리 깨 배추 등에서도 방사선에 의한 돌연변이를 일으켜 빨리 자라며
수확
량이 많고 병에 잘 견디는 품종으로 개량해 보급하기도 했다.외국에서는 나라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범국가적인 지원에 의해 방사선 육종연구가 매우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현재 세계 40여개 국가가 방사선 ... ...
미생물 이용, 환경오염 막는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있었다. 필자가 지난 92-93년 EM 발효재를 사용한 시험에서도 전년도보다 더 많이
수확
할 수 있었다. 축사 악취제거에도 이용산소가 있으면 활동이 둔해져서 없는 편이 좋은 미생물을 통성혐기성균(通性嫌氣性菌), 조금은 있는 편이 좋은 균을 미혐기성균(微嫌氣性菌)이라고 한다. 이들 ... ...
2. 기형아치료 새 생물 창조 등 의학 육종학의 새 전기 마련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부른다. 식물 키메라의 창성은 역사가 오래됐다. 새롭고 좋은 과일을 얻기 위해, 또는
수확
을 늘리기 위해 서로 다른 종의 과수와 채소작물의 가지나 눈을 교환해서 접을 붙이면 키메라 식물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비슷한 종끼리의 접목은 가능하나 근친관계가 멀수록 성공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