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득
수입금
수입
추수
거두어 들이기
가을걷이
이득
d라이브러리
"
수확
"(으)로 총 503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보사회의 일용할 양식-디스켓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섹터10까지 콩을 심고, 트랙2 섹터1부터 섹터 5까지는 옥수수를 심는다. 이렇게 하면, 콩을
수확
할 때 넓은 밭을 헤매지 않고 곧바로 콩의 주소를 보고 찾아갈 수 있다. 디스켓에 저장된 정보도 각기 트랙과 섹터라는 주소를 갖고 있기 때문에 컴퓨터에서 작업을 할 때 빠른시간 내에 원하는 정보에 ... ...
수학 마무리 특강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수 있겠는가? 갈아 엎은 야산을 깔끔히 정리하고 골도 파고 씨뿌릴 둑도 만들어야 좋은
수확
을 기대할 수 있지 않을까? 지금까지 성적이 미흡한 것은 그래서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교과서 내용을 정독하는 일이야 말로 여러분의 뒤죽박죽 야산을 좋은 밭으로 만들어 줄 것이다. 기출문제를 ... ...
1. 피라미드가 에너지를 모은다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시작했다. 기사는 피라미드 안에 사탕무나 옥수수 씨앗을 보관한 뒤 땅에 심자 평소보다
수확
량이 몇십% 증가했다는 내용이었다.피라미드를 만들어 농산물 증산에 이용하는 일은 이미 러시아에서 특허를 받은 상태였다. 민회장은 담당자를 만나 특허를 산 뒤 그 설계대로 국내에 피라미드를 만들기 ... ...
한라산 나비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잘 보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전시(展翅)와 표본만들기를 알아야 한다.”이날의 가장 큰
수확
은 남색남방공작나비를 관찰한 것이다. 남색남방공작나비는 한반도는 물론 제주도에서도 보기 힘든 나비다. 그래서 남쪽나라에서 바람을 타고 일시적으로 날아온 나비가 아닌가 의심을 품기도 했다. ... ...
1. 물질세계의 터널 공사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정도는 실험에서 알아보는 요인들 외에도 감자의 종류,
수확
기 당시의 감자의 성숙 정도,
수확
후 저장 상태, 실험시 실내 온도등의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동일한 감자를 재료로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요인들은 큰 영향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즉 이 실험은 동일한 조건으로보고 비교하는데 무리가 ... ...
숙식제공받고 보초선다. 수도머멕스 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풍부한 일레이오좀(elaiosome)이라는 부분이 별도로 붙어 있다. 개미는 이 씨들을 집으로
수확
해 온 다음 일레이오좀 부분만을 섭취한 후 나머지 진짜 씨 부분은 집 바깥의 쓰레기장에 내다 버린다.개미의 쓰레기장에는 흔히 다른 음식 찌꺼기들도 있는 법이라, 일단 이 씨들은 발아 후 음식 찌꺼기에서 ... ...
인간 버금가는 낙농의 대가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채 젖을 짜 바치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가축들의 건강은 아랑곳하지 않고 오로지
수확
만을 올리려고 좁은 사육실에 많은 가축들을 몰아 넣고 기르는 인간의 잔인함을 개미들에게서도 보는 것 같아 자못 섬뜩하기도 했다.때로 개미는 인기 없는 주인목축개미만큼 흔하지는 않지만 목축업에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수확
하는 일 등 실제 농사일을 도맡아 한다. 잎을 잘라 물어오는 일부터 버섯을 기르고
수확
·저장하는 과정까지 잎꾼개미의 작업 현장은 현대 인간사회의 제조공장에서 볼 수 있는 어셈블리 라인(assembly line)을 방불케 한다. 몸 크기에 따라 적재적소에 배치, 자기가 맡은 임무에만 몰두하는 ... ...
사라진 황새 천수만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전반적으로 평범한 철새들만이 관찰됐다. 청둥오리가 이곳에서 많이 발견된 점이 한가지
수확
이었다.숙소로 돌아온 일행은 식사를 마치고 토론을 벌였다. 이틀간 관찰한 철새 종류와 특성을 확인하고 다음 일정에 대한 얘기를 나눴다. 토론이 끝날 즈음 앞으로의 구체적인 관찰목표가 정해졌다. ... ...
1년 교과서 교육보다 하루 현장실습이 효과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확인 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대구에 흑두루미가 없다는 것을 확인한 점도 큰
수확
입니다. 조만간 이 지역에 대한 '결론'을 내려야 할 것 같습니다.전체적으로 많은 성과를 거뒀습니다. 가창오리 원앙 황새 등을 발견한 것은 한마디로 행운이었습니다.하지만 종들이 나날이 줄어들어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