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득
수입금
수입
추수
거두어 들이기
가을걷이
이득
d라이브러리
"
수확
"(으)로 총 503건 검색되었습니다.
석기시대 목동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12궁 중 처녀자리에 머물게 되는데 이것은 수천 년 전에도 마찬가지였으며 이 별자리가
수확
의 신과 오랜 관련을 맺게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나 다른 이야기에서는 정의의 여신 아스트라에아(Astraea)가 이 별자리의 주인공이라고도 전한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그녀는 근처의 천칭자리로 ... ...
칩차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자연 농업 위주였다. 따라서 그들은 대단한 수준의 농업발전을 이루었고 풍요로운
수확
을 할 수 있었다.칩차족의 상업망은 전영토에 걸쳐 뻗어 나갔다. 상업 중심지에서는 장이 서기도 했다. 그들은 특히 방직기술이 발달, 모포나 망토를 잘 짰다. 거래에도 제법 체계가 있었다. 상인들은 물건값으로 ... ...
음식으로 공해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거의 없다. 대개 팥밭이나 콩밭에 섞어 심거나 조밭 또는 목화밭의 가장자리에 심는다.
수확
은 별로 많은 편이 아니다. 하지만 중국에는 녹두 한가지 만을 가꾸는 농장이 많다. 수입녹두는 국내산에 비해 푸른 색이 좀 연하고 노란색이 많은 편이다. 녹두를 오래 보관하면 바구미가 생긴다. 그러므로 ... ...
화산재하면 돌가루만 연상했는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뻘처럼 끈끈했습니다.운용웅 아소산의 중앙화구와 외륜산의 모습을 실제로 본 것은 큰
수확
이었어요. 또 아소시(市) 전체가 화산의 칼데라에 형성돼 있다는 사실은 무척 놀라웠습니다.정창희 보통 화구는 지름이 1㎞를 넘지 못하나 칼데라는 규모가 훨씬큽니다. 직경이 2~20㎞에 이르지요.예컨대 ... ...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대규모 유전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새우어장에서 84년 이후 세계새우생산량의 32%를
수확
해왔다"고 주장한다. 풍부한 석유자원 수입과 비늘없는 생선을 먹지않는 문화적 관습때문에 그간 페르시아만의 해양자원개발은 상대적으로 경시돼 왔지만 새우 뿐 아니라 정어리 빙어 등 이 지역의 어장은 ... ...
풀어쓰는 컴퓨터역사① 셈의 기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볼때 놀랄 정도의 정확성으로 그 시대의 인구통계자료, 세금제도, 노동자들의 급료,
수확
물들의 통계자료를 나타내었다고 한다. 왜 상형문자와 같이 그 시대 보편적인 문자는 전래되지 않고 기푸만 전래되는지에 대한 설명은 확실치 않다.앤드류 토마스와 같은 고고학자의 의견은 이렇다. 당시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방법이 있다. 이를테면 건조지작물과 다
수확
작물의 세포융합으로 가뭄에도 견디고
수확
량도 많은 작물을 개발하려는 것이 그 예다.이러한 세포융합 시도는 식물간 뿐만 아니라 동물세포간에 혹은 동물세포와 식물세포간의 융합까지도 포괄하고 있다. 실제로 미국의 브룩해븐(Brook Haven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민태익 유익동박사팀). 콩을 파종할 때 종자에 이 미생물비료제를 접종해 주면 콩
수확
량이 약 10%증가된다고 한다. 게다가 이 비료를 사용하면 토양에 큰 부담이 되는 질소비료를 '거부'할 수 있으므로 일석이조(一石二鳥)의 효과를 나타낸다.나도선 유향숙박사팀의 림포톡신(lymphotoxin) 대량생산 ... ...
강원도 민통선 북방지역의 식물생태계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화악산에서 유일하게 확인됐었다는 닻꽃을 대암산에서 발견한 것은 이번 탐사의 작은
수확
으로 꼽을 수 있다.일반인들의 출입을 제한하는 민통선 지역이라서 훼손되지 않은 채 자연이 잘 보존되어 있기는 했으나 산 곳곳으로 도로가 나고 또 포장작업이 한창인 것을 보면서 생태계 파괴를 걱정하는 ... ...
강원도 민통선 북방지역 식물탐사를 마치고 '한국특산식물의 정리와 보호육성 시급해…'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생각했거든요. 대신 난초과의 개불알꽃 산제비란 타래난초 등 3종을 확인한 것은 큰
수확
이었습니다.홍정-지석리 야산에서 개느삼을 찾기 위해 보여주신 이교수님의 집념과 산을 타는 실력에 감탄했습니다. 땀을 뻘뻘 흘리면서 뒤쫓아가 개느삼을 찾았을 때의 희열감은 정말 짜릿했습니다.이팽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