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득
수입금
수입
추수
거두어 들이기
가을걷이
이득
d라이브러리
"
수확
"(으)로 총 503건 검색되었습니다.
농약 대신에 논거미로 농사짓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수확
량을 조사, 논거미농사의 가능성을 타진해볼 계획이다. "올해 당장은 논거미쪽이
수확
량이 처지겠지만 생태계의 균형이 잡히면 논거미농사도 가능성이 많다"고 김주필 박사는 말했다. 벼 한포기 당 몇마리의 논거미가 서식하며 얼마나 해충을 잡아먹는지 과학적으로 분석해볼 계획이다. 이는 ... ...
5 달·화성·목성에 진출하는 행성탐사선 외계의 신비찾아 끝없는 도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사진을 찍는데 성공한 것과 강 혹은 운하처럼 생긴 화성표면을 자세하게 촬영한 것이 큰
수확
이었다. 큰 고구마처럼 불규칙적으로 생긴 포보스에도 분화구가 있었던 것은 아주 인상적이었다.화성의 주위에 인공위성을 만드는데 성공한 미국은 한걸음 더 나아가 화성에 직접 무인 우주선을 ... ...
PART2 볍씨 개량 도전 1백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요구된다.농지의 이용률을 늘리고 생산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모심은 후 1백10일 내외에
수확
할 수 있으면서 수량도 떨어지지 않는 볍씨를 개량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흔히 단기다수성 볍씨라고 한다.한편 우리나라의 쌀값이 국제시장가격에 비하여 훨씬 비싸기 때문에 못자리를 만들고 ... ...
지리산 희귀식물 50종중 40종 찾아내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통해서만 만나뵜던 이창복교수님을 이번에 처음 뵌 것이 최대의
수확
이었습니다. 평소 저는 이교수님을 무척 존경해 왔거든요. 이교수님과 함께 등산을 하면서 많은 것을 느꼈습니다. 무엇보다 칠순의 나이에도 젊은이보다 더 산을 잘 타시는데 놀랐습니다. 해박한 지식과 유머감각은 더 말할 것도 ... ...
지리산의 식생과 환경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발내딛기가 조심스러웠다.저녁 7시 쯤이 돼서야 구례군 숙박장소에 도달했다. 이날의
수확
은 지리산에서 서식하는 국내특산식물 50종중 18종을 발견한 것.■ 셋째날밤새 비가 억수같이 내렸다. 아침 식사를 하는 도중에도 비는 연신 내려 과연 오늘의 탐사가 예정대로 이뤄질지 의문시되었다. ... ...
PART1 어떤 민족이 무슨 쌀을 먹나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때는 지금처럼 논에서 재배된 것이 아니고 습한 지역 등을 이용, 직접 볍씨를 뿌리고
수확
하는 단순한 방법에 의한 재배였다. 그후 다시 한반도로부터 철제의 농기구가 전해져 벼재배도 크게 진보하였고 나라 시대에 접어들면서 지금과 같은 벼재배의 기초를 확립하게 되었다.그런데 일본에 처음 ... ...
헤라클레스를 시험한 불사의 괴물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스피카는 라틴어로 '보리이삭'이라는 뜻인데, 로마인들은 이 별이 '
수확
의 신' 세레스(Ceres)의 손에 쥐어진 보리 이삭을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불렀다. 이 별은 황도 바로 옆에 위치한 아주 밝은 별이어서 고대에 황도를 찾는 중요한 지표 역할을 했다. 바빌로니아시대엔 ... ...
남해안 철새도래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고니가 제첩을 찾기 위해 파놓은 지름 1m 이상의 구덩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가장 큰
수확
은 큰기러기 사체를 발견한 것. 병사한 것으로 추측되는 이 사체를 통해 즉석 현장 교육이 이루어졌다. 모든 새의 다리가 안쪽에서부터 1지 2지 3지 4지로 구성돼 있다는 윤교수의 설명에 교사들은 모두 고개를 ... ...
The Park Phenomenon 공원현상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쥐, 우드척 그리고 어쩌면 너구리와도 나누어 먹어야 하는 것이지만) 등 맛있는 것들을
수확
해가곤 한다.모양이 별나고 사람이 기어올라갈수도 있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동상을 제외하곤 센트럴 공원의 가장 유명한 동상들은 인간의 모습이 아니다. 한스 크리스찬 안데르센 동상 옆의 미운 ... ...
주남·낙동강하구 ·거제도연안 철새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것이 눈에 보입니다. 그런 와중에서도 둔덕면 근처에서 쇠백로를 19개체 발견한 것은 큰
수확
입니다. 김영채선생님이 돌산에서 발견한 쇠백로 40개체와 함께 백로 서식지 연구가 진행됐으면 합니다.정진규 가마우지가 배설물을 바위에만 싸는 것도 참 재미있는 일입니다. 자기가 살고 있는 바다를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