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득
수입금
수입
추수
거두어 들이기
가을걷이
이득
d라이브러리
"
수확
"(으)로 총 503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나가 천이 되는 씨앗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무장시킨다.환경교육은 하나의 씨를 뿌려서 천개의
수확
을 거두는 것에 비유된다. 환경을 지키고 개선해 나가는 실천적인 시민 한 명을 길러내는 것은 유전공학으로 수박만한 감자를 만들어 내는 일 못지않게 중요한 일이다. 그 한 명의 시민은 지구를 지키는 수많은 ... ...
생활주변에서 소재 찾으면 누구나 발명가 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풍부하게 입고, 먹고,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것도 고급 화학섬유의 옷감과 곡식을 많이
수확
할 수 있게 한 인조비료, 뛰어난 촉감의 건축자재를 발명했기 때문이다.그뿐만이 아니다. 안방에 앉아 텔레비전을 통해 수만리 떨어진 외국에서 우리나라 체육선수들이 다른 나라와 패권을 다투는 장면을 ... ...
패키지화 정품유통 경향 두드러져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있는 관련기관의 적극적인 기반이 조성된다면 전망은 밝을 것이다. 올해와 같은 풍성한
수확
(?)을 계속적으로 창출해 나간다면 내년부터는 안정 성장이 지속될 수 있기 때문이다.이제 소프트웨어 산업은 하드웨어 의존적인 것이 아닌 독자적인 산업으로 인식되어야 하고 소비자도 마찬가지로 다양한 ... ...
화산활동의 생생한 흔적 확인해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기억해두어야할 것 같습니다.김두석 성인봉 등정을 포함했던 제5기 지형탐사는 고생보다
수확
은 적었던 것 같습니다(일동 웃음). 5기에는 중앙화구에서 굉장히 강력한 폭발이 있었고 이로인해 조면암질의 부석이 발생했죠.안순호 같은 종류의 부석이 일본 동남부지역에서도 발견됐는데요. 이것은 ... ...
기온변화가 세계사를 뒤바꾼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뿐 아니라 많은 고분과 농경지 유적이 드러나게 되었다.빙산도 덩달아 북상했다. 대구의
수확
량도 1946년에는 1천3백t에 이르렀다. 이는 1910년에 비해 2천5백배나 증가한 수치다. 노르웨이로부터의 석탄 반출량도 크게 늘었다. 아울러 채굴작업 시간도 두배 이상 연장됐다.실제 관측상으로 지구가 ... ...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없었기에 정밀한 조사를 거쳐 하도라는 것이 확인되기만 한다면 이번 탐사의 가장 큰
수확
이 될 것이라고 발견자들은 입을 모았다.이날의 마지막 관찰지인 죽도(竹島)는 물이 없는 섬. 표면은 부석이 뒤덮고 아래쪽은 주상절리가 발달해 물 고일 곳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곳에 사는 세가구는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주업인 동양에서는 추석 설 등 중요한 명절이 가을과 겨울에 있다. 가을이 돼야 햇곡식을
수확
하기 때문에 축제 가 가을에 집중돼 있는 것이다. 민속의 하나인 축제도 역시 식품을 얻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크리스마스 때 각자 자기 집에서 케이크를 만들어 먹는 유럽인의 습관은 17세기 ... ...
3.큰폭으로 요동하는 기후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천2백여 년간의 유럽의 평균온도 변화를 나타낸다. 1천년 전에는 영국에서도 많은 포도를
수확
할 수 있을 정도로 북반구는 비교적 덥고 건조 했다. 이러한 온화한 기후의 덕택으로 바이킹들은 아이슬랜드와 그린랜드를 무대로 활발히 활동할 수 있었다. 그러나 A.D. 1200년부터 온화하던 기후가 갑자기 ... ...
1 하이테크기술 완전제패를 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투자경쟁으로 인해 그 격차가 더 벌어졌다. 일본 등이 HDTV 관련분야 등에서 기술투자의
수확
기를 맞고 있는데 비해 한국은 이제 파종이 시작된 단계에 있다.한국 메이커의 하이테크 제품에 대한 도전은 선진국으로부터의 기술습득을 전제로 해 왔다. 일본 등이 국제분업의 파트너로서 한국을 ... ...
유전공학의 종착역 단백질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개발 등 인류 보건의 증진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중이다. 농·수산·식품·영양분야에서도
수확
량의 증대, 새로운 식량자원의 개발 또는 질적 향상 등과 관련된 단백질연구는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외의 연구현황단백질연구의 중요성을 확실히 인식하고 있는 과학선진국에서는 이미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